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마멋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Marmota broweri Hall & Gilmore, 1934 | ||||||||||||||||||||
![]() 알래스카마멋의 분포 지역 |
알래스카마멋(Marmota broweri)은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브룩스산맥마멋[2] 또는 브로워마멋[3]으로도 불린다. 알래스카주 브룩스 산맥 경사면의 무너져 내린 바위 부스러기 지역에서 발견된다. 풀과 속씨식물, 열매, 뿌리, 이끼, 지의류 등을 먹는다.[2] 몸길이 범위는 약 54~65cm이고, 몸무게는 2.5~4kg이다. 알래스카는 매년 2월 2일을 마멋이 굴에서 나오는 것을 통해 겨울이 얼마나 남아 있는가를 점치는 그라운드호그 데이를 대신하는 "마멋의 날"을 휴일로 기념한다.[4]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9년 헬겐(Helge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
마멋족 |
| ||||||||||||||||||||||||||||||||||||||||||||||||||||||||||||||||||||||||||||||||||||||||||||||||||||||||||||||||||||||||||||||||||||
각주[편집]
- ↑ “Marmota brower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1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North American Mammals: Marmota Broweri”. Smithsonian Institutio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1년 10월 7일에 확인함.
- ↑ Hubbart, Jason A. (2011).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Alaska marmot (Marmota Broweri): A Sensitive Species in a Changing Environment”. 《J Biol Life Sci》: 6–13. 2012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The Associated Press. "Alaska to celebrate its first Marmot Day," 보관됨 2010-02-05 - 웨이백 머신 Fairbanks Daily News-Miner. Feb. 1, 2010. Accessed Feb. 1, 2010.
- ↑ Helgen, Kristofer M.; Cole, F. Russell; Helgen, Lauren E.; Wilson, Don E. (April 2009). “Generic Revision in the Holarctic Ground Squirrel Genus Spermophilus” (PDF). 《Journal of Mammalogy》 90 (2): 270–305. doi:10.1644/07-MAMM-A-309.1. 2011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