음함수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ydin1884 (토론 | 기여)
Aydin1884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이라면, '''x'''<sub>0</sub>의 열린 [[근방]] U⊂R<sup>n</sup>, '''y'''<sub>0</sub>의 열린 근방 V⊂R<sup>m</sup> 및 모든 변수에 대한 편도함수가 존재하고 그 편도함수들이 연속인 유일한 함수 f:U→V가 존재하여 f('''x'''<sub>0</sub>) = '''y'''<sub>0</sub>이고 모든 '''x'''∈U에 대하여 F('''x''', f('''x''')) = '''0'''을 만족한다.<ref>김락중 외, 《해석학 입문》, 경문사, 2007, 326쪽.</ref>
이라면, '''x'''<sub>0</sub>의 열린 [[근방]] U⊂R<sup>n</sup>, '''y'''<sub>0</sub>의 열린 근방 V⊂R<sup>m</sup> 및 모든 변수에 대한 편도함수가 존재하고 그 편도함수들이 연속인 유일한 함수 f:U→V가 존재하여 f('''x'''<sub>0</sub>) = '''y'''<sub>0</sub>이고 모든 '''x'''∈U에 대하여 F('''x''', f('''x''')) = '''0'''을 만족한다.<ref>김락중 외, 《해석학 입문》, 경문사, 2007, 326쪽.</ref>


== 예제 1 ==
== 예제 ==
우선 간단한 이변수 함수의 예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원 (기하)|원]]을 표현하는 음함수에 대하여,
우선 간단한 이변수 함수의 예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원 (기하)|원]]을 표현하는 음함수에 대하여,


14번째 줄: 14번째 줄:


<math>F = x^2 + y^2 - 1</math> 으로 두면, <math>\frac{\partial F}{\partial y}(x_0, y_0) = 2y_0</math> 이 된다. 따라서, y ≠ 0인 경우에는 이 음함수의 양함수 표현이 존재한다. 이 표현은 y = 0인 점을 포함하지 않는 임의 y의 적당한 열린 근방을 공역으로 하는 양함수에 대하여 유일한데, 위쪽 [[반평면]]에서는 <math>y = \sqrt{1 - x^2}</math> 이고, 아래쪽 반평면에서는 <math>y = -\sqrt{1 - x^2}</math> 가 된다.
<math>F = x^2 + y^2 - 1</math> 으로 두면, <math>\frac{\partial F}{\partial y}(x_0, y_0) = 2y_0</math> 이 된다. 따라서, y ≠ 0인 경우에는 이 음함수의 양함수 표현이 존재한다. 이 표현은 y = 0인 점을 포함하지 않는 임의 y의 적당한 열린 근방을 공역으로 하는 양함수에 대하여 유일한데, 위쪽 [[반평면]]에서는 <math>y = \sqrt{1 - x^2}</math> 이고, 아래쪽 반평면에서는 <math>y = -\sqrt{1 - x^2}</math> 가 된다.

== 예제 2 ==


== 주석 ==
== 주석 ==

2011년 6월 20일 (월) 03:05 판

음함수 정리해석학정리로, 음함수 꼴로 표현된 어떤 함수양함수 꼴로 표현될 수 있을 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음함수는 항상 양함수로 표현될 수 없지만, 음함수 정리의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는 항상 양함수 표현이 존재하여 양함수 꼴로 손쉽게 다룰 수 있게 된다. 다만 여기서 다루는 함수는 좋은 성질을 갖는 함수, 즉 연속적으로 미분가능한 함수에 국한된다.

공식화

n+m차원 유클리드 공간열린 부분집합 W에 대하여 함수 F = (F1, ..., Fm) : W→Rm는 W 위에서 모든 변수에 대한 편도함수가 존재하고 그 편도함수들이 연속인 함수이다. 이제 어떤 x0∈Rn, y0∈Rm, (x0, y0)∈W에 대하여 F(x0, y0) = 0이라 가정하자. 만약,

이라면, x0의 열린 근방 U⊂Rn, y0의 열린 근방 V⊂Rm 및 모든 변수에 대한 편도함수가 존재하고 그 편도함수들이 연속인 유일한 함수 f:U→V가 존재하여 f(x0) = y0이고 모든 x∈U에 대하여 F(x, f(x)) = 0을 만족한다.[1]

예제

우선 간단한 이변수 함수의 예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을 표현하는 음함수에 대하여,

으로 두면, 이 된다. 따라서, y ≠ 0인 경우에는 이 음함수의 양함수 표현이 존재한다. 이 표현은 y = 0인 점을 포함하지 않는 임의 y의 적당한 열린 근방을 공역으로 하는 양함수에 대하여 유일한데, 위쪽 반평면에서는 이고, 아래쪽 반평면에서는 가 된다.

주석

  1. 김락중 외, 《해석학 입문》, 경문사, 2007, 326쪽.

참고 문헌

  • 김락중 외, 《해석학 입문》, 경문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