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초 발카레지
| ||||||
---|---|---|---|---|---|---|
![]() 1973년경의 발카레지 감독 | ||||||
개인 정보 | ||||||
본명 | Ferruccio Valcareggi | |||||
출생일 | 1919년 2월 12일 | |||||
출생지 | 이탈리아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주 트리에스테 | |||||
사망일 | 2005년 11월 2일 | (86세)|||||
사망지 |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피렌체 | |||||
포지션 | 은퇴 (과거 미드필더) | |||||
구단 기록* | ||||||
연도 | 구단 | 출전 (득점) | ||||
1937–1940 1940–1943 1944 1944–1947 1947–1948 1948–1949 1949–1951 1951–1952 1952–1954 |
트리에스티나 피오렌티나 밀란 볼로냐 피오렌티나 비첸차 루케세 브레시아 피옴비노 |
| ||||
지도자 기록 | ||||||
1952–1954 1954–1959 1959–1962 1962–1964 1964–1965 1966–1974 1975–1978 1979–1980 1979–1984 1985 |
피옴비노 프라토 아탈란타 피오렌티나 아탈란타 이탈리아 엘라스 베로나 로마 이탈리아 B 피오렌티나 | |||||
* 구단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의 공식 리그 경기 기록만 집계함. |
페루초 발카레지(이탈리아어: Ferruccio Valcareggi ferˈruttʃo valkaˈreddʒi[*], 1919년 2월 12일 ~ 2005년 11월 2일)는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선수 경력
[편집]발카레지는 1919년 2월 12일에 트리에스테에서 출생했다. 우측 공격형 중앙 미드필더였던{이탈리아 축구 용어로 반(半)측면 미드필더(mezzala)로 수식} 그는 선수 시절에 고향 트리에스티나에서 1937년에 축구를 시작해 피오렌티나, 밀란, 볼로냐 9개 구단을 거치며 피옴비노에서 은퇴한 1954년까지 성공적으로 현역 생활을 보냈다. 그는 1946년에 코파 알타 이탈리아를 우승했다. 그는 403번의 경기에 출전해 73골도 기록했는데, 이 중 59골은 270번의 경기에 출전한 세리에 A에서 기록했다. 그러나, 그는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한 적이 없다.[1][2]
감독 경력
[편집]발카레지는 감독으로서 한 획을 그은 인물로 회자되는데, 특히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을 반전시킨 것으로 기억된다. 그는 1952년에 선수 겸 감독으로 지도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프라토를 이끌고 1956-57 시즌 세리에 C 우승 및 세리에 B 승격을 이룩하고, 아탈란타와 피오렌티나 등의 이탈리아 구단을 지도한 그는 에드몬도 파브리의 수석 코치로 부임하다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했는데, 처음에는 엘레니오 에레라와 협력하다가, 이후 단독 감독이 되었다. 그는 1966년부터 1974년까지 국가대표팀을 지휘했는데, 안방에서 열린 유로 1968 우승을 거두었고, 멕시코에서 열린 1970년 월드컵에서도 준우승을 거두었다. 발카레지의 임기 8년 동안 패한 경기는 단 6번에 불과했다.[1][2][3][4]
발카레지는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부흥을 이끌었으나, 1970년 월드컵에서 악명 높은 전술을 릴레이(staffetta) 전법을 고안한 것으로도 알려져있다. 두 명의 결정력이 높은 공격수인 리바와 보닌세냐를 배치한 것 외에도 수비 안전성을 중시한 발카레지는 당시 이탈리아의 빼어난 두 플레이메이커인 잔니 리베라와 산드로 마촐라를 공존시키는 것이 불가능함에 따라 둘 중 하나씩만 출전시키는 릴레이 전법을 도입했다. 그는 이 두 창의적인 선수가 상호 호환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고, 두 선수들의 소속 구단이 숙적 관계라는 점을 감안해, 공격수 둘과 함께 두 선수를 동시에 선발로 출전시키면 대형의 균형이 무너질 것으로 보았는데, 특히 리베라는 마촐라와 대조되게 운동량이나 수비 가담력이 좋은 편이 아니었다. 반대로 마촐라가 장염으로 몸상태가 떨어졌을때 발카레지는 경기 전반마다 마촐라를, 리베라를 후반에 출전시키면 상대가 방전되어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유로 1968 우승과 1970년 월드컵 준우승에도 불구하고, 그의 전술은 서독과의 준결승전처럼 훨씬 공격적인 축구를 선보일 수 있었으나, 조별 리그에서의 부진과, 브라질과의 결승전 참패로 언론의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두 선수가 동시에 배치된 경우는 결승전에서 6분 가량이었는데, 리베라는 이 경기에서 막판 6분을 남기고 보닌세냐와 교체되어 투입되었다.[1][5][6][7]
발카레지는 1974년 월드컵에서도 이탈리아를 본선 무대에 올렸다. 비록 이탈리아는 우승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1차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고, 발카레지는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지휘봉을 내려놓았다. 대회 중, 그는 교체되어 나가는 조르조 키날리아로부터 욕설을 듣는 불미스러운 일을 겪었다.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내려놓은 후, 발카레지는 다시 이탈리아 구단 지휘봉을 잡았는데, 엘라스 베로나, 로마, 그리고 이탈리아 청소년 B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 그는 잠깐 평론가로도 근무했다. 그가 마지막으로 근무한 곳은 피오렌티나였다. 그는 2013년에 피오렌티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8]
감독 방식
[편집]이탈리아 국가대표팀 감독 시절, 발카레지의 탄탄한 전술은 엘레니오 에레라 감독이 1960년대에 인테르나치오날레 감독을 부임하며 각광받은 이탈리아 특유의 빗장(catenaccio) 전법으로부터 영감을 얻은 것으로, 최후방 수비수가 두 명의 대인방어를 하는 중앙 수비수와 측면 수비수 뒤에 배치되는 형태로, 전술의 핵심은 철저한 방어와 안정성에 요점을 두고 있다. 이탈리아는 그의 임기에 그의 전술로 선전하여 만족할 성과을 짜낼 수 있었는데, 득점으로 간소한 차이로 앞서나간 후, 실점을 막아 승리를 쟁취했는데, 이탈리아 언론의 골 결정력의 부재와 둔탁한 경기 방식으로 그의 전술을 비판했는데, 1970년 월드컵에 발카레지의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나름대로 득점력도 탑재되었음을 증명했다. 그의 전술로 인해, 발카레지의 선수단은 경기 속도가 느린 편이었고, 무분별한 질주를 자제했으며, 결국 선수의 기술적 역량으로 승부를 결정지을 수 있었다. 발카레지는 악명 높은 릴레이(staffetta) 전술을 쓴 것으로도 회자되는데, 두 명의 재능 있고, 기교가 넘치는 플레이메이커인 마촐라와 리베라의 활용력을 높이기 위한 방책이었다. 두 선수는 각각 전반과 후반에 한 명씩 배치되어 선수단의 균형을 깨는 것을 막았다. 운동력과 역동성이 돋보이는 마촐라가 선발로 나섰고, 보다 창의적이지만 기동력이 떨어지는 다재다능한 리베라가 상대의 체력이 떨어질 때쯤 입장하여 중원에서 경기를 지배하고, 공을 무난히 넘길 수 있도록 유도했다.[1][3][6][9][10][11][12][13][14][15][16][17] 발카레지의 선수단은 1974년 월드컵을 앞두고 더욱 매력적인 경기를 하도록 전술을 바꿨지만, 본선 대회에서 고전했고, 결국에는 1차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는데, 그 요인으로 발카레지 감독이 탈의실에서 선수단을 융화시키는 역량의 부재를 꼽을 수 있었고, 당시 효율적으로 다수의 거물급 선수를 제어하는 능력의 한계도 문제로 볼 수 있었다.[10][15] 전술적 역량과 감독 능력 외에도, 그는 선수단에 평정심을 심을 수도 있었는데, 이는 그가 차분하면서도 선수와의 밀접한 유대감을 형성하여 가능할 수 있었다. 그는 성실함과 공정한 접근법으로도 알려져 있고, 신사적인 품위로도 나타난다.[1][3][14]
사생활
[편집]1943년 9월, 발카레지는 안나 페루치를 배우자로 맞이하여 슬하에 3명의 자녀를 두었다.[1]
최후
[편집]발카레지는 2005년 11월 2일, 피렌체에서 향년 86세로 영면에 들었다.[18]
수상
[편집]선수
[편집]- 볼로냐
- 코파 알타 이탈리아: 1945–46
감독
[편집]- 프라토
- 이탈리아[3]
-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968
- 월드컵 준우승: 1970
개인
[편집]- 황금 파종자상: 1956–57, 1972–73[2]
- 이탈리아 축구 명예의 전당 헌액: 2011[19]
- 피오렌티나 명예의 전당 헌액[20]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Foot, John. “VALCAREGGI, Ferruccio” (이탈리아어). Treccani: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 Volume 97 (2020).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olverosi, Alberto. “VALCAREGGI, Ferruccio” (이탈리아어). Treccani: Enciclopedia dello Sport (2002).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Brian Glanville (2005년 11월 5일). “Obituary: Ferruccio Valcareggi”. 《theguardian.com》. The Guardian. 2015년 4월 2일에 확인함.
- ↑ “Calcio: è morto Ferruccio Valcareggi”. 《corriere.it》 (이탈리아어). Il Corriere della Sera. 2005년 11월 2일. 2015년 4월 2일에 확인함.
- ↑ “Messico 70 e quei sei minuti di Rivera” (이탈리아어). www.storiedicalcio.altervista.org. 2015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Ferruccio VALCAREGGI (I)” (이탈리아어). www.magliarossonera.it.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Stevenson, Jonathan (2010년 5월 12일). “The story of the 1970 World Cup”. BBC Sport.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Andrea Claudio Galluzzo; Gianfranco Lottini. “Ferruccio Valcareggi protagonista della storia violazzurra”. 《museofiorentina.it》 (이탈리아어). 2015년 4월 2일에 확인함.
- ↑ Smyth, Rob; Murray, Scott (2016년 10월 25일). “World Cup final 1970: Brazil v Italy – as it happened”. 《The Guardian》.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VALCAREGGI Ferruccio: una vita nel pallone” (이탈리아어). storiedicalcio.altervista.org. 2016년 2월 9일.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Molinaro, John F. (2009년 11월 21일). “1970 World Cup: Pele takes his final bow”. CBC Sports.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Viner, Brian (2009년 7월 13일). “Great Sporting Moments: Brazil 4 Italy 1, 1970 World Cup final”. 《The Independent》.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CROSETTI, MAURIZIO (2005년 11월 3일). “Esce Mazzola, entra Rivera così la staffetta ha fatto storia”. 《La Repubblica》 (이탈리아어).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1970: Quando perdemmo le… staffette” (이탈리아어). storiedicalcio.altervista.org. 2015년 11월 19일.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Risoli, Mario. “Mondiali Memories - Mexico 70”. Football Italia.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BRERA, GIANNI (1986년 5월 30일). “VIGILIA MUNDIAL PENSANDO AL ' 70”. 《La Repubblica》 (이탈리아어).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CALCIO - LA STORIA DEL CALCIO” (이탈리아어). Treccani: Enciclopedia dello Sport.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Former Italy coach Valcareggi dies”. 《espnfc.com》. ESPN FC. 2005년 11월 2일. 2015년 4월 2일에 확인함.
- ↑ “Hall of fame, 10 new entry: con Vialli e Mancini anche Facchetti e Ronaldo” [명예의 전당 신규 헌액자 10인: 비알리, 만치니, 파케티, 그리고 호나우두]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5년 10월 27일. 201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IV Hall of Fame Viola: Toldo, Chiarugi e non solo entrano nella galleria degli onori” (이탈리아어). violanews.com. 2015년 12월 8일. 2016년 8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UEFA의 발카레지 부고 소식
- 이탈리아 축구 연맹 발카레지 프로파일 보관됨 2007-09-27 - 웨이백 머신
- 1919년 출생
- 2005년 사망
- 트리에스테 출신
- 남자 축구 미드필더
- 이탈리아의 남자 축구 선수
-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L.R. 비첸차의 축구 선수
- 볼로냐 FC 1909의 축구 선수
- ACF 피오렌티나의 축구 선수
- AC 밀란의 축구 선수
- US 트리에스티나 칼초 1918의 축구 선수
- 브레시아 칼초의 축구 선수
- 루케세 1905의 축구 선수
- 엘라스 베로나 FC의 축구 감독
- AS 로마의 축구 감독
- 아탈란타 BC의 축구 감독
- UEFA 유로 1968 참가 감독
- 1970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
- 1974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감독
- 세리에 A의 축구 선수
- 세리에 B의 축구 선수
- 세리에 A의 축구 감독
- AC 프라토의 축구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