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다람쥐족
![]() | ||||||||||||||
![]() 북부하늘다람쥐(Glaucomys sabrinus) | ||||||||||||||
생물 분류![]() | ||||||||||||||
---|---|---|---|---|---|---|---|---|---|---|---|---|---|---|
| ||||||||||||||
속 | ||||||||||||||
|
날다람쥐족(Pteromyini) 또는 하늘다람쥐족은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 분류군이다.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의 막을 이용해 활강할 수 있다.
하위 속[편집]
- 북중국날다람쥐속 (Aeretes) - 유일종, 중국 북동부.
- 큰검은날다람쥐속 (Aeromys) - 2종. 타이에서 보르네오까지.
- 털북숭이발날다람쥐속 (Belomys) - 유일종, 동남아시아.
- 남다파날다람쥐속 (Biswamoyopterus) - 2종, 동남아시아.
- 카슈미르날다람쥐속 (Eoglaucomys)
- 양털날다람쥐속 (Eupetaurus) - 유일종, 카슈미르의 희귀종.
- 신대륙하늘다람쥐속 (Glaucomys) - 2종. 북아메리카.
- 화살꼬리다람쥐속 (Hylopetes) - 10종. 동남아시아.
- 호스필드날다람쥐속 (Iomys) - 2종,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 피그미날다람쥐속 (Petaurillus) - 3종. 보르네오와 말라야.
- 날다람쥐속 (Petaurista) - 5종. 일본, 동남아시아.
- 난쟁이날다람쥐속 (Petinomys) - 9종. 동남아시아.
- 하늘다람쥐속 (Pteromys) - 2종. 핀란드에서 시베리아, 한국, 일본까지.
- 검은날다람쥐속 (Pteromyscus) - 유일종, 남부 타이에서 보르네오까지.
- 복치날다람쥐속 (Trogopterus) - 유일종, 중국.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3년 머서(Mercer)와 로스(Roth), 2004년 스테판(Steppa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
다람쥐과 |
| ||||||||||||||||||||||||||||||||||||
다음은 2002년 토링톤(Thoringto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3]
날다람쥐족 |
| ||||||||||||||||||||||||||||||||||||||||||||||||||||||||||||||||||||||||||||||
사진[편집]
남아메리카날다람쥐(Glaucomys volans)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