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선(함흥역—부전호반역)
|
|
|
|
평라선(흥남역 방면)
|
|
0.0
|
함흥
|
|
|
평라선(고원역 방면)
|
|
|
서호선(서호역 방면)
|
|
|
가담
|
|
9.3
|
부민
|
|
|
↑함흥시/영광군↓
|
|
12.3
|
장흥
|
|
|
|
|
|
장진선(사수역 방면)
|
|
17.0
|
영광
|
|
22.2
|
중상(폐지)
|
|
25.9
|
풍상
|
|
|
|
|
28.2
|
장풍(폐지)
|
|
30.7
|
전동(폐지)
|
|
|
|
|
33.5
|
천불산
|
|
|
↑영광군/신흥군↓
|
|
41.0
|
신흥
|
|
|
|
|
|
|
|
43.8
|
길봉(폐지)
|
|
47.9
|
동흥
|
|
54.1
|
경흥
|
|
55.9
|
송하
|
|
60.0
|
하송흥(폐지)
|
|
61.0
|
송흥
|
|
|
↑신흥군/부전군↓
|
|
66.4
|
백암산(폐지)
|
|
68.1
|
부전령
|
|
74.7
|
함지원
|
|
81.0
|
부전(구원풍역)
|
|
88.9
|
도안
|
|
91.6
|
부전호반
|
|
- 역명과 거리는 일본어판 위키백과 등을 참고로 작성함
|
신흥선(新興線)은 함경남도 함흥시의 함흥역과 부전군의 부전호반역을 연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이다. 본선은 1933년 9월 10일에 송흥역~부전호반역 구간의 개통으로 완성되었다. 이 노선은 부전강수력발전소까지 연결되는 산업철도로서 전력 개발은 물론 개마고원의 탑승객과 고원지대 개발에도 큰 몫을 하고 있다. 송흥역~부전령역 구간에는 대한민국에서는 이미 사라진 인클라인[1]도 설치되어 있다.
노선 정보[편집]
- 노선과 거리 : 함흥역—부전호반역 91.6km
- 역 수 : 17개(양단역 포함)
- 궤도 간격 : 함흥역—신흥역(1435mm, 표준궤), 신흥역—부전호반역(762mm, 협궤)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직류 3000V)
- 복선 구간 : 없음
함남선 구간(함흥역—신흥역)[편집]
송흥선 구간(신흥역—부전호반역)[편집]
역 목록[편집]
각주 및 참고 문헌[편집]
- ↑ 북한에서는 '쇠바줄철길' 이라 부른다.
- ↑ 이 구간 중에서 풍상역~장풍역 구간은 후일 폐지됨.
- 고쿠부 하야토(国分隼人), 《将軍様の鉄道 北朝鮮鉄道事情》, 新潮社, 2007, ISBN 978-4-10-303731-6
- 鉄道省 編,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510~511, 516〜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