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푸
![]() |
|

한푸 漢服 | |||||||||||||||||||
![]() | |||||||||||||||||||
![]() | |||||||||||||||||||
간체자 | 汉服 | ||||||||||||||||||
---|---|---|---|---|---|---|---|---|---|---|---|---|---|---|---|---|---|---|---|
정체자 | 漢服 | ||||||||||||||||||
영어 표기 | "한족의 착복" | ||||||||||||||||||
|
한푸(중국어 정체자: 漢服, 간체자: 汉服, 병음: hànfú)는 한족의 전통복식[1]이다. 한장(漢裝), 화복(華服)이라고도 한다.
명칭[편집]
한푸란 명사는 처음에는 한족의 전통복식에 대한 다른 민족들의 호칭이었다. 마치 호인의 전통복식을 호복(胡服)이라고 칭하는 것처럼 한인의 전통복식도 상대적으로 한푸라고 불렀다고 추청한다.
역사[편집]
용어의 어원은 신조어로 구체적인 뿌리는 알 수 없다. 많은 사람들이 고서의 기록을 통해 추정한 바에 따르면 삼황오제시기에, 선인들은 새나 짐승의 털로 옷을 만들어 입었고 나아가 마(麻)를 이용해 베옷(布)을 만들어 입었다. 나중에 황제의 정비(正妃)인 누조(嫘祖)가 뽕나무를 기르고 누에치는 것을 시작해 백성들에게 베를 짜고 옷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때문에 복식(服飾) 제도는 황제 시대부터 서서히 형성되기 시작했다. 하나라와 상나라를 거친 후 관복 제도가 점차 수립되기 시작했고 그 뒤를 이은 서주 시대에 주례 제도가 형성되어 의관예제(衣冠禮制)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생겼고 관복 제도가 점차 예치(禮治)의 범위 속으로 들어가 예의문화(禮儀文化)를 표현하는 방식의 하나가 되었다. 한푸는 이때에 이르러 더욱 완벽해졌다.=== 상나라
청나라[편집]
명나라 멸망후 만주족으로부터 만주족의 관습에 해당하는 변발과 의복을 받아들이기를 강요받은 한족들은 사양길을 가게 되었다. 특히, 치파오(旗袍)는 만주족의 청나라 시대 때 형성된 전통의상으로써, 청나라를 세운 만주족(滿洲族)의 기인(旗人)들이 입던 긴 옷에서 유래하였고, 청나라 순치제(順治帝) 원년에 수도를 베이징(北京)으로 옮기면서 치파오가 중원에 보급된 후 청나라 후기에 이르러 한족이 만주족의 옷차림을 모방하며 인기를 얻었다. 현재는 다양한 옷감과 디자인으로 중국의 전통 예복으로 자리잡았다.
한푸는 현대 중국의 전통복식인가?[편집]
결론부터 말하자면, 한족의 역사적 유산은 될 수 있어도 현재까지 내려오는 전통문화는 아니다. 하술할 현대에 내려오는, 진짜 전통 한푸 복식이 있긴 하나 해당 복장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역사적 유산에 그치며 전통으로 보지는 않는다. 애초에 시진핑 시대 이전까지는 이러한 한푸의 전통 복식화를 중국공산당이 직접 제지하였을 정도로 문제가 많았다. 정치적으로 민족주의를 거부하는 공산주의 체제인 것도 이유가 되었겠지만, 하술하는 대로 그 외적 문제도 수두룩하였기 때문이다.
현재 한푸의 구성성분인 오군 유군 철릭등등 이 모든 옷들이 백적(白狄)혹은 여러 선비족등등 이민족의 옷에서 유래된것들이라 순수 한족만의 옷이라고 볼 수도 없다. 하지만 근거를 제시하고 그들의 의복학자들의 논문을 제시해도 그들의 만병통치약같은 논리 "이민족이라도 그들은 한족에 융화되어 이미 한족이 되었다"라는 유전학적으로 증명되지도 증명할수도 없는 추측적인 논리를 절대논리인양 모두 가져다 붙힌다. 이 논리는 고구려 역사의 귀속 문제에도 자주쓰이는 그들의 증거없는 논리이니 가볍게 논파하면 된다.
전통이라는 단어는 현재까지 계승된 옛 문화를 뜻하는 것인데, 이 단어를 대입하는 순간 한푸는 이미 전통이라고 보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전통이란 옛부터 적어도 3대를 이어와야 전통이라 불리우며 그 중간에 단절이나 망각된 것들이 없어야 전통이라고 인정받을 수 있다. 이 비슷한 개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도 사용되는 개념이다. 아무리 그들이 실전 멸실된 당나라 음악을 복원해도 이는 세계무형유산이 될 수 없다. 세계문화유산중 특이하게 한국의 화성이 세계유산이 된 것은 복원근거가 과학적이고 세밀하고 건축에 사용된 돌수자 사용된 기계 모양까지 완벽하게 기록된 의궤가 있어서 등록이 가능했던 것 처럼 단순히 과거 무덤에서 발굴해 낸 유물을 현재 입어오고 지켜왔던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복원하여 입거나 다시 재창조한 것은 전통의 개념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들이 말하는 한푸는 여러 왕조마다 그 형태가 달랐으며 어떻게 대중들이 입어왔고 어떤식으로 만들어진지 알 수 없이 단지 발굴된 것을 제봉틀에 넣어 단순 복원한 것에 불과하여 전통의 개념에 부합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현대 이탈리아나 그리스의 전통 복장은 로마와 그리스의 토가와는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탈리아와 그리스 역시 현대까지 입어오지 않았던 고대 유물을 발굴하여 고대 로마인이 입었던 것을 복원하여 입고서는 그것이 현대로 전승된 전통문화라는 큰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이집트 고대의 복장을 발굴하여 현대 이집트인이 입어도 그들의 전통 복장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실제로 이집트인의 전통복식은 현재 이집트인이 입는 갈라베야만이 전통 복식으로 인정된다.
현재 이 한푸도 이런 간단한 전통의 개념을 무시하고 만들어낸 현대 복원 복식으로 그들의 역사적 선조는 될 수 있어도 현대 중국의 전통과는 큰 관계가 없다. 한복과 비교하자면, 현대에 우리가 흔히 칭하는 한복인 조선 의상의 경우 조선 말기 구한말의 실재 사람들이 입었던 모습의 사진들이 남아있고 일제강점기 그리고 현대 한국에 이르기까지 멸실과 단절없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전통이 된다. 왕실과 사대부의 의복도 이왕직아악부 대동종약원 종가들의 구성원들이 이 문화를 계승 중이기에 한국의 전통 의복이라 볼 수 있으며, 이에 반해 중국은 명나라가 1600년대에 망하고 근 400년간 한푸는 입지도 못했고 한푸가 있더라도 단순히 도교사원의 도복이나 극히 일부 유생의 옷 정도가 내려왔으며 여자의 한푸는 고려양과 같은 양식은 일찍이 명 건국 초기에 잠시 입다가 사라져 당시의 유행 정도는 될 수 있어도 중국사의 전통이라 볼 수 없는 것이고 또 기껏 있는 여성 한푸의 근대 사진도 조선의 한복과는 전혀 무관계한 것들이며 이것도 실생활용 의복이 아니라 희극인들이 코스프레 정도로 하여 찍은 사진에 불과한것으로 그 당시 전통과는 관계가 없던 것들이었다.
근데 현대 중국인들은 갑자기 마왕퇴 기원전 출토품 박물관 의복을 가지고 당시 어떤 바느질 기법도 모르고 장인도 아닌 일반인들이 모양만 보고 제봉틀에 넣어 급조한 산물들로 전통과는 무관한 의복으로 우리가 한푸를 그들의 바램대로 중국 전통 의복이라고 부르기에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엄연히 중국의 전통 복식은 치파오와 청조 때 내려온 한족 여성의 의복 등만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 한푸는 전통의상이 아닌 유적지 출토 정보를 일반인의 상상에 더해서 단순히 재현한 코스프레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이러한 문제 덕분에 중국 내에서도 한푸 운동에 반발을 가지는 사람들이 적잖이 있으나, 중국 특유의 체제 덕분에 목소리를 전혀 내지를 못 하고 있다.
종류[편집]
예살 도포 직철[편집]
曳撒源自蒙元的质孙服,在明朝成了全民皆穿的服装,甚至成了皇室的赐服(什么地位可以想象一下清朝的黄马褂),而明朝人自己则认为曳撒、道袍、直裰都是源自蒙元的袴褶(不同于南北朝、唐朝的袴褶),其实不管这些交领类袍服以及只在明朝早期存在的交领袄裙(中后期就被立领袄裙取代了)是起源什么,但肯定是蒙古人在元朝带入中原的习俗,因为之前唐朝、五代和宋朝,汉族人并不穿这些服装,除了少量连贵族自己一辈子都很难穿几次的礼服类服装,以及南宋朱熹复原的、只在少数士大夫中间穿着、被更多士大夫斥为妖服的深衣外,绝大部分汉人并不穿交领的袍服和交领的袄裙,当时男人主要穿圆领袍,女人穿对襟的襦裙和褙子。穿交领袍服和袄裙并不是唐宋时期汉人的传统。
예살은 몽골의 질손복에서 기원하며 명나라때 전국민이 모두입는 의복이 된다. 심지어 황실의 하사복이 된다(청조의 황마궤가 어떤지위인지 상상해 보자). 그리고 명나라 사람들은 스스로 예살 도포 직철 모두 몽골 기원의 의복이라고 여겼다(남북조 당나라의 주름바지와 다른것으로). 사실 이 교령류의 도포 및 단지 명나라 초기 존재한 교령오군(중후기에는 입령식 오군으로 교체됨)은 기원이 어디냐 다만 분명 몽골인이 원나라 때 중원으로 가지고 온 풍속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전의 당나라 오대 그리고 송나라때는 한족들이 결코 이런류의 의복을 입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종류의 극히 소수의 귀족들이 몇 차례 입을수도 없는 예복류의 복장과 남송의 주희가 복원한것으로 단지 소수 사대부들만 입었고 대다수 사대부들에게 요사스런 옷으로 고발당한 심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한족(漢族)들은 교령의 도포와 교령의 오군을 입지않았다. 당시 남자들은 주로 원령포, 여자들은 중국식 윗옷의 두 섶이 겹치지 않고 가운데에서 단추로 채우게 되어 있는 것인 유군과 배자를 입었다. 교령 도포와 교령오군은 당송시기 한족의 전통이 아니었다.
출처: 文献《明代的蒙元服饰遗存初探》
해당 복식은 쑹푸 말기와 밍푸 초기에서 나온 복식들로, 이들은 원나라의 영향을 짙게 받아 몽골식 호복과 비슷하였으며, 예살의 경우는 고려양을 통한 고려 말 여성용 한복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복제이다. 그러다보니 이들은 멸만흥한을 외치며 탄생한 중화민국의 경우와 같이 몽골식 복제를 제거하려 시도하는 명나라 조정에 의해 빠른 속도로 중국 의복사에서 사라진다.
참고로, 이 복식은 현재 중국의 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복식으로, 그 이유는 고려양을 통해 탄생한 복제인 예살이 존재하고, 고려말~조선 한복은 몽골 호복의 영향을 받아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정작 당시 중국에서는 현 치파오와 같은 위상을 가졌던 것을 생각하면 참 흥미로운 부분이다.
한복의 도포 철릭 직철등 교령의 복식 역시도 전통적인 한푸와는 다른 형태로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이 시기 복장은 치파오와 함께 한족이 입는 옷이기는 하지만 호복의 영향이 강하게 들어 가 있기 때문인데, 본래 한푸는 옷을 교차시키지 않는 직령 형태의 복장(밑에 있는 상~송대 한푸 사진 참조)을 입어왔으나 이 복식들은 옷을 교차시키는 교령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명나라 조정이 이러한 특징을 금지시킨 이후부터 서서히 이러한 복장이 사라져갔고, 명나라 중후반부터는 이러한 교령 형태가 아닌 직령에 단추 형태의 옷으로 발전하는데, 이 역시 몽골의 형태가 어느 정도 들어 간 한푸이다.
디이 | ![]() |
디이, 황후가 입던 옷 |
다슈산 | ![]() |
다슈산, 큰 소매의 적삼 |
루츈 | ![]() |
루츈, 일반적인 여성옷 |
즈두오 | ![]() |
즈두오, 소매가 매우 넓고 허리에는 충분한 여분을 두고 큼직한 주름을 잡은 승복 |
반비 | ![]() |
반비, 남성과 여성 모두를 위한 겉옷 |
창아오 | ![]() |
창아오, 여성을 위한 정장 |
다오파오 | ![]() |
다오파오, 남성을 위한 정장 |
선이 | 선이, 남성정장 | |
위안링산 | ![]() |
위안링산, 기본 관리귀족복장 |
란산 | ![]() |
란산, 여미는 옷으로 길이는 무릎까지 내려가며 무릎 아래로는 치마가 연결된옷. |
각주[편집]
- ↑ 주로 중국 한족들이 입었던 옷을 부르는 신조어이다. 원나라의 지배를 거쳐 명나라의 의복 또한 몽골풍으로 변하였고 청나라 시절 만주족 의복을 입게 되면서 한푸의 형태에 대한 기록은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하지만 최근들어 한족들이 입는 한푸를 복원하자는 운동이 시작되었고 벽화나 그림 등에 간간히 남아 있는 의복 형태를 참고하여 한푸라는 의상을 창작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