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함북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함북선
함북선의 위치
간평역 인근에서 본 함북선의 모습
기본 정보
운행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류간선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청암역
(함경북도 청진시)
종점라진역
(라선시)
노선 제원
영업 거리326.8 km
궤간1,435 mm
선로 수2(수성- 고무산)[1], 이하 단선
함북선(청진청년역-라진역)
 본선 
STR
평라선(경성역 방면)
BHF
0.0 청진청년
BHF
청암
ABZgr
평라선(라진역 방면)
ABZg+l
강덕선(남강덕역 방면)
BHF
7.8 수성
STR+GRZq
청진시/부령군
HST
13.4 석막
HST
21.2 장흥
HST
형제
BHF
35.7 부령
BHF
42.0 고무산
ABZgl
무산선(신참역 방면)
HST
석봉
BHF
54.5 창평
STR+GRZq
부령군/회령시
HST
61.8 전거리
HST
67.9 풍산
HST
창두
HST
79.5 중도
HST
81.2 대덕
ABZg+l
회령탄광선(유선역 방면)
BHF
92.6 회령청년
eHST
93.5 신회령(폐지)
HST
96.3 금생
HST
102.0 고령진
HST
신학포
ABZgr
세천지선(세천역 방면)
HST
110.3 학포
HST
119.7 신전
HST
126.1 간평
STR+GRZq
회령시/온성군
BHF
133.0 삼봉(구상삼봉역)
eABZgl
구자오카이선(舊朝開線)
STR
(룽징역 방면)
eHST
136.2 하삼봉(폐지)
BHF
142.1 종성
ABZgr
동포선(동포역 방면)
eHST
147.4 소암(폐지)
ABZg+r
성평선(성평역 방면)
BHF
150.3 강안리(구동관역)
HST
156.2 수구포
HST
162.9 강양
KRWgl+l STRq
남양국경선(투먼역 방면)
BHF
169.0 남양
BHF
172.9 풍리
HST
179.0 세선
BHF
183.5 온성
HST
189.0 풍인
HST
198.6 황파
eABZg+l
구동만주철도
BHF
208.2 훈융
STR+GRZq
온성군/새별군(경원군)
HST
213.6 하면
BHF
217.9 새별(경원)
HST
225.2 농포
HST
229.0 룡동리
HST
237.4 신건
ABZgr
고건원선(고건원역 방면)
STR+GRZq
새별군(경원군)/은덕군(경흥군)
BHF
248.0 신아산
ABZg+l
춘두선(춘두역 방면)
HST
255.3 송학
ABZg+r
회암선(오봉역 방면)
BHF
261.2 학송
STR+GRZq
함경북도 은덕군(경흥군)
STR
라선특별시
HST
269.9 청학
HST
279.6 사회
BHF
285.6 홍의
KRWgl+l STRq
홍의선(두만강역 방면)
HST
물골
HST
292.7 구룡평
HST
300.7 웅상
eHST
308.1 동선봉(폐지)
BHF
313.0 선봉(구웅기역)
ABZgl
승리선(승리역 방면)
HST
319.2 관곡
BHF
328.2 라진
ABZgl
평라선, 라진항선
 세천지선 
STR
본선(회령청년역 방면)
HST
0.0 신학포
ABZgl
본선(삼봉역 방면)
KBHFe
세천
  • 거리는 청진청년역을 기점으로 함

함북선(咸北線)은 함경북도 청진시 청암역을 기점으로 회령, 종성, 온성을 지나 라선시에 위치한 라진역을 연결하면서 한반도의 최북단을 휘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이다. 일제강점기에 도문철도주식회사에 의해 개통되어서 도문선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함경북도 청진으로 들어오는 일본 화물을 중국으로 실어 나르는 중계철도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래 청진에서 상삼봉역에 이르는 구간은 함경선의 일부로 건설되었지만, 함북선으로 분리되었다.

노선 정보

[편집]
  • 구간과 거리 : 청암역―라진역 325.1km
  • 역 수 : 51개(양단역 포함).
  • 궤도 간격 : 1435mm(표준궤). 홍의역—라진역 구간은 1524mm(광궤)와 혼합됨(4선궤도 구조).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직류 3000V)
  • 복선 구간 : 수성역―고무산역
  • 폐역 정보
- 신회령역(新會寧驛) : 청진청년역 기점 93.5km 지점에 존재하였음.[2]
- 하삼봉역(下三峰驛) : 청진청년역 기점 약 136km 지점에 존재하였음.[2]
- 소암역(嘯巖驛) : 청진청년역 기점 147.4km 지점에 존재하였음.
- 동선봉역(東先鋒驛) : 청진청년역 기점 308.1km 지점에 존재하였음.

연혁

[편집]
  • 1916년부터 1917년까지 청진역(청진청년역)~회령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함경선 문서를 참조하시오.
  • 1920년 1월 5일: 회령역~상삼봉역(삼봉역) 구간 개통.
  • 1922년 12월 1일: 상삼봉역~종성역 구간 개통.
  • 1924년 11월 1일: 종성역~동관진역(潼關鎭驛, 현재의 강안리역) 구간 개통.
  • 1929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도문철도주식회사 협궤선 회령역~동관진역 구간과 상삼봉교량을 매입하여 '도문서부선'(圖們西部線)으로 개칭함.[2]
  • 1929년 11월 16일: 도문동부선(圖們東部線) 웅기역(선봉역)~신아산역 구간 개통.[3]
  • 1930년 10월 1일: 신아산역~훈융역 구간 개통.
  • 1931년 10월 20일: 훈융역~온성역 구간 개통.
  • 1932년 11월 1일: 도문동부선 온성역~풍리역 구간 개통. 도문서부선 회령역~상삼봉역 구간의 표준궤 개량이 완료됨.[4]
  • 1932년 12월 1일: 풍리역~남양역 구간 개통.
  • 1933년 8월 1일: 상삼봉역~동관진역 구간을 표준궤로 개량하는 공사가 완성됨. 동시에 남양역~동관진역 구간도 개통됨. 하삼봉역이 폐지되고 동관진역이 동관역으로 개명됨.[5]
  • 1933년 10월 1일: 수성역~웅기역 구간이 남만주철도에 위탁경영됨(함경선 문서 참조).
  • 1934년 11월 1일: 청진역~남양역 구간은 '북선서부선', 남양역―웅기역 구간은 '북선동부선'으로 개칭됨.[6]
  • 1935년 11월 1일: 나진항의 정비에 따라서 웅기역―나진역 구간 개통됨(당시의 웅라선).
  • 1936년: 나진역―신경역(창춘역) 구간을 연결하는 급행열차 '아사히호'의 운행이 시작됨.
  • 1940년 10월 1일: 청진역―상삼봉역 구간은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경영을 이관받아 이 구간은 함경선에 포함됨.
  • 1944년 10월 1일: 소암역 폐쇄.[6]
  • 1945년 4월 1일: 상삼봉역~웅기역 구간이 조선총독부철도에서 남만주철도주식회사로 소유권이 이전됨.[7]
  • 1959년: 소련의 원조에 의하여 북한과 소련의 국경에 친선교가 개통됨.
  • 2008년: 러시아 하산역―라진역 구간에 표준궤와 광궤(1524mm)가 같이 설치되는 쌍궤공사(雙軌工事)가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합자로 시작됨(홍의선 포함).
  • 2013년 9월 22일: 본선 홍의역과 라진역 구간에 쌍궤공사가 완공되어 라진항에서 완공경축행사가 거행됨.[8]

역목록

[편집]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청진청년 Ch'ŏngjin Ch'ŏngnyŏn 淸津靑年 평라선·청진항선
청암 Ch'ŏng'am 靑岩 평라선
수성 Susŏng 輸城 강덕선
석막 Sŏngmak 石幕
장흥 Changhŭng 章興
형제 Hyŏngje 兄弟
부령 Puryŏng 富寧
고무산 Komusan 古茂山 무산선
석봉 Sŏkpong 石峰
창평 Ch'angp'yŏng 蒼坪
전거리 Chŏn'gŏ-ri 全巨里
풍산 P'ungsan 豊山
창두 Ch'angdu 昌斗
중도 Chungdo 中島
대덕 Taedŏk 大德
회령청년 Hoeryŏng Ch'ŏngnyŏn 會寧靑年 회령탄광선
금생 Kŭmsaeng 金生
고령진 Koryŏngjin 高嶺鎭
신학포 Sinhakp'o 新鶴浦 세천선
학포 Hakp'o 鶴浦
신전 Sinjŏn 新田
간평 Kanp'yŏng 間坪
삼봉 Sambong 三峰
종성 Chongsŏn 鍾城 동포선
강안리 Kangal-li 江岸里 성평선
수구포 Sugup'o 水口浦
강양 Kangyang 江陽
남양 Namyang 南陽 남양국경선
풍리 P'ungri 豊利
세선 Sesŏn 世仙
온성 Unsŏng 穩城
풍인 P'ungin 豊仁
황파 Hwangp'a 黃坡
훈융 Hunyung 訓戎
하면 Hamyŏn 下面
경원 Kyŏngwŏn 慶源
농포 Nongp'o 農圃
룡당리 Ryongdang-ri 龍堂里
신건 Singŏn 新乾 고건원선
신아산 Sinasan 新阿山
송학 Songhak 松鶴 춘두선
학송 Haksong 鶴松 회암선
청학 Ch'ŏnghak 靑鶴
사회 Sahoe 四會
홍의 Hong'ŭi 洪儀 홍의선
물골 Mulgol 두만강선
구룡평 Kuryongp'yŏng 九龍坪
웅상 Ungsang 雄尙
선봉 Sŏngbong 先鋒 승리선
관곡 Kwan'gok 寬谷
웅라 Ungra 雄羅
라진 Rajin 羅津 평라선·라진항선

참고 문헌

[편집]
  • 이동훈 (2008년 12월 22일). “북한 철도 유라시아 철도의 ‘끊어진 고리’ 北, 12개 주요 노선 어떤 상태인가”. 조선일보. 
  • 고쿠부 하야토(国分隼人), 《将軍様の鉄道 北朝鮮鉄道事情》, 新潮社, 2007, ISBN 978-4-10-303731-6
  • 鉄道省 編,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503〜505
  • 한국철도공사, 《철도주요연표 2010》, 2010

각주

[편집]
  1. “북한교통연보”. 동북아, 북한 연구센터. 200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2.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669호, 1929년 3월 28일자
  3.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848호, 1929년 10월 30일자
  4.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1741호, 1932년 10월 26일자
  5.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1963호, 1933년 7월 26일자
  6. 南満州鉄道株式会社全路線 Archived 2013년 10월 21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홈페이지)
  7.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461호, 1945년 4월 21일자
  8. “ロ朝鉄道 思惑乗せ走る”. 朝日新聞(朝刊), 2013년 9월 23일자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