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다람쥐
![]() | ||||||||||||||||||||
![]() 바위다람쥐 | ||||||||||||||||||||
바위다람쥐의 경계 신호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Otospermophilus variegatus (Erxleben, 1777) | ||||||||||||||||||||
이명 | ||||||||||||||||||||
Spermophilus variegatus |
바위다람쥐(Otospermophilus variegatus)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멕시코와 미국 남서부의 토착종이다.
특징[편집]
다람쥐과에서 가장 큰 종의 하나로 성체가 되면 몸길이가 최대 53cm까지 자란다.[3] 앞면과 윗쪽 바위다람쥐의 털은 얼룩덜룩한 회갈색을 띤다. 뒷면과 아래 쪽의 회색 털은 더 얼룩덜룩란 갈색과 검은색 색조가 된다. 눈 주위에 반점 무늬의 밝은 색 고리가 있고, 귀는 뾰족하며 머리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위다람쥐는 끝이 흰 긴 붓꼬리를 갖고 있다.
아종[편집]
8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9년 헬겐(Helge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4]
마멋족 |
| ||||||||||||||||||||||||||||||||||||||||||||||||||||||||||||||||||||||||
각주[편집]
- ↑ “Spermophilus variegat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Thorington, R.W., Jr.; Hoffman, R.S. (2005). “Family Sciuridae” [다람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54–81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Helgen, Kristofer M.; Cole, F. Russel; Helgen, Lauren E. & Wilson, Don E (2009). “Generic Revision in the Holarctic Ground Squirrel Genus Spermophilus” (PDF). 《Journal of Mammalogy》 90 (2): 270–305. doi:10.1644/07-MAMM-A-309.1. 2011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Helgen, Kristofer M.; Cole, F. Russell; Helgen, Lauren E.; Wilson, Don E. (April 2009). “Generic Revision in the Holarctic Ground Squirrel Genus Spermophilus” (PDF). 《Journal of Mammalogy》 90 (2): 270–305. doi:10.1644/07-MAMM-A-309.1. 2011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