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 |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1년 2월) |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레조네(주) | ||||||
---|---|---|---|---|---|---|
(이탈리아어) Regione autonoma Friuli Venezia Giulia (프리울리어) Regjon autonome Friûl Vignesie Julie (슬로베니아어) Avtonomna dežela Furlanija Julijska Krajina (독일어) Autonome Region Friaul Julisch Venetien | ||||||
| ||||||
![]() 고리치아, 포르데노네, 트리에스테, 우디네의 전경 | ||||||
위치 | ||||||
국가 | ![]() | |||||
![]() | ||||||
행정 | ||||||
청사 소재지 | 트리에스테 | |||||
주지사 | 마시밀리아노 페드리가 (LN) 2018년 5월 3일부터 | |||||
공용어 | 이탈리아어, 프리울리어, 슬로베니아어, 독일어 | |||||
주 설치일 | 1963년 | |||||
지역 | ||||||
좌표 | 북위 45° 38′ 10″ 동경 13° 48′ 15″ / 북위 45.63611° 동경 13.80417° | |||||
고도 | 해발 206 m | |||||
면적 | 7,924.36 km² | |||||
인구 | 1,215,044명 | |||||
인구 밀도 | 154.54명/km² | |||||
예하 도 | 고리치아, 포르데노네, 트리에스테, 우디네 | |||||
예하 시 | 215개 | |||||
인접 주 | 베네토 | |||||
기타 정보 | ||||||
시간대 | UTC+01 | |||||
ISO 3166-2 | IT-36 | |||||
ISTAT 코드 | 06 | |||||
수호 성인 | 성 헤르마고라와 성 포르투나토 | |||||
국회의원 | 12명 (하원} 7명 (상원) | |||||
지도 | ||||||
![]()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의 옛 도 | ||||||
https://www.regione.fvg.it/ |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이탈리아어: Regione Friuli-Venezia Giulia, 프리울리어: Regjon autonome Friûl Vignesie Julie, 슬로베니아어: Avtonomna dežela Furlanija Julijska Krajina, 독일어: Autonome Region Friaul Julisch Venetien, 베네토어: Friułi-Venezsia Julia)는 이탈리아 동북부 끝에 있는 주이다. 면적 7,844 km², 인구 1,230,936(2009). 주도는 트리에스테이며, 고리치아, 우디네, 트리에스테, 포르데노네의 4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과 동쪽은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와 국경을 이루며, 서쪽은 베네토주, 남쪽은 아드리아 해에 접한다. 알프스 산맥과 아드리아 해 사이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북부는 알프스 산맥의 아름다운 산간지대이고, 남부는 비옥한 평야지대이다.
이 곳은 알프스 산맥과 지중해 사이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에 위치해 있어 예전부터 그 소속을 두고 분쟁이 잦았다. 18세기까지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속했고, 그 후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이탈리아 왕국 통일 후 우디네를 중심으로 한 지역은 이탈리아에 속하게 되었고, 그 동쪽 지역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넘어갔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이 곳의 전체가 이탈리아로 넘어왔고, 지금의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에 속하는 지역의 일부도 이탈리아가 차지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이탈리아는 이스트라 반도와 트리에스테의 내륙과 그 주변 지역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에 넘겨주었다(오늘날에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에 속함). 한편, 이와 함께 베네토 주에 속했던 우디네현 지역과 고리치아현 지역이 합쳐져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가 형성되었다. 프리울리는 우디네와 고리치아를 중심으로 하는 이 지역의 예로부터의 명칭이며, 베네치아줄리아는 트리에스테와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의 해안 지방을 포함하는 지방의 예로부터의 명칭으로, 이 두 지역을 합쳐서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라 이름붙였다.
한편, 트리에스테 지역은 그 귀속을 둘러싸고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으나, 해안지방은 이탈리아에 속하는 것으로 결론이 내려져서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에 속하게 되었고, 트리에스테가 주도가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63년 소수 민족이 많이 거주하는 이 주는 자치주가 되어 이탈리아의 다른 주에 비해 특별히 더 많은 자치권을 획득하였다.
인구[편집]
연도 | 인구 | ±% |
---|---|---|
1871 | 508,000 | — |
1881 | 530,000 | +4.3% |
1901 | 615,000 | +16.0% |
1911 | 728,000 | +18.4% |
1921 | 1,178,000 | +61.8% |
1931 | 1,176,000 | −0.2% |
1936 | 1,108,000 | −5.8% |
1951 | 1,226,000 | +10.6% |
1961 | 1,204,000 | −1.8% |
1971 | 1,214,000 | +0.8% |
1981 | 1,234,000 | +1.6% |
1991 | 1,198,000 | −2.9% |
2001 | 1,184,000 | −1.2% |
2011 | 1,235,000 | +4.3% |
2017 | 1,217,872 | −1.4% |
Source: ISTAT 2001 |
행정 구역[편집]
문화[편집]

언어[편집]
이탈리아어가 공식어다. 프리울리어 역시도 주로 트리에스테와 몬팔코네, 그라도를 제외하면 이 지역에서 쓰이며, 제외된 지역들은 대신에 베네토어의 일종인 트리에스테 억양을 사용한다.
베네토어 역시도 포르데노네현의 서부 지역과 포르데노네에서 쓰이는데, 베네치아 지역과 근접하기 때문이다. 프리울리어와 베네토어는 교외 지역에서 조금 더 일반적인 반면 이탈리아어는 큰 도시들 (우디네, 포르데노네, 고리치아)에서 우세 언어이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에는 슬로베니아어로 소통하는 소수민족들의 터전이기도 하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