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 (남조)
보이기
이름 | 저자 | 권수 |
---|---|---|
사기 | 전한·사마천 | 130 |
한서 | 후한·반고·배인 | 100 |
후한서 | 유송·범엽·배송지 | 120 |
삼국지 | 서진·진수·배잠 | 65 |
진서(晉書) | 당·방현령·배행검 등 | 130 |
송서 | 양·심약 | 100 |
남제서 | 양·소자현 | 59 |
양서 | 당·요사렴 | 56 |
진서(陳書) | 당·요사렴 | 36 |
위서 | 북제·위수 | 114 |
북제서 | 당·이백약 | 50 |
주서 | 당·영호덕분 등 | 50 |
수서 | 당·위징 등 | 85 |
남사 | 당·이연수 | 80 |
북사 | 당·이연수 | 100 |
구당서 | 후진·유후 등 | 200 |
신당서 | 송·구양수 등 | 225 |
구오대사 | 송·설거정 등 | 150 |
신오대사 | 송·구양수 | 74 |
송사 | 원·토크토 등 | 496 |
요사 | 원·토크토 등 | 116 |
금사 | 원·토크토 등 | 135 |
원사 | 명·송렴 등 | 210 |
명사 | 청·장정옥 등 | 332 |
신원사* | 중화민국·커샤오민 등 | 257 |
청사고* | 중화민국·자오얼쑨 등 | 536 |
진서(陳書)는 당나라의 사학가인 요사렴이 636년에 편찬한 사서이며, 이십사사 중 하나이다. 중국 남북조 시대(439년 - 589년)의 남조 마지막 왕조인 진나라(陳)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황제, 왕을 중심으로 적은 본기 6권, 나라를 종사한 가신이나 주변 이민족의 에피소드가 기록된 열전 30권으로 구성이 되고 있으며 표나 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11세기경, 북송의 사관수찬인 증공 등의 손에 의해서 간행되었다.
내용
[편집]제기(帝紀)
[편집]### | 제목 | 목록 | 시기(음력) | 비고 | |
---|---|---|---|---|---|
권1 | 제기1 | 고조(高祖) 上 | 무제 패선(武帝 覇先) | 545년 6월 ~ 557년 10월 (소량 대동(大同) 11년 ~ 소량 태평(太平) 2년) |
|
권2 | 제기2 | 고조(高祖) 下 | 557년 10월 ~ 559년 6월 (영정(永定) 원년 ~ 영정(永定) 3년) |
||
권3 | 제기3 | 세조(世祖) | 문제 천(文帝 蒨) | 559년 6월 ~ 566년 4월 (영정(永定) 3년 ~ 천강(天康) 원년) |
|
권4 | 제기4 | 폐제(廢帝) | 임해왕 백종(臨海王 伯宗) | 566년 4월 ~ 568년 11월 (천강(天康) 원년 ~ 광대(光大) 2년) |
|
권5 | 제기5 | 선제(宣帝) | 효선제 욱(孝宣帝 頊) | 568년 11월 ~ 582년 1월 (광대(光大) 2년 ~ 태건(太建) 14년) |
|
권6 | 제기6 | 후주(後主) | 후주 숙보(後主 叔寶) | 582년 1월 ~ 589년 1월 (태건(太建) 14년 ~ 정명(禎明) 3년) |
열전(列傳)
[편집]열전
### | 부제 | 목록 | 비고 | |
---|---|---|---|---|
권7 | 열전1 | 황후(皇后) | 고조장황후(高祖章皇后), 세조심황후(世祖沈皇后), 폐제왕황후(廢帝王皇后), 고종류황후(高宗柳皇后), 후주심황후(後主沈皇后), 후주장귀비(後主張貴妃) | |
권8 | 열전2 | 두승명(杜僧明), 주문육(周文育), 후안도(侯安都) | ||
권9 | 열전3 | 후전(侯瑱), 구양외(歐陽頠), 오명철(吳明徹) | ||
권10 | 열전4 | 주철호(周鐵虎), 정영세(程靈洗) | ||
권11 | 열전5 | 황법변(黃法抃), 순우량(淳于量), 장소달(章昭達) | ||
권12 | 열전6 | 호영(胡穎), 호삭(胡鑠), 서도(徐度), 두릉(杜稜), 심각(沈恪) | ||
권13 | 열전7 | 서세보(徐世譜), 서세휴(徐世休), 노실달(魯悉達), 주부(周敷), 순랑(荀朗), 순법상(荀法尙), 주경(周炅) | ||
권14 | 열전8 | 형양헌왕 창(衡陽獻王 昌), 남강민왕 담랑(南康愍王 曇朗) | ||
권15 | 열전9 | 종실(宗室) | 진의(陳擬), 진상(陳詳), 진혜기(陳慧紀) | |
권16 | 열전10 | 조지례(趙知禮), 채경력(蔡景歷), 유사지(劉師知), 사기(謝岐) | ||
권17 | 열전11 | 왕충(王沖), 왕통(王通), 원경(袁敬) | ||
권18 | 열전12 | 심중(沈衆), 원필(袁泌), 유중위(劉仲威), 유광덕(劉廣德), 육산재(陸山才), 왕질(王質), 위재(韋載) | ||
권19 | 열전13 | 심형(沈炯), 우여(虞荔), 마추(馬樞) | ||
권20 | 열전14 | 도중거(到仲擧), 한자고(韓子高), 화교(華皎) | ||
권21 | 열전15 | 사철(謝哲), 소건(蕭乾), 사하(謝嘏), 장종(張種), 장릉(張稜), 장치재(張稚才), 왕고(王固), 공환(孔奐), 소윤(蕭允) | ||
권22 | 열전16 | 육자륭(陸子隆), 육지무(陸之武), 육자재(陸子才), 전도집(錢道戢), 낙아(駱牙) | ||
권23 | 열전17 | 심군리(沈君理), 심매(沈邁), 심군고(沈君高), 왕창(王瑒), 왕유(王瑜), 육선(陸繕), 육견현(陸見賢) | ||
권24 | 열전18 | 주홍정(周弘正), 원헌(袁憲) | ||
권25 | 열전19 | 배기(裴忌), 손창(孫瑒) | ||
권26 | 열전20 | 서릉(徐陵) | ||
권27 | 열전21 | 강총(江總), 요찰(姚察) | ||
권28 | 열전22 | 세조 9왕(世祖九王) | 시흥왕 백무(始興王 伯茂), 파양왕 백산(鄱陽王 伯山), 진안왕 백공(晉安王 伯恭), 형양왕 백신(衡陽王 伯信), 여릉왕 백인(廬陵王 伯仁), 강하왕 백의(江夏王 伯義), 무릉왕 백례(武陵王 伯禮), 영양왕 백지(永陽王 伯智), 계양왕 백모(桂陽王 伯謀) | |
고종 29왕(高宗二十九王) | 예장왕 숙영(豫章王 叔英), 장사왕 숙견(長沙王 叔堅), 건안왕 숙경(建安王 叔卿), 의도왕 숙명(宜都王 叔明), 하동한 숙헌(河東王 叔獻), 신채왕 숙제(新蔡王 叔齊), 진희왕 숙문(晉熙王 叔文), 회남왕 숙표(淮南王 叔彪), 시흥왕 숙중(始興王 叔重), 심양왕 숙엄(尋陽王 叔儼), 악양왕 숙신(岳陽王 叔愼), 의양왕 숙달(義陽王 叔達), 파산왕 숙웅(巴山王 叔雄), 무창왕 숙우(武昌王 叔虞), 상동왕 숙평(湘東王叔平), 임하왕 숙오(臨賀王 叔敖), 양산왕 숙선(陽山王 叔宣), 서양왕 숙목(西陽王 叔穆), 남안왕 숙검(南安王 叔儉), 남군왕 숙징(南郡王 叔澄), 원릉왕 숙흥(沅陵王叔興), 악산왕 숙소(岳山王 叔韶), 신흥왕 숙순(新興王 叔純), 파동왕 숙모(巴東王 叔謨), 임강왕 숙현(臨江王 叔顯), 신회왕 숙탄(新會王 叔坦), 신녕왕 숙륭(新寧王 叔隆), 신창왕 숙영(新昌王 叔榮), 태원왕 숙광(太原王 叔匡) | |||
후주 제자(後主諸子) | 황태자 심(皇太子 深), 오흥왕 윤(吳興王 胤), 남평왕 의(南平王 嶷), 영가왕 언(永嘉王 彦), 남해왕 건(南海王 虔), 신의왕 지(信義王 祗), 소릉왕 긍(邵陵王 兢), 회계왕 장(會稽王 莊), 동양왕 전(東陽王 恮), 오군왕 번(吳郡王 蕃), 전당왕 념(錢塘王 恬) | |||
권29 | 열전23 | 종원요(宗元饒), 사마신(司馬申), 모희(毛喜), 채징(蔡徵) | ||
권30 | 열전24 | 소제(蕭濟), 육경(陸瓊), 고야왕(顧野王), 부재(傅縡) | ||
권31 | 열전25 | 소마가(蕭摩訶), 임충(任忠), 번의(樊毅), 노광달(魯廣達) | ||
권32 | 열전26 | 효행(孝行) | 은불해(殷不害), 사정(謝貞), 사마고(司馬暠), 장소(張昭) | |
권33 | 열전27 | 유림(儒林) | 심문아(沈文阿), 심수(沈洙), 척곤(戚袞), 정작(鄭灼), 전완(全緩), 장기(張譏), 고월(顧越), 심부해(沈不害), 왕원규(王元規) | |
권34 | 열전28 | 문학(文學) | 두지위(杜之偉), 안황(顔晃), 강덕조(江德藻), 유지(庾持), 허형(許亨), 저개(褚玠), 잠지경(岑之敬), 육염(陸琰), 하지원(何之元), 서백양(徐伯陽), 장정견(張正見), 채응(蔡凝), 완탁(阮卓) | |
권35 | 열전29 | 웅담랑(熊曇朗), 주적(周迪), 유이(留異), 진보응(陳寶應) | ||
권36 | 열전30 | 시흥왕 숙릉(始興王 叔陵), 신안왕 백고(新安王 伯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