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꼬리프레리도그
![]() | ||||||||||||||||||
![]() 흰꼬리프레리도그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Cynomys leucurus (Merriam, 1890) | ||||||||||||||||||
![]() 흰꼬리프레리도그의 분포 지역[2] |
흰꼬리프레리도그(Cynomys leucurus)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5종의 프레리도그 중의 하나이다. 미국 와이오밍주 서부와 콜로라도주 서부, 유타주 동부와 몬태나주 남부의 작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가장 큰 개체군은 와이오밍 주의 개체군이다.[3] 흰꼬리프레리도그는 해발 고도 1,520m와 3,050m 사이에서 서식하며, 일반적으로 다른 프레리도그보다 더 높은 곳에서 산다. 포식자는 검은발족제비와 아메리카오소리, 검독수리 등이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9년 헬겐(Helge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4]
마멋족 |
| ||||||||||||||||||||||||||||||||||||||||||||||||||||||||||||||||||||||||||||||||||||
각주[편집]
- ↑ “Cynomys leucur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1월 6일에 확인함.
- ↑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08. Cynomys leucurus. In: IUCN 2014.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4.3
http://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05 February 2015. - ↑ Blevins, Winfred (2001). 《Dictionary of the American West》. Sasquatch Books. 82쪽. ISBN 1-57061-304-4.
- ↑ Helgen, Kristofer M.; Cole, F. Russell; Helgen, Lauren E.; Wilson, Don E. (April 2009). “Generic Revision in the Holarctic Ground Squirrel Genus Spermophilus” (PDF). 《Journal of Mammalogy》 90 (2): 270–305. doi:10.1644/07-MAMM-A-309.1. 2011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