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Aydin1884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녕하세요. 더빈슈웨티를 처음 타빈슈웨티로 이동한 사람입니다. 제가 버마어는 모르기 때문에 실제로 버마어로 어떤 발음이 나는지는 잘 모릅니다만, 적어도 한국어로 된 문건에는 이 왕의 이름을 더빈슈웨티, 또는 떠빈슈웨티로 적고 있는 문건이 전혀 없습니다. 두산 백과사전에서도 타빈슈웨티로 말하고 있구요. 버마어에 대한 한글 표기 규범이 제정돼서 더빈슈웨티나 떠빈슈웨티가 맞다고 하는 경우라면 별문제지만, 일단 그렇지 않은 만큼 유일하게 사용되고 있는 명칭인 타빈슈웨티로 적는 게 맞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0년 11월 6일 (토) 18:08 (KST)[답변]

저는 이 문서를 편집하면서 한국어 문서인 김성원, 『미얀마 왕조사』,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1 및 김영애, 『태국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1를 참고하고 있는데, 각각 159쪽과 58쪽에서 본 인물의 명칭을 '뜨빈슈웨티', '더빙스웨티'로 적고 있습니다. IPA를 전사하면 그대로 '더빈슈웨티'이고요. 특히 첫 문서에서 '뜨'로 적은 것은 IPA ə를 옮긴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명확한 기준이 없고 버마 관련 전공자들은 대체로 'ㅓ'로 전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외래어표기법의 IPA-한글 대조표에서는 'ㅓ'로 적고 있으므로 그렇게 옮겼었습니다. 또 본 문서의 태국어판에서도 첫 음절에는 외래어표기법에서 'ㄸ'로 전사하라고 하는 ต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이 문서를 편집하기 이전에 네이버 백과사전 및 두산 엔싸이버에서 '타빈슈웨티'로 적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는 했지만, 출처가 명기되지 않은 인터넷 백과사전보다는 출판사와 저자, 참고문헌까지 명기된 종이책과 국립국어원의 IPA 대조표를 신뢰하는 것이 더 나을 듯합니다. 사용빈도가 문제가 된다면 '뜨빈슈웨티' 정도로 옮겨야 할 텐데, 그렇게 되면 '알라웅파야' 등으로 적고 있는 '얼라웅퍼야' 왕의 이름을 '을라웅프야'로 옮겨야 하는 등 문제가 많습니다.-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6일 (토) 18:13 (KST)[답변]
그렇군요. 그렇다면 이의는 없습니다.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이름으로 옮기십시오. 다만, 타빈슈웨티도 안 쓰이는 명칭은 아닌만큼, 넘겨주기 문서로 남겨두셨으면 합니다 ^^;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0년 11월 6일 (토) 19:08 (KST)[답변]

Harry Mulisch[편집]

It is not spam. I am searching for a person who would translate something about the most famous Dutch writer en:Harry Mulisch Humanista (토론) 2010년 11월 6일 (토) 23:54 (KST)[답변]

I've read his novel De ontdekking van de Hemel(in Korean:『천국의 발견』). I've thought an article about him had been already made.. so far as time permits, I'll gladly do it. -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7일 (일) 00:13 (KST)[답변]

세계사, 국제 정치에 관심이 많은 한 사람입니다.[편집]

제가 해당 분야에 관심이 많으니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Şilver ßullet (토론) 2010년 11월 8일 (월) 23:02 (KST)[답변]

감사합니다. ^^ -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00:49 (KST)[답변]

알고 계십니까?[편집]

님께서 여기에 적어주신 글은 위키백과 문서 내에 없기에 롤백하였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S7 Ta.】【Con. 2010년 11월 9일 (화) 01:21 (KST)[답변]

아, 참고사항을 못 보고 적었군요. 일단 관련 문서를 보강하겠습니다. -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01:22 (KST)[답변]

시리아의 현 대통령인데 혹시 들어보셨는지요? 이 사람의 아버지 하페즈 알 아사드도 꽤 유명한 정치인이었습니다.:) --Şilver ßullet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02:14 (KST)[답변]

이름 정도는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일전에 중동전쟁사와 걸프전을 대충 훑어볼 때 몇 번 본 적이 있어요. 하지만 레반트 쪽은 아무래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제외하면 잘 몰라서요.. ㅠㅠ -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02:19 (KST)[답변]
사용자 문서를 봐서는 뭔가 전공하신 듯한 느낌이 드는데, 맞나요? --Şilver ßullet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02:19 (KST)[답변]
조금 미묘합니다.. 지역학 쪽 전공으로 전문화할 생각은 있지만 아직은 본격적인 그쪽 전공은 아니고, 그냥 일반적인 인문학 전공 학부생 중 하나예요. -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02:23 (KST)[답변]

터키에도 관심이 있으시다면...[편집]

이 틀에 있는 아직 생성되지 않은 항목을 채우셔도 괜찮을 듯 하네요.:) --Şilver ßullet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03:19 (KST)[답변]

감사합니다. 음.. 일단 타이 쪽의 편집을 어느 정도 매듭지으면 여기도 조금씩 시작하도록 할게요. -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03:58 (KST)[답변]

프로젝트 틀[편집]

관련 문서 중에서 내용이 알차거나, 꼭 필요한 곳에만 붙였으면 합니다.. 토론에 틀만 있는 것도 좀 그러네요..(이전에 토론도 있었고요..)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 2010년 11월 10일 (수) 19:44 (KST)[답변]

음, 일단 몇 개는 뺐습니다. -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10일 (수) 19:49 (KST)[답변]

그러고 보니 미얀마에 관심있다 하셨는데...[편집]

시간이 있으실 때 8888 항쟁을 보강해주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Şilver ßullet (토론) 2010년 11월 11일 (목) 01:07 (KST)[답변]

일단 주중에는 사정 상 자잘한 편집밖에 못 하는지라.. 주말에 몰아서 해 보고 시간이 남으면 이것도 할게요. 다만 미얀마 쪽은 한국어로 된 교양 수준 책 몇 권 읽은 정도라(시중에 나온 한국어 자료는 거의 읽었지만 미얀마에 관해 한국어로 된 자료는 절망적으로 적어서 자세히 알려면 영문 서적을 참조해야 하는데, 당장 타이랑 라오스 쪽 파기에 바빠 여력이 없네요..) 처음부터 쓰는 것보다 번역하는 게 더 빠를 것 같네요;; -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11일 (목) 01:18 (KST)[답변]
아, 동남아는 관심 가지는 분이 별로 없는데, 아이딘님 같은 분을 만나서 정말 기분이 좋네요. 잘해봅시다.^^ --Şilver ßullet (토론) 2010년 11월 11일 (목) 01:27 (KST)[답변]

정치인 관련해서 참고할 만한 사이트[편집]

정치인 문서 편집하실 때 위키백과 외에 이 두 사이트를 참고하셔도 좋을 듯 합니다.

오호, 사이트 좋네요. 감사합니다 ;) -Aydin1884 (토론) 2010년 11월 13일 (토) 13:31 (KST)[답변]

이동.[편집]

님께서 만드신 분류:조호르 바루 시분류:조호르 바루로 옮겼습니다. 인터위키도 설정안하신데다가, 원래 도시랑 이름이 달라서.. :) -- 土屋光 : "츠치야 히카루" (Talk·Mail·Contribs) 2010년 11월 13일 (토) 17:49 (KST)[답변]

분류 명칭은 이전의 분류:조호바루 시를 따른 것인데, 그러고 보니 말레이시아 도시 중 거기에만 따로 분류가 걸려 있군요. 아직은 필요없을 듯도 한데.. -Aydın (토론) 2010년 11월 13일 (토) 17:54 (KST)[답변]

최근의 문서 이동에 관해[편집]

동남아시아 관련 문서 수정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십니다. 최근에 님의 문서 이동을 보면 암낫차른암낫짜른으로 피칫피찟으로 이동하는 등 주로 'ㅊ'자 발음을 'ㅉ'으로 옮기는 작업을 하셨습니다. 솔직히 저는 타이어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국립국어원의 외래어표기법 지침에 따르면 ch는 ㅊ으로, c는 ㅉ으로 옮기는게 맞습니다. 암낫차른의 로마자 표기는 Amnat Charoen이고 피칫의 로마자 표기는 Phichit이며 타이어 위키백과에서도 이렇게 명시하고 있습니다. 님께서 타이어 전문가가 아니시라면 국립국어원의 타이어 표기법을 따르는게 맞지 않을까요? --EurasianMaster™ (토론 · 기여) 2010년 11월 18일 (목) 23:18 (KST)[답변]

국립국어원의 방침에서 'ch'과 'c'는 좀 설명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타이어 자음에서 'ㅉ'로 적는 방침인 'จ'는 로마자화에서 'c'로 옮기는 것이 원칙입니다만, 이게 잘 지켜지지 않아서 'c'로 옮기지 않고 'ch'로 옮기는 경우가 부지기수입니다. 대표적으로 '쭐랄롱꼰 대학교'에서 '쭐랄롱꼰'은 보통 'Chulalongkorn'으로 쓰지만, 이걸 외래어표기법의 로마자화대로 쓰면 'Culalongkon'이 됩니다. 이런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보통 타이에서 타이 문자를 로마자화할 때 사용하는 시스템인 'RTGS(왕립학술원 로마자화 시스템)'에서 จ를 'ch'로 구분하지 않고 옮기라고 지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타이 문자를 읽어서 'จ'를 'ㅉ'로 옮기고 있는 것이고요. 사실 국립국어원 방침 자체는 문제가 없고, 오히려 서양인 기준에 맞춘 RTGS가 문제라면 문제지요. -Aydın (토론) 2010년 11월 18일 (목) 23:44 (KST)[답변]

질문[편집]

이제 막 타이어를 공부하면서 문서를 생성 중에 있습니다만, Kasetsart(คณะบริหารธุรกิจ มหาวิทยาลัยเกษตรศาสตร์)를 카셋삿(언론)으로 써야 하는지, 아니면 어떻게 써야 하는 지 모르겠네요. 혹시, 가르쳐 주실 수 있습니까? --가람 (논의) 『Carpediem』 2010년 11월 19일 (금) 11:42 (KST)[답변]

외래어표기법에서 'ก'는 'ㄲ'로 옮기므로, '까셋삿'이 외래어 표기법을 따른 표기입니다. 보통 까셋삿 대학교(มหาวิทยาลัยเกษตรศาสตร์;마하위타얄라이 까셋삿) 등은 문헌 등에선 '까쎗쌋 대학교'로 쓰죠. -Aydın (토론) 2010년 11월 19일 (금) 13:06 (KST)[답변]
그렇다면, มหาวิทยาลัยเกษตรศาสตร์คณะบริหารธุรกิจ มหาวิทยาลัยเกษตรศาสตร์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이죠? (@-@) --가람 (논의) 『Carpediem』 2010년 11월 19일 (금) 13:47 (KST)[답변]
앞의 것은 그냥 까셋삿 대학교이고, 뒤의 건 까셋삿 대학교 경영학부(타이어는 후치 수식이 일반적입니다. 타이어 어순대로는 경영학부-대학교-까셋삿)입니다. -Aydın (토론) 2010년 11월 19일 (금) 13:51 (KST)[답변]
아, 후치 수식이군요.. 어쩐지 한국식으로 썼더니, 잘못된 것이라 하더라구요.. 감사합니다.^^ --가람 (논의) 『Carpediem』 2010년 11월 19일 (금) 13:55 (KST)[답변]

알고 계십니까[편집]

추가 후에는 {{알고 계십니까 역사}}를 이용해 해당 토론 문서에 틀을 부착해 주세요.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0년 11월 23일 (화) 16:27 (KST)[답변]

넵. 당시 추가할 때 정신이 없어서 깜빡했군요. -Aydın (토론) 2010년 11월 24일 (수) 16:35 (KST)[답변]

삭제 신청[편집]

앞으로 삭제 신청 하실 때, 본문을 남기고 삭제 신청 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백:삭제 정책#삭제 토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 내용이 나와있으니 참고하세요. --어쏭(소통의 공간) "11 P.M Sleep, 6 A.M Wake up" 2010년 11월 29일 (월) 11:10 (KST)[답변]

넵. -Aydın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1:12 (KST)[답변]

Harry Mulisch[편집]

Thank you that you have translated this articel very good. Could you also write an articel about en:The Discovery of Heaven. It is his most important work that you have read. So maybe, if you will find the time. Humanista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23:32 (KST)[답변]

Please, don't think that I would like to exploit you. I will not make any further requests. I am a big fan of Mulisch. Therefore I would like that there exist good articels about him and about his opus magnum De ontdekking van de hemel in all important languages like German, Chinese, Korean. Humanista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20:34 (KST)[답변]

Oh, I'm sorry for coming late to reply. Recently, I have not had much time to edit articles and write something down on wiki.. I will restart them before long; But the article you brought to me seems too long to translate without something left out. If I translate it intactly, maybe, there will be awkward sentences to Korean readers. So, I'm thinking of making an article about the book based on the translated version in Korean-『천국의 발견』. It might take some time.. -Aydın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21:20 (KST)[답변]

질문[편집]

혹시나 해서 여쭙는 겁니다만.. 크메르어를 아시나요? 현재 '캄보디아의 행정 구역'을 생성하려고 번역하고는 있는데, ភូមិ와 같은.. 캄보디아에서 쓰이는 행정 구역 명의 크메르어식 발음이 무리라서 말이죠..(..)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1월 20일 (목) 17:35 (KST)[답변]

크메르어는 전혀 모릅니다. 동남아시아 지역 중 가장 관심이 덜한 지역이라서요.. ㅠㅠ -Aydın (토론) 2011년 1월 20일 (목) 17:36 (KST)[답변]
아.. 그렇군요. 그렇다면,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기타 언어 표기를 따라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1월 20일 (목) 17:38 (KST)[답변]

타이 어 인명표기[편집]

캄보디아-타이 국경 분쟁 항목의 타이 육군 장교들 이름을 옮겨봤는데 맞는지 확인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Prayuth Chan-Ocha 쁘라윳 찬오차, Nut Sri-in 눗 시인, Thanet Wongcha-um 타넷 웡차움, Chayan Huaysoongnern ??, Thawatchai Changprachack 타왓차이 창쁘라착. --Zerglurker (토론) 2011년 2월 15일 (화) 15:33 (KST)[답변]

타이어 표기의 경우 저도 타이 문자 표기가 없으면 정확한 한글 표기법을 알 수가 없습니다. Prayuth Chan-Ocha 같은 유명 인물의 경우 타이 육군 홈페이지(맨 위 가운데 분)에 들어가 확인해 보니 '쁘라윳 짠오차'가 외래어표기법에 맞는 표기인데, 나머지 사람들은 대령급 정도밖에 안 되는 사람들이라 타이 뉴스를 뒤져보거나 해야겠네요. -Aydın (토론) 2011년 2월 17일 (목) 13:39 (KST)[답변]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문자가 없인 힘들군요. --Zerglurker (토론) 2011년 2월 17일 (목) 17:56 (KST)[답변]

질문[편집]

왠지 질문하는 듯 해서 죄송하지만.. th: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อันเป็นที่สรรเสริญยิ่งดิเรกคุณาภรณ์를 대략 한국어로 '의역'하면 무엇이 되는 지 아시나요? 훈장인 건 알겠지만.. 그대로 읽히는 대로 쓸 수도 없고.. 뭐라고 해야 할 지 모르겠네요..('최영석' 타이 태권도 대표팀 감독이 받았다고 하더군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2월 18일 (금) 14:55 (KST)[답변]

대략 '가장 영예로운 디렉쿠나폰 국왕 훈장' 정도 되겠네요. '디렉쿠나폰'의 의미는 저도 잘 모르겠는데.. 태국 웹에 검색해 봐도 온통 훈장 얘기뿐이네요. :( 너무 기니까 그냥 '디렉쿠나폰 훈장' 정도로 줄여도 될 듯합니다. -Aydın (토론) 2011년 2월 18일 (금) 23:10 (KST)[답변]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2월 18일 (금) 23:24 (KST)[답변]
타이어판 사용자에게 물어봤더니, 디렉쿠나폰(ดิเรกคุณาภรณ์)은 부미볼 왕 때 만들어진 휘장 중 하나의 이름이라네요. :)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2월 19일 (토) 00:30 (KST)[답변]

위키프로젝트:중앙아시아[편집]

위키프로젝트:중앙아시아에 참가할 의향은 없으신가요?(아직 2011년 2월 제안 게시판에 제안만 해 놓았지만...)가람님도 참가하셨습니다. 꽤나 이 분야에서 잘 알고 계신 것 같아서요. 저도 이런 분야에 관심이 많습니다.Jwh369 (토론) 2011년 2월 22일 (화) 01:14 (KST)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2월[답변]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중앙아시아[편집]

현재 전부 3명이 모여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중앙아시아가 만들어졌습니다.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중앙아시아에 참가(서명)하러 가 보세요!!!Jwh369 (토론) 2011년 2월 22일 (화) 02:23 (KST)[답변]

말라카[편집]

토론:믈라카 술탄국에 초대합니다. Sawol (토론) 2011년 2월 25일 (금) 13:48 (KST)[답변]

태국어 인명[편집]

전에 말씀하셨던, 태국어 인명 정리는 어떻게 하실 생각이신가요? 대략, 태권도 인명에 대해서는 '한국어'로 된 홈페이지에선 잘 나오지 않더군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7일 (목) 17:46 (KST)[답변]

음.. 순서가 바뀐 데 대한 별다른 참조 자료가 없다면 퐁스리 사리타사리따 퐁시, 카우라오르 추자왈찻완 카울라오로 변경해도 될까요? --Aydın (토론) 2011년 4월 7일 (목) 17:55 (KST)[답변]
대략, "태권도 신문"이란 곳에선 퐁스리 사리타사리타 퐁스리로 표기하고 있네요. 그에 비해, 추자왈 카우라오르는 좀 덜 저명한 지, 뉴스라곤 하나 뿐이라죠..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7일 (목) 18:01 (KST)[답변]
저도 네이버로 검색해 보니 추자왈 카우라오르로 표기한 조이뉴스24의 뉴스가 하나 보이네요. 음.. 사리따 퐁시의 경우 사리타 퐁스리로 죽 표기해 오다가 11월 18일자 연합뉴스 기사에서 '퐁스리 사리타'로 표시한 후부터는 갑자기 '퐁스리 사리타'가 압도적인 표기가 되었군요. --Aydın (토론) 2011년 4월 7일 (목) 18:17 (KST)[답변]
대체적으로, 연합뉴스를 참고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이건 어디다가 물어봐야 할 지..;;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7일 (목) 18:18 (KST)[답변]
추차왈 카우라오르라고도 하네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7일 (목) 18:23 (KST)[답변]
원어 표기가 'ชัชวาล(ch-ch-w-a-l)'이고 보통 'ch'는 관용적으로 'j'라고도 쓰기 때문에 '추차왈'이나 '추자왈'이나 알파벳을 그대로 읽으면 가능한 표기이긴 합니다. 공식적으로 어떻게 쓰느냐..는 웹 검색만으로는 결정하기 힘든 문제겠죠. ..덧붙여 혹시나 해서 로마자로 'Pongsri Sarita'로 쓰는 경우를 찾아봤는데, 거의 없었습니다. 유일하게 뒤집어 'Pongsri Sarita'로 쓰는 경우는 베트남어 뉴스 기사 [1] 정도;; 순서 변경이 뭣하면 일단 각각의 표기라도 바꿔 둘까요? --Aydın (토론) 2011년 4월 7일 (목) 18:26 (KST)[답변]
아마, Sarita Pongsri를 Pongsri Sarita라고 한국어권 언론에서 쓴 이유는 우선적으로 성씨를 써야 한다는 판단에서 나온 게 아닌가 싶습니다. (대략, 영어권 자료에선 일본 인명은 성씨 대신 이름부터 쓰니까, 그것에 착안(?)해 그런 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변경은 살짝 고민되는 사항이네요.. 일단, 표기법에 따른 이동은 동의합니다.(단지, 순서가 신경 쓰이네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7일 (목) 18:40 (KST)[답변]
일단 퐁시 사리따, 카울라오 찻완으로 옮겼습니다. 혹시 추가 정보를 발견하시면 알려주세요. --Aydın (토론) 2011년 4월 7일 (목) 18:58 (KST)[답변]
네. 아, 그리고 프라챠 핀카엡(ปรัชญา ปิ่นแก้ว)도 있지 않나요? 지금 작업 중에 있는데 말이죠..;;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7일 (목) 19:00 (KST)[답변]
그 경우는 현재 등록된 문서(초콜릿 (동음이의), 옹박 - 무에타이의 후예, 옹박: 더 레전드)에서는 '쁘랏야 삔깨우'로 수정해 뒀습니다. 이 외에도 부트리 푸에드퐁붓리 프앗퐁, 야오와파 부라폴차이야우와파 부라폰차이, 카오클라이 카엔노르싱까우끌라이 깬노라싱, 삐야뽕 쁘온삐야퐁 피우온, 시리몽콜 싱왕챠시리몽콘 싱마낫삭, 지자 야닌야닌 윗미따난, 수파차이 파닛차팍수파차이 파닛팍으로 수정해 뒀었어요. --Aydın (토론) 2011년 4월 7일 (목) 19:06 (KST)[답변]
대략, 한국어권 영화 정보 사이트에선 '프라챠 핀카엡'으로 포기하더라구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7일 (목) 19:08 (KST)[답변]
잘은 모르겠지만 일본어에서 먼저 이상하게 표기하고 그걸 따른 게 아닐까요.. 일본어 위키에서는 푸랏차야 핀게오 라고 표기하는데.. 우선 '삔깨우' 부분은 표기가 별론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명확하게 되어 있고, '쁘랏야'는 쉬운 태국어 단어입니다. '철학'이라는 뜻이죠. --Aydın (토론) 2011년 4월 7일 (목) 19:17 (KST)[답변]
음.. 그럴 가능성도 매우 높겠군요. 그런데, 철학.. 그거, 태국의 모 대학 이름이지 않았나요..? 아, 그리고 여담입니다만.. "Chaiyasak" (ชัยศักดิ์)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뭐가 될까요..?(최영석 문서)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7일 (목) 19:20 (KST)[답변]
제가 등록한 대학 중에는 없네요. '쁘랏야'는 학문으로서의 '철학'을 말할 때 씁니다.(참조) 일반적인 '학문', '지식'에는 '위타야'가 쓰이고, '-학'에는 산스크리트 어원의 '-삿'이 쓰이죠.(까셋삿, 탐마삿) 그리고.. ชัยศักดิ์(ch-y-s-k-di)은 '차이삭' 혹은 '차야삭' 정도겠네요. 보통 '차이삭'으로 읽을 것 같은데.. 모음을 명확히 쓰질 않아서 다르게 읽을 수도 있기는 해요. --Aydın (토론) 2011년 4월 7일 (목) 19:33 (KST)[답변]
음.. 착각인가요.. 이름은 대략, Chaiyasak으로 적어주던데 말이죠..;;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7일 (목) 19:46 (KST)[답변]
먼저 'ดิ์' 부분은 묵음이고, 'ชัย'를 한 단위로 '차이'라고 읽거나(이러면 '승리'라는 뜻) 모음 a를 각각 붙여 '차-야'라고 읽을 수 있습니다.(참고로 첫 문자 위에 있는 부호-마이한아깟-는 그 자체가 모음 'ㅏ'입니다) 그런데 '차이야삭'으로 읽으려면 'y'가 두 번 나와야 해서.. 가능한 케이스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덧붙여 뒤의 '삭(s-k-di)'은 '힘'이라는 단어라 '차이삭'이라고 하면 '힘의 승리' 내지 '승리하는 힘'이라는 뜻인데, 뭔가 아귀는 맞..네요;; --Aydın (토론) 2011년 4월 7일 (목) 19:53 (KST)[답변]
한 번 물어봤더니, "chai-sak"과 "chai-ya-sak" 둘 다 가능하지만, "chai-ya-sak"이 맞지 않을까 추측된다네요. 뜻은 대략, '대승(리)과 정직을 얻는 (who)"(ผู้มีชัยชนะและศักดิ์ศรีที่ยิ่งใหญ่)라네요. 이렇게 보니, 뭔가 복잡하군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8일 (금) 18:12 (KST)[답변]
흠.. 그렇군요. 사실 태국어 문자 읽기가 복잡해 보여도, 기본적인 불규칙 음절 패턴을 모아둔 250개 정도의 결합음절표가 있어서 그것만 외워두면 의도적으로 달리 읽거나 역사적인 이유가 있거나 하지 않은 이상 별로 빗나가지 않습니다. 근데 저기서 '차이' 부분이 그 음절표에 있는 거라 아마 저 말고 대부분의 태국어 학습자에게 물어봐도 당장은 '차이삭'으로 읽을 것 같네요. 그리고.. '삭' 부분은 그냥 '힘'으로 알고 있었는데 뭔가 문법적 요소가 있나 봐요. --Aydın (토론) 2011년 4월 8일 (금) 22:57 (KST)[답변]
대략, 기본 문자"만" 80개라.. 비슷한 것도 많고 복잡해지니, 바로 책을 덮게 되더군요. 현재(몇 달동안) 겨우 모양(닭, 접시.. 이런식)으로 ก ('꺼-까이'?), จ ('쩌짜안-'?) 두 개 밖에 외우질 못했거든요..;; (어학 수업을 몰래 들으러 가야하는 건지.. 하하.. - 발음이 맞는지도 모르겠네요.) 'sak'에 대해선 한 번 더 물어봐야 겠네요. :)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9일 (토) 13:58 (KST)[답변]
어라.. 의외네요. '차이야'는 보통 'ไชย' 정도로 쓸 줄 알았는데.. 음, 어쨌든 전 잘 모르겠네요 ㅠ --Aydın (토론) 2011년 4월 9일 (토) 17:05 (KST)[답변]
아마도, 사람 이름(최영석)에 본따려 하다보니, 그런 게 아닌가 싶네요. :)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9일 (토) 17:12 (KST)[답변]
태국의 승려가 한국 이름과 비슷하게 지은 거라고 하네요. :) 그리고 '"ชัย" (또는 ชัยชนะ) = 승리, "ศักดิ์" (또는 ศักดิ์ศรี) = 정직'이라네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10일 (일) 17:05 (KST)[답변]

저.. 계속해서 물어보게 되서 죄송하지만, สากล의 발음이 정확히 무엇인지 아시나요? 뜻은 대략 물어봐서 알겠는데, 발음이 뭔지 잘 모르겠네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16일 (토) 10:38 (KST)[답변]

'사꼰'입니다. '땀루앗 사꼰' 하면 '국제경찰'이란 뜻이죠. --Aydın (토론) 2011년 4월 16일 (토) 10:40 (KST)[답변]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16일 (토) 10:45 (KST)[답변]

엑..;[편집]

제가 현재 타이 문학을 '매우 느리게' 준비중이었었는데, 막 생성하셨군요..(T-T) 하하..;;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21일 (목) 14:11 (KST)[답변]

에.. 뭐 일단 만들었으니 같이 살을 붙여 주세요;; 영문판 문서를 번역하긴 했지만 너무 내용이 적어서.. 일본어판은 내용은 많은데 출처가 없다 보니 번역하기가 좀 그랬고요. 근데 영문판에서 출처 깨진 걸 다 지우니 새로 만든 글도 거의 출처가 없기는 매한가지군요;; 곧 내용을 보강해야겠습니다. --Aydın (토론) 2011년 4월 21일 (목) 14:14 (KST)[답변]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중앙아시아 참가자들에게 알립니다[편집]

중앙아시아의 역사의 범위가 불분명하여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현재 나라의 경계, 지리, 문화 등 많은 요소가 있기 때문에 중앙아시아의 역사를 편집하는데 있어서 범위가 확실치 않다고 생각해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들어본 뒤, 공식적이고, 합리적인 범위를 지정하고자 합니다. 바쁘시더라도 많은 참여를 기대하겠습니다.(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중앙아시아의 토론 문서에 의견을 남겨주십시오.) Jwh369 (토론) 2011년 4월 25일 (월) 22:52 (KST)[답변]

저..[편집]

저.. 현재 제가 푸미폰 아둔야뎃의 외아들 '마하 와치라롱꼰' 문서를 생성하려고 합니다만.. 안타깝게도, '그'와 관련된 사람들의 인명이 번역(..)되지 않아서 그러는데, 도움을 주실 수 있으신가요? 왕족이다보니, 주변 사람들 이름도 '완전' 길더군요.. (좌절..) 대략, 그나, 그의 부인들 이름이라던지, 지역, 훈장 또는 직위 명칭 같은 것에 도움을 주셨으면 합니다만..;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28일 (목) 14:44 (KST)[답변]

제가 도울 수 있는 게 있으면 도와드리겠습니다. 태국 왕족 인명은 하도 이상하게 작성된 문서가 많아서 조금 손대다가 놓고 있는데, 이런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새로 만들 때부터 틀을 갖춰 나가는 게 좋겠죠. --Aydın (토론) 2011년 4월 29일 (금) 06:39 (KST)[답변]
우선적으로.. 그의 자녀..
(아마도 'มหิดล'은 '마히돌' 인 듯 싶습니다만.. 확실히 몰라서 말이죠..)
와 그의 현재 부인..
이름을 부탁드려도 되련지요? 훈장이라던지, 직업이라던지는 현재 뭐가 뭔지 알아볼 수가 없어서 말이죠..; 그리고 그의 이름(수식어를 포함한)도 가능하시다면 부탁드립니다..;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29일 (금) 17:12 (KST)[답변]
요새 컴퓨터 할 시간이 많이 없어서 답이 늦어지고 있는데.. 외출하기 전에 잠시 달아 두겠습니다. --Aydın (토론) 2011년 5월 3일 (화) 11:34 (KST)[답변]
พระเจ้าหลานเธอ พระองค์เจ้าพัชรกิติยาภา - 프라짜오란트 프라옹짜오팟차라끼띠야파
พระเจ้าหลานเธอ พระองค์เจ้าสิริวัณณวรีนารีรัตน์ - 프라짜오란트 프라옹짜오시리완나와리나리랏
พระเจ้าหลานเธอ พระองค์เจ้าทีปังกรรัศมีโชติ - 프라짜오란트 프라옹짜오티빵까라랏사미초띠
หม่อมเจ้าจุฑาวัชร มหิดล - 몸짜오쭈타왓차라 마히돈 - 태국어에서 종성의 [ㄹ]는 [ㄴ]으로 발음해서 '마히돌'이 아닌 '마히돈'이 됩니다.
หม่อมเจ้าวัชรเรศร มหิดล - 몸짜오왓차라레손 마히돈
หม่อมเจ้าจักรีวัชร มหิดล - 몸짜오짜끄리왓차라 마히돈 - 표기법대로라면 'จักรี'는 '짝리'이지만 용례집에서는 '짜끄리'로 읽고, 발음도 '짜끄리'에 가깝습니다.
หม่อมเจ้าวัชรวีร์ มหิดล - 몸짜오왓차라위 마히돈
태국어 표기에서 발음을 안 하는 부분을 구별하기가 좀 까다로운데, 우선 위에서 'โชติ(초띠)' 부분은 '촛'으로도 읽을 수 있습니다.(예로 찻 꼽찟 - 찻 꼽찌띠) '와차라' 부분은 '왓'으로 읽기도 했던 듯한데.. 헷갈리네요. --Aydın (토론) 2011년 5월 3일 (화) 12:03 (KST)[답변]
아, 그리고 พระเจ้าวรวงศ์เธอ พระองค์เจ้าศรีรัศมิ์ พระวรชายาฯ - 프라짜오워라웡트 프라옹짜오시랏 프라워라차야. --Aydın (토론) 2011년 5월 3일 (화) 12:09 (KST)[답변]
'โชติ'는 'Chot'으로 읽는다고 하네요.[2] (질문이 옳았던 건지는 모르겠지만요..;)
방콕의 지역명인 'พระราชชนก'는 어떻게 읽죠..?;;
이거 말고도 손댈 것이 많아 보이는데.. 어느 것부터 손을 대야 할 지 모르겠네요.. @_@;;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5월 6일 (금) 16:28 (KST)[답변]
에.. 일단 'พระราชชนก'은 '프라라차녹'입니다. --Aydın (토론) 2011년 5월 6일 (금) 18:36 (KST)[답변]
태국어는 단어 자체도 성조 때문에도 힘들지만, 국립국어원 표기가 흔히 쓰는 것과 달라서 더 힘든 거 같아요..; 추신. 타이 형법 122항(신분, 지위, 국적을 막론하고, 왕실 모독죄는 최소 3년에서 최대 15년 옥살이..)에 대해 듣고 나서부터.. 타이 왕실에 대해 기여하기가 꺼려지네요.. 하하..;;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5월 8일 (일) 00:11 (KST)[답변]
태국에 사시는 게 아니라면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게다가 사실만 쓴다면 모독죄로 걸리지는 않으실; 걸요? 그리고 표기법에서는 대략 통상 'ao'로 표기하는 것을 끝의 /w/ 발음을 살려서 '-ㅏ우'로, 'ㅓ' 발음을 'ㅗ'로, 한국어에 없는 /ɤ/ 모음을 'ㅡ'로 표기한다는 정도만 지키면 딱히 문제는 없어요. 그러고 나서부터는 태국 문자상의 생략이나 표기되지 않은 발음이 골치가 아프기는 하지만.. --Aydın 2011년 5월 8일 (일) 00:18 (KST)[답변]
그게.. 태국어 위키백과에서 제가 이 왕자의 별명(흔히, 태국어 인명에 있길래..)을 물었더니, 한 명은 없다면서, 그 이유가 많은 사람들이 왕실을 존경하기 때문이라는데.. 다른 한 명은 엄청난 걸 가르쳐주더군요..(시간이 되시면 그쪽 위키백과의 제 사용자 토론 역사를 참고하시면 아실 수 있어요.. 그 외엔 여기 위키백과의 제 사용자 문서 역사의 태국어 사용자가 한 말을 찾아보시면..) 그거 안 지웠으면, 저도 큰일났을지도요.. 그런 것도 있지만, '프'를 '쁘'로 쓴다던가 하는 것도 좀 골치가 아파서 말이죠..;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5월 8일 (일) 00:25 (KST)[답변]
으음.. 태국어판의 그 문서를 방금 보고 왔는데, 그런 사정이 있었군요;; 그리고 경음-격음 구별 문제는 해당 위치에 있는 태국 문자를 참조하시는 게 가장 확실해요. 로마자 표기가 이루어지고는 있는데, RTGS에 맞춰서 제대로 한 게 별로 없거든요. 산스크리트나 팔리식으로 쓸데없이 길게 늘여쓴 것도 많고.. 게다가 RTGS에 맞춰서 했다고 해도 'ㅊ'와 'ㅉ', 'ㅏ우'와 'ㅏ오'는 따로 구별해 줘야 하죠. --Aydın 2011년 5월 8일 (일) 00:49 (KST)[답변]
분위기가 갑자기 싸-해진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위험한 질문을 한 듯 싶네요.. 하하.. 저는 문자도 아직까지 헷갈리고 해서..(돼지꼬이가 좌로 간 것과 우로 간 건지도 구분 못해요..;) 영어 보고 그걸 국립국어원 표기에 맞춰보고 있어요. 그런데, RTGS라 하심은..?(들어본 적이 있는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5월 8일 (일) 00:57 (KST)[답변]
한국의 국립국어원 로마자 표기법같은 태국의 로마자 표기 규정이에요. 왕립학술원 로마자화 시스템(the Royal Thai General System of transcription)이라고 하죠. 근데 이런 거 있어도 한국처럼 지키는 사람만 지키는 수준이라.. 예컨대 'j'는 RTGS에서 인정되지 않는 표기 형태인데 'ㅉ', 'ㅊ' 등의 표기에 자주 쓰이고, 'tㄸ'와 'thㅌ', 'kㄲ'와 'khㅋ', 'pㅃ'와 'phㅍ' 등을 제대로 구별해 주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태국에서 파는 외국인 대상 영어 기반 태국어 학습서 같은 데에서도 관용 표기('ㄸ-dt', 'ㅌ-t', 'ㄲ-g', 'ㅋ-k', 'ㅃ-bp', 'ㅍ-p' 등)를 쓸 정도니까요. --Aydın 2011년 5월 8일 (일) 01:07 (KST)[답변]
아.. 대략 한국어식으로는, '대'를 'Dai'로도 쓰고, 'Dae'로도 쓰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겠네요.. 영어판은 저것을 따르나요?(안 따르는 듯 싶은..) 제가 무작정.. 영어판을 참고하고 있어서요..; --가람 (논의) 『Carpediem』
에.. 저는 문서 내에 별도로 RTGS:하고 달린 추가 설명이 없다면 대체로 안 따른다고 추정해요. 대표적으로 아마도 팔리나 산스크리트식으로 표기한 듯한 [탁신 친나왓] 전 태국 총리 문서의 경우.. --Aydın 2011년 5월 8일 (일) 01:24 (KST)[답변]

Friendship from Thailand[편집]

The Thailand Barnstar of National Merit
ขอมอบให้สำหรับผู้มีส่วนร่วมในการเขียนบทความที่เกี่ยวข้องกับประเทศไทยอย่างมีนัยยะสำคัญครับ --B20180 (토론) 2011년 5월 12일 (목) 15:03 (KST)[답변]
Oh, thank you. It's very gratifying me that my first barnstar is related to Thailand. --Aydın (토론) 2011년 5월 12일 (목) 22:54 (KST)[답변]

문서 이동[편집]

문서 표제어를 변경하고 싶으면 문서 이동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문서 이동을 사용하지 않고 넘겨주기 처리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3], [4] [5], [6], [7], [8], [9] 만약 이동하려는 문서 제목이 이미 존재하여 이동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문서 관리에 요청해주세요. --777sms (토론) 2011년 5월 27일 (금) 17:48 (KST)[답변]

그렇군요. 원 이동하신 분이 별 토론 없이 옮기셨던지라.. 관리 요청을 넣겠습니다. --Aydın (토론) 2011년 5월 27일 (금) 20:20 (KST)[답변]

동남아시아 문학 문서에 적힌 한국어, 영어 표기는 정확한 게 아니에요. (한국어 표기는 원래 '다음 글로벌 세계대백과'의 내용이고, 한국어는 그것에 제가 덧댄 거라..)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5월 27일 (금) 23:23 (KST)[답변]

음.. 그런데 혹시 웹에서 접근할 수 있는 쓸만한 베트남어 한자 읽기 사전 같은 게 있을까요? 그런 게 있으면 한자를 넣어서 비교적 쉽게 음과 정확한 표기를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해당 문서의 '속어'라든가, '가요'같은 거요. --Aydın (토론) 2011년 5월 27일 (금) 23:25 (KST)[답변]

알찬 글 토론[편집]

Thank you[편집]

Thank you for translating Burma-related articles. Soewinhan (토론) 2011년 7월 4일 (월) 01:59 (KST)[답변]

My pleasure. :) I have a plan to translate Sino-Burmese War (1765–1769); it has been work for preparing this. --Aydın (토론) 2011년 7월 5일 (화) 22:07 (KST)[답변]

힌두교 관련 표기 변경에 대해 (감사 및 부탁의 말씀)[편집]

먼저 샤스트라, 즈냐나 등의 표기를 바로잡으시면서 또한 해당 토론 문서에 적절한 정보를 주신 것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혹시 시간이 되신다면 {{힌두교 둘러보기}}를 살펴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해당 산스크리트어와 영어는 틀의 설명문서에 삽입된 영문링크판을 이용하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표기상 고쳐야 할 부분이 있다면 그것을 고치시면서 해당 정보를 틀의 토론 문서("틀토론:힌두교 둘러보기#산스크리트어의 정확한 한글 표기 관련")에 남겨두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산스크리트어 발음을 유심히 공부한 적은 없어서 Aydin님이 가지신 발음 이론과 같은 제대로 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때문에 표기에 있어서 틀린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Aydin님께서 틀린 부분을 바로잡아 주시길 부탁드립니다.--배우는사람 (토론) 2011년 7월 12일 (화) 21:43 (KST)[답변]

감사합니다. 우선 저도 죄송하네요. 즈냐나 같은 경우는 해명을 하긴 했지만 허락 없이 대규모 이동 및 변경을 한 경우라 기분 나빠하시지 않을까 걱정했었는데.. 음.. 그리고 틀에서는 대략 훑어본 바론 '삼키아'의 표기가 살짝 걸리는데, 이 문제에 대해서는 조금 긴 해명이 필요할 듯하니 당장은 그렇고, 나중에 시간이 나면 해 둘게요. 다만 일반적으로 산스크리트 표기법의 경우는 당장 많은 이동을 하기가 곤란한 게, 해당하는 IPA-한글 표기법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고 해서요..(대표적으로 일전의 '샤스트라', '샥티'의 경우죠. 이 경우는 외래어표기법만으로는 확실한 표기 근거가 되질 못해서..) --Aydın (토론) 2011년 7월 13일 (수) 05:00 (KST)[답변]

Īśvara: 이시바라 vs. 이슈바라 (표기 문의)[편집]

시바 문서를 편집하다가 산스크리트어 표기에 의문이 생겨 문의드립니다. Īśvara(ईश्वर, 영어의 Ishvara)를 이시바라로 하는 것이 맞는지 이슈바라라고 하는 게 맞는지 의문이 들어서 문의 드립니다. 흔히 이슈바라라고 표기하는데, 이게 틀린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또한 마찬가지로 Maheśvara를 마헤시바라라고 하는 게 맞는지 마헤슈바라라고 하는 게 맞는지도 함께 문의 드립니다.

  1. Śiva(शिव)의 경우는 시바라고 하는게 확정적인 것 같은데 혹시 이 경우와는 달리 ś뒤에 v(또는 자음)이 오는 경우는 라고 발음하는 것인가요?
  2. 아니면 ś앞에 모음이나 다른 문자가 오는 것이 혹시 ś의 발음에 영향을 미쳐 라고 발음하는 것인가요?
  3. 아니면 ś는 무조건 라고 발음하여 뒤에 자음이 오면 그대로 라고 하고 모음이 오면 처럼 중모음으로 하면 되는 건가요?

도움을 부탁드립니다.--배우는사람 (토론) 2011년 7월 14일 (목) 19:50 (KST)[답변]

다른 곳에서 글을 쓰면서 위키를 같이 열어두고 있었는데, 덕분에 쓰시자마자 보게 되었네요. 음.. 간단히 말해서, 이 경우는 '명확한 규정이 없습니다'. 산스크리트 로마자 표기에서 'ś'는 IPA로 [ɕ](무성 치경구개마찰음) 음인데, 이 음에 대한 표기법 규정 자체가 없거든요. 다만 그나마 가까운 음을 찾으라면 [ʃ](무성 후치경마찰음)가 되겠는데.. 곤란하게도 이 경우에는 자음 앞/어말에서 일관된 표기를 사용하지 않고 외래어표기법 자체에서 '슈'와 '시'를 모두 허용합니다. 언어별 세칙에 따라 다르게 쓰는 것인데, 산스크리트는 해당 세칙이 없고, 6~7장에도 관련 규정이 없지요.
그러므로 자음 앞에서 '슈'로 쓰시든 '시'로 쓰시든, 일관성만 지켜 주시면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ɕ]가 좀 깔끔한 음이 나기 때문에 '시'를 선호하지만요.(관용적으로는 '슈'를 보다 자주 쓰는 것 같긴 합니다) 다만, 모음 앞에 오는 경우는 한글의 IPA 표기 및 유사음 [ʃ]에 대한 외래어표기법 규정을 따라 '시-'로 합쳐 쓰는 것이 가장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한다면, 'Śa, Śe, Śi, Śo, Śu'는 각각 '샤, 셰, 시, 쇼, 슈'가 되겠죠. --Aydın (토론) 2011년 7월 14일 (목) 20:06 (KST)[답변]
설명 감사드립니다.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는 '샤, 셰, 시, 쇼, 슈'로 처리하면 되겠고, 자음이 오는 경우, "슈"와 "시" 둘 다 표기법에서 허용되니, 관용적인 표현에 따라 "슈"를 주로 하고(표제어), "시"를 문서 내에 보조로 표기하는 식으로 하는 게 좋을 듯 합니다. 관용적인 표현을 무시하기에는 부담이 느껴지네요. 관용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포털에서 검색을 했을 때 더 찾기가 쉬워진다는 측면도 있을 것 같습니다. 여하튼, 자세하고 확실한 설명에 다시 한 번 더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이 토론 내용도 {{힌두교 둘러보기}}의 토론 항목에 옮겨 놓을 생각입니다.) --배우는사람 (토론) 2011년 7월 14일 (목) 21:30 (KST)[답변]

선거 종료[편집]

선거 종료 처리하였습니다. 아쉽군요. 선정위원회의 규약에 따라 처리했으니 혹시 기분 나빠하시는 일이 없길 바랍니다.--Voz De Paz 소통·나눔 ¡Jugamos! 2011년 8월 16일 (화) 19:40 (KST)[답변]

감사합니다. --Aydın (토론) 2011년 8월 16일 (화) 19:43 (KST)[답변]

알찬 글 후보[편집]

안녕하세요. 괜찮으시면 알찬 글에 입후보한 연세대학교 문서의 검토(위키백과:알찬 글 후보/연세대학교)를 부탁드립니다.--천리주단기, 소통 2011년 8월 28일 (일) 00:56 (KST)[답변]

안녕하세요[편집]

안녕하세요. 요즘 다시 타이 관련 문서를 생성하고 있습니다만.. 역시나 사람 이름의 번역이 말썽이 되어버렸네요.. 혹시 도와주실 수 있으신가요? 일단, 타이의 내각 목록시암 인민위원회입니다. --가람 (논의) 2011년 10월 3일 (월) 17:16 (KST)[답변]

밥 먹고 와서 편집해 둘게요. :) -Aydın (토론) 2011년 10월 3일 (월) 18:20 (KST)[답변]
음.. 여기서 어긋난다는 게, 무엇이, 어떠하게 다르다는 것입니까? --가람 (논의) 2011년 10월 8일 (토) 19:18 (KST)[답변]
우선 영문판 기준 표에서 두 번째 인물인 프라야 시위산와짜는 태국어판에서 세 번째 인물이며, 태국어판에서 두 번째 인물은 프라야 쁘리차촌윳(นายพลเรือตรี พระยาปรีชาชลยุทธ)입니다. 여기부터 영문판의 셋째 인물인 폿 파혼요틴은 태국어판에서는 넷째, 하는 식으로 한칸씩 밀려서 영문판 아홉째, 태국어판 열째인 루앙 신투송크람차이까지 가죠. 그리고 태국어판의 열한번째 인물은 루앙 쁘라딧마누탐(อำมาตย์ตรี หลวงประดิษฐ์มนูธรรม), 열두번째 인물은 루앙 뎃사하꼰(รองอำมาตย์เอก หลวงเดชสหกรณ์)으로 영문판에는 없는 인물입니다. 태국어판 열세번째인 뚜아 로파누끄롬이 영문판 열세번째인데, 이런 식으로 13~15번째의 경우는 태국어판과 영문판이 일치합니다. 영문판 10~12번째 인물의 경우는 태국어판에는 없는 배치순서죠. --Aydın (토론) 2011년 10월 9일 (일) 20:16 (KST)[답변]
즉, 태국어판 배치 순서를 따른 표는 다음과 같게 돼요. --Aydın (토론) 2011년 10월 9일 (일) 20:20 (KST)[답변]
# 직위 이름
1 위원장 마노빠꼰 니띠타다
2 구성원 프라야 쁘리차촌윳
3 구성원 프라야 시위산와짜
4 구성원 폿 파혼요틴
5 구성원 프라야 송수라뎃
6 구성원 프라야 리티악네
7 구성원 프라야 쁘라무안위차푼
8 구성원 프라 쁘라산피타야윳
9 구성원 루앙 피분송크람
10 구성원 루앙 신투송크람차이
11 구성원 루앙 쁘라딧마누탐
12 구성원 루앙 뎃사하꼰
13 구성원 뚜아 로파누끄롬
14 구성원 쁘라윤 폰몬뜨리
15 구성원 냅 파혼요틴

아, 그러면 저 순서가 권력 순위인가요? 어느 게 맞는 지 한 번 알아봐야 겠군요. --가람 (논의) 2011년 10월 10일 (월) 20:19 (KST)[답변]

크레이그 보간 정리[편집]

안녕하세요. 아이든님 위키백과에 기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새 문서 중 크레이크 정리에서 크레이그 보간 정리로 넘겨주는 문서들은 문제가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en:Craig's theorem(크레이그 정리)가 크레이크 보간 정리와 별개로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해당 문서들을 삭제하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인명 관련된 정리를 넘겨주기 처리하실 경우 그 사람이 한 개 이상의 정리를 증명하지는 않았는지 신중하게 검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이강철 (토론) 2011년 10월 20일 (목) 12:27 (KST)[답변]

아,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보간 정리만 많이 알려져 있어서 무심결에 넘겼었군요. --Aydın (토론) 2011년 10월 20일 (목) 12:42 (KST)[답변]
미심쩍어 찾아보았더니 있더군요. 세상에는 모르고 있는 정리가 너무 많습니다 :) --이강철 (토론) 2011년 10월 20일 (목) 12:49 (KST)[답변]

สวัสดีปีใหม่[편집]

Happy New Year!!!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D --B20180 (토론) 2012년 1월 1일 (일) 00:22 (KST)[답변]

일본계인명의 표기[편집]

일반적으로 한국인은 김씨는 킴이라고 김으로 표기합니다. 일본계는 다른 기준을 적용할 이유가 있나요? --무소속 (토론) 2012년 3월 20일 (화) 17:00 (KST)[답변]

음.. 일본계 남아메리카 사람의 경우 현지 발음대로 읽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일단 외래어표기법대로 옮겼는데, 타 문서 등에서의 용례를 좀 더 찾아볼게요. 저도 '스즈키'로 쓰는 게 합당하다고 느껴지기는 합니다만.. --Aydın (토론) 2012년 3월 20일 (화) 17:06 (KST)[답변]
용례가 좀 뒤죽박죽이군요. 수사나 이구치(Susana Higuchi), 유코 카바구티(Юко Кавагути), 료투 마시다(Lyoto Machida) 등은 해당 언어에 맞춰서 읽는데, 미나미 가나코는 일본식으로 읽고.. 잘은 모르겠지만 일단 해당 언어에 맞춰서 읽는 경우가 수적으로 우세하긴 합니다. 혹시 관용적으로 일본식(스즈키)로 읽는 경우가 압도적이라는 걸 입증할 만한 자료가 있을까요? --Aydın (토론) 2012년 3월 20일 (화) 17:14 (KST)[답변]
일본계의 용래는 잘 모르겠습니다. --무소속 (토론) 2012년 3월 21일 (수) 07:27 (KST)[답변]

페르시아 만의 이름에 대한 논쟁[편집]

페르시아 만의 이름에 대한 논쟁 문서 생성 가능하신가요? 동아시아의 동해/일본해 지명 분쟁과 같은 지명에 대한 분쟁인데 이란 측에서는 페르시아 만(Persian Gulf), 아랍 세계 국가(특히 아랍어권과 아라비아 반도 국가) 측에서는 아라비아 만(Arabian Gulf)이라고 부르고 일부에서는 걸프(The Gulf, "만"(灣)이라는 뜻)라고 부른다고 하네요.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2년 7월 8일 (일) 16:43 (KST)[답변]

추후 시간이 나면 en:Persian Gulf naming dispute를 번역해 보겠습니다. 다만 요새는 바빠서 간단한 편집만 하고 있네요;; --Aydın (토론) 2012년 7월 8일 (일) 20:54 (KST)[답변]

수학 도장[편집]

포락선의 주 기여자분께 이 도장을 찍어 드립니다. 쾅! --Gcd822 (토론) 2018년 3월 21일 (수) 14:1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