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피리투산토영양다람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보전 상태 | ||||||||||||||||||||
---|---|---|---|---|---|---|---|---|---|---|---|---|---|---|---|---|---|---|---|---|
![]() 관심대상(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mmospermophilus insularis (Nelson & Goldman, 1909) | ||||||||||||||||||||
이명 | ||||||||||||||||||||
Ammospermophilus leucurus insularis Citellus insularis |
에스피리투산토영양다람쥐(Ammospermophilus insularis)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3] 멕시코의 토착종으로 칼리포르니아 만 에스피리투산토 섬에서만 발견된다. 원래는 1909년에 넬슨(Edward William Nelson)과 골드망(Edward Alphonso Goldman))이 기술했지만,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에 널리 분포하는 흰꼬리영양다람쥐(Ammospermophilus leucurus)의 아종으로 간주했다.[4] 두개골이 약간 크고 세번째 윗쪽 어금니가 없거나 아직 작기 때문에, 1938년 하우엘(Arthur H. Howell)이 별도의 종으로 승격했다. DNA와 염색체에 대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해리스영양다람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5][6] 2007년의 DNA 비교와 형태학적 특징에 의하면, 에스피리투산토영양다람쥐와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 및 인근 섬의 종 사이의 차이는 별도의 종으로 보증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오히려 흰꼬리영양다람쥐의 아종일 가능성이 있다.[7] 2008년 이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에스피리투산토영양다람쥐를 흰꼬리영양다람쥐의 아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각주[편집]
- ↑ Linzey, A.V., Timm, R., Álvarez-Castañeda, S.T., Castro-Arellano, I. & Lacher, T. (2008). “Ammospermophilus leucur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15.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5년 6월 23일에 확인함.
- ↑ Thorington, R.W., Jr.; Hoffman, R.S. (2005). 〈Family Sciuridae〉 [다람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97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Goodwin, Thomas (2009년 8월 14일). “Odontometric Patterns in the Radiation of Extant Ground-Dwelling Squirrels Within Marmotini (Sciuridae: Xerini)”. 《Journal of Mammalogy》 (영어) 90 (4): 1009–1019. doi:10.1644/08-MAMM-A-229.1. ISSN 0022-2372.
- ↑ Nelson & Goldman (1909). “Eleven new mammals from Lower California”.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22: 23–28.
- ↑ Howell, Arthur H. (1938). “Revision of the North American Ground Squirrels, with a Classification of the North American Sciuridae”. 《North American Fauna》 56: 1–256. doi:10.3996/nafa.56.0001.
- ↑ Best T. L., Caesar K., Trrus A. S., Lewis C. L. (1990). “Ammospermophilus insularis” (PDF). 《Mammalian Species》 (364): 1–4.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Álvarez-Castañeda, Sergio T. (2007). “Systematics of the Antelope Ground Squirrel (Ammospermophilus) from Islands Adjacent to the Baja California Peninsula”. 《Journal of Mammalogy》 88 (5): 1160–1169. doi:10.1644/06-MAMM-A-065R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