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수소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
![]() | |||
이름 | |||
---|---|---|---|
IUPAC 이름
Sodium hydrogen carbonate
| |||
별칭
Baking soda, bicarb (laboratory slang), bicarbonate of soda, nahcolit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4153970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5.122 | ||
EC 번호 |
| ||
식품 첨가물 코드 번호 | E500(ii) (산도 조절제, ...) | ||
KEGG | |||
MeSH | Sodium+bicarbonate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NaHCO 3 | |||
몰 질량 | 84.0066 g mol−1 | ||
겉보기 | White crystals | ||
냄새 | Odorless | ||
밀도 |
| ||
녹는점 | (Decomposes to sodium carbonate starting at 50 °C[1][6]) | ||
용해도 | 0.02 wt% acetone, 2.13 wt% methanol @22 °C.[4] insoluble in 에탄올 | ||
log P | −0.82 | ||
산성도 (pKa) | |||
굴절률 (nD)
|
nα = 1.377 nβ = 1.501 nγ = 1.583 | ||
구조 | |||
Monoclinic | |||
열화학 | |||
열용량 (C)
|
87.6 J/mol K[7] | ||
표준 몰 엔트로피 (S
|
101.7 J/mol K[7]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950.8 kJ/mol[7] | ||
기브스 자유 에너지 (ΔfG˚)
|
−851.0 kJ/mol[7] | ||
약리학 | |||
B05CB04 (WHO) B05XA02, QG04BQ01 | |||
Intravenous, oral | |||
위험 | |||
주요 위험 | Causes serious eye irritation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External MSDS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Incombustible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4220 mg/kg (rat, oral)[8] |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음이온
|
Sodium carbonate | ||
다른 양이온
|
|||
관련 화합물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탄산수소 나트륨(炭酸水素- , 화학식 : NaHCO3)은 화합물의 한 종류이다. 베이킹 소다, 중탄산 나트륨, 중탄산 소다, 중조(重曹) 따위로 부른다.
상온에서는 백색의 분말상태로, 약간 쓰고 짠맛이 난다. 과량을 사용하면 피부를 부식시킨다. 의약품으로는 위산과다에 대한 제산제로 쓰인다. 식품 및 미용제에도 쓰인다.
백색의 단사정계 결정으로 가열하면 이산화탄소와 물을 발생하고, 탄산나트륨 무수물로 변하는 성질을 지녔다.
용도[편집]
- 의학적으로 특히 산증 환자, 즉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환자에게 사용하며, 환자의 상태가 치명적인 상황일 때 응급약물로서 사용하기도 한다. 환자가 critical, 사망에 임박한 쇼크 상태가 되면 대사성 산증 상태가 되고, 대사성 산증 상태가 심하면 이 자체로 체내의 수액-이온 균형을 비롯하여, 효소의 작용을 방해하므로 악화되므로 산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로 사용한다.
- 연마 및 흡착 작용을 활용해 냄새 제거 및 세척용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다른 세제에 비하면 세척력이 떨어지고, 구연산이나 식초와 혼합해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알려지나 이 경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9][10]
같[편집]
- 산수소나트륨은 액체와 섞였을 때 궤양통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가 나 Haynes, p. 4.90
- ↑ 가 나 다 Haynes, p. 5.194
- ↑ 가 나 다 “Sodium Bicarbonate” (PDF).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1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Ellingboe JL, Runnels JH (1966). “Solubilities of Sodium Carbonate and Sodium Bicarbonate in Acetone-Water and Methanol-Water Mixtures”. 《J. Chem. Eng. Data》 11 (3): 323–324. doi:10.1021/je60030a009.
- ↑ 가 나 Haynes, p. 7.23
- ↑ Pasquali I, Bettini R, Giordano F (2007). “Thermal behaviour of diclofenac, diclofenac sodium and sodium bicarbonate compositions”. 《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90 (3): 903–907. doi:10.1007/s10973-006-8182-1.
- ↑ 가 나 다 라 Haynes, p. 5.19
- ↑ Chambers, Michael. “Sodium bicarbonate [USP:JAN]”. 《ChemIDplus》.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식초에 넣은 베이킹 파우더”. 2018년 4월 8일에 확인함.
- ↑ “유사과학 탐구영역 9.베이킹 소다”. 2018년 4월 8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