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지연선
삼지연선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위연청년역 (량강도 혜산시) |
종점 | 삼지연못가역 (량강도 삼지연시 베개봉동) |
역 수 | 8 |
개통일 | 1948년 |
소유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운영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64 km[1]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단선? |
삼지연선(三池淵線)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혜산시 위연동에 위치한 위연청년역과 삼지연시 베개봉동에 위치한 삼지연못가역을 잇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의 철도 노선이다.
구 노선의 총 연장은 81.8 km이며, 762 mm의 협궤를 채택하였다. 2017년 개량된 신 노선은 표준궤를 사용하고 있다. 주로 삼지연 일대의 ‘혁명사적지’ 방문을 위하여 이용된다.[1]
역사
[편집]백두산 일대의 원목을 수송하기 위하여 일제 강점기에 생긴 노선을, 1948년에 개량해 다시 부설하였다.[2] 1994년에 대홍수로 유실되어 한동안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으며[3], 2005년에 신선 건설을 위하여 전 구간을 철거하였다.[4] 당에서는 6·18돌격대를 조직하여 2008년 11월부터 공사를 개시하였고 2009년 2월 15일 착공식까지 열었으나, 같은해 8월 자재 부족과 백두산 폭발 우려를 이유로 공사를 중단하고 돌격대를 강원도 고산군 과수농장 건설 사업에 투입시켰다.[4][5]
2015년 백두산관광철도 돌격대가 새로이 조직되었고, 노선을 개량함과 동시에 표준궤로 개궤하는 공사가 5월 25일 재개되었다.[6] 같은해 6월 4일에는 착공식을 진행하였으나[7], 7월 다수의 돌격대원들이 폭우로 실종되었으며[8], 2016년 초 레일 수급이 어려워져 공사가 중지되었다.[9] 2016년 말 공사를 재개하여[10], 2017년 4월 5일 첫 시험운행을 하였으며 4월 13일 개통하였다.[11] 이때 노선의 기점을 위연역에서 백두산청년선 대오천역으로 바꿀 계획이었다고 알려지기도 하였다.[6]
김일성과 김정일의 유훈에 따라 삼지연못가역에서 무산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예정되어 있다.[12]
노선 정보
[편집]역 목록
[편집]2018년
[편집]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위연청년 | Wiyŏn Ch'ŏngnyŏn | 渭淵靑年 | 0.0 | 0.0 | 백두산청년선 | 량강도 | 혜산시 | |
화전 | Hwajŏn | 樺田 | 보천군 | |||||
보천청년 | Poch'ŏn Ch'ŏngnyŏn | 普天靑年 | ||||||
(신호소) | ||||||||
포태 | P'ot'ae | 胞胎 | 삼지연시 | |||||
리명수청년 | Rimyŏngsu Ch'ŏngnyŏn | 鯉明水靑年 | ||||||
삼지연청년 | Samjiyŏn Ch'ŏngnyŏn | 三池淵靑年 | ||||||
삼지연못가 | Samjiyŏn Motka | 三池淵못가 |
1948~2005년
[편집]역이름 | 영업 거리 (km) |
접속노선 | 소재지 | |
---|---|---|---|---|
위연(渭淵) | 0.0 | 백두산청년선 | 량강도 | 혜산시 |
화전(樺田) | 보천군 | |||
가림(佳林) | 보천선 | |||
간삼봉(間三峰) | ||||
차가수(車哥水) | 삼지연시 | |||
독산(獨山) | ||||
삼포(三浦) | ||||
리명수(鯉明水) | ||||
건창(乾昌) | ||||
베개봉(-峰) | ||||
삼지연(三池淵) | ||||
못가 |
각주
[편집]- ↑ 가 나 노정민 (2015년 6월 17일). “혜산~삼지연 철길, 정치적 의도 내포”. 자유아시아방송. 2015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북한지역정보넷 - 삼지연선, 2014년 2월 24일 확인함.
- ↑ 이성진 (2008년 10월 16일). ““사람 굶는데 ‘김일성 100년’ 공사 한창””. 데일리NK. 2015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성진 (2009년 10월 9일). “北 자재난 심각…2012년 국책사업 줄줄이 ‘중단’”. 데일리NK. 2015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안윤석 (2011년 2월 10일). “北, 백두산 화산폭발 대비 사전준비 돌입”. 노컷뉴스. 2014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문성휘 (2015년 5월 28일). “북, ‘백두산 관광철도’ 공사 재개”. 자유아시아방송. 2017년 8월 6일에 확인함.
- ↑ 최송민 (2015년 6월 12일). ““北, 김정은 여름 휴양 위해 수천명 동원해 전용철도 건설””. 데일리NK. 2015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11일에 확인함.
- ↑ 안윤석 (2015년 7월 2일). “北 양강도 폭우, 6월 한달 17명 사망”. 노컷뉴스. 2015년 7월 11일에 확인함.
- ↑ 문성휘 (2016년 4월 20일). “백두산철도 기간 내 완공 어려워”. 자유아시아방송.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 ↑ 문성휘 (2017년 3월 22일). “북, 삼지연 철도공사에 총력”. 자유아시아방송. 2017년 8월 6일에 확인함.
- ↑ 문성휘 (2017년 4월 11일). “북, ‘혜산-삼지연’간 철도공사 완공”. 자유아시아방송. 2017년 8월 6일에 확인함.
- ↑ 문성휘 (2015년 6월 10일). “북, 외화벌이 급해 북부 윤환선 포기”. 자유아시아방송. 2015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북변의 전변을 안아오시려》 (기록영화). 평양: 조선중앙통신. 2018년 12월 31일. 11분 11초. 2019년 1월 21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고쿠부 하야토(国分隼人), 《장군님의 철도-북조선 철도사정》, 新潮社, 2007, ISBN 978-4-10-3037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