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응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응부
兪應孚
이름
신지(信之)
벽량(碧梁)
시호 충목(忠穆)
신상정보
출생일 미상
출생지 미상
사망일 1456년
사망지 미상
국적 조선
성별 남성
본관 기계
서훈 병조판서 추증

유응부(兪應孚, ?~1456년)는 조선의 무신으로 사육신 중 한 사람이다. 자는 신지, 호는 벽량, 시호 충목(忠穆), 포천 출신이며 본관은 기계이다.

생애[편집]

효성이 지극해 집이 가난했으나 어머니를 봉양하는 준비는 부족함이 없었다고 한다. 사 생활은 지극히 청렴해 벼슬이 재상급(宰相級)의 2품 관직에 있으면서도 거적자리로 방문을 가리웠고 고기 반찬 없는 밥을 먹었다. 또 때로는 양식이 떨어지기도 하니 처자가 이를 원망했는데, 그가 죽던 날 그 아내가 울면서 길가는 사람에게 말하기를 “살아서도 남에게 의지함이 없었는데 죽을 때는 큰 화를 입었구나.”고 하였다.

기골이 장대하고 효성이 지극했으며 재상급인 종2품에 이르러서도 끼니를 거를 정도로 청렴결백하였다. 키가 남보다 크고 얼굴 모양은 엄숙했으며, 씩씩하고 용감해 활을 잘 쏘아 세종과 문종이 아꼈다. 또한 학문에 뛰어나 절의파 학자로 알려졌다.[1]

세조의 국문을 받을 때, “너는 무슨 일을 하려고 하였는가?”라는 세조의 국문에 그는 “명나라 사신을 초청 연회하는 날 한 자루 칼로 족하(足下)를 죽여 폐위시키고 옛 임금을 복위시키려고 했으나, 불행히 김질에게 고발당했으니 다시 무슨 일을 하겠는가. 빨리 나를 죽여라.” 라고 답했다.

이후 그는 고문을 당하면서 성삼문 등을 돌아보고는 “사람들이 서생과는 함께 일을 모의할 수 없다고 하더니 과연 그렇다. 지난번 사신을 초청 연회하던 날 내가 칼을 사용하려고 했는데, 그대들이 굳이 말리면서 ‘만전의 계책이 아니오’ 하더니, 오늘의 화를 초래하고야 말았구나. 그대들처럼 꾀와 수단이 없으면 무엇에 쓰겠는가!” 하고 자신이 사람 보는 눈이 없다고 한탄하였다.

그리고 다시 세조에게 “만약 이 사실 밖의 일을 묻고자 한다면 저 쓸모없는 선비에게 물어보라” 하고는 입을 닫고 대답하지 않았다. 세조가 더욱 성이 나서 달군 쇠를 가져와서 배 밑을 지지게 하니 기름과 불이 함께 이글이글 타올랐으나 얼굴빛 하나 변하지 않았고, 천천히 달군 쇠가 식기를 기다려 그 쇠를 집어 땅에 던지면서 “이 쇠가 식었으니 다시 달구어 오라.” 하고는 끝내 굴복하지 않고 죽었다.

사후[편집]

시조 3수가 전한다. 숙종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과천(果川)의 민절서원(愍節書院), 홍주(洪州)의 노운서원(魯雲書院) 등에 배향되었다.[1]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