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명계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전거 통제 틀 추가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4번째 줄: 14번째 줄:
|웹사이트 = {{트위터|bionuno|명계남}} <br> {{인스타그램|dongbangwoo|동방 우}} <br> [http://people.hanple.com/people.php?cmd=view&pp_no=692 마이고 데이터]
|웹사이트 = {{트위터|bionuno|명계남}} <br> {{인스타그램|dongbangwoo|동방 우}} <br> [http://people.hanple.com/people.php?cmd=view&pp_no=692 마이고 데이터]
}}
}}
'''명계남'''('''明桂南''',<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8&aid=0000227253|제목=소추위원, 선관위 위원장 증인 신청|날짜=2004-04-01|출판사=한국일보|확인날짜=2010-11-22}}</ref> 본명 한자음은 '''明桂男''', {{출생일|1952|7|26}} ~ )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영화 프로듀서|영화제작자]]이다. 호(號)는 동방우(東方雨)이다.
'''명계남'''('''明桂南''',<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8&aid=0000227253|제목=소추위원, 선관위 위원장 증인 신청|날짜=2004-04-01|출판사=한국일보|확인날짜=2010-11-22}}</ref> 본명 한자음은 '''明桂男''', {{출생일|1952|7|26}} ~ )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영화 프로듀서|영화제작자]]이다. 호(號)는 동방우(東方雨)이다.사망:2020년5월6일


== 생애 ==
== 생애 ==

2020년 9월 1일 (화) 19:25 판

명계남
明桂南
본명明桂男 (한자음)
출생1952년 7월 26일(1952-07-26)(71세)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
직업배우, 제작자, 기업가
활동 기간1973년 ~ 현재
종교개신교
소속사이스트필름 (CEO 대표이사)
학력연세대학교 신학과 학사
형제자매누나 2명, 형 1명
웹사이트명계남 - 트위터
동방 우 - 인스타그램
마이고 데이터

명계남(明桂南,[1] 본명 한자음은 明桂男, 1952년 7월 26일(1952-07-26) ~ )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영화제작자이다. 호(號)는 동방우(東方雨)이다.사망:2020년5월6일

생애

충청남도 공주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경상북도 경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경상북도 대구에서 잠시 성장한 그는 이후 서울로 이사하여 서울돈암국민학교서울중학교, 신일고등학교 졸업을 거쳐 연세대학교 신학과에서 학사 학위 취득했다. 첫 데뷔로는 1973년 연극 《동물원 이야기》로 데뷔하였다. 그 후 1975년 연세대학교 신학과에서 학사 학위 취득하고 잠시 직장 생활을 하다가 연극 및 영화 분야로 복귀하여 주로 조연으로 《그 섬에 가고 싶다》(1993), 《젊은 남자》(1994) 등 수많은 작품에 출연하였으며, 이러한 다작 활동으로 말미암아 “국내 영화는 명계남이 출연한 영화와 그렇지 않은 영화로 구분할 수 있다”라는 우스갯소리가 항간에 시쳇말처럼 돌기도 하였다. 한편, 영화제작사 이스트필름을 창립해 《박하사탕》(1999), 《오아시스》(2002) 등을 제작하였다. 2011년 4월엔 후배 배우를 양성하는 연기음악원 매드스타아카데미를 개원, 대표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 후보를 지지하여 배우 문성근과 함께 노사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대표일꾼'직을 역임하였다. 참여 정부 출범 이후에는 정치에도 깊이 관여하여 열린우리당 국민참여연대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문성근과 함께 대표적인 친노 연예인으로 꼽히며, 노무현의 장례식 당시에도 많은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학력

출연작

영화

기획・제작

드라마

연극

광고

각주

  1. “소추위원, 선관위 위원장 증인 신청”. 한국일보. 2004년 4월 1일. 2010년 11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