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스터드애플
보이기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목련군 |
목: | 목련목 |
과: | 뽀뽀나무과 |
속: | 안노나속 |
종: | 커스터드애플 |
학명 | |
Annona reticulata | |
L.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1]
| |
커스터드애플의 분포 | |
![]() 커스터드애플 원산지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423 kJ (101 kcal) |
25.2 g | |
식이 섬유 | 2.4 g |
0.6 g | |
1.7 g | |
비타민 | 함량 %DV† |
티아민 (B1) | 7% 0.08 mg |
리보플라빈 (B2) | 8% 0.1 mg |
나이아신 (B3) | 3% 0.5 mg |
판토테산 (B5) | 3% 0.135 mg |
비타민 B6 | 17% 0.221 mg |
비타민 C | 23% 19.2 m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3% 30 mg |
철분 | 5% 0.71 mg |
마그네슘 | 5% 18 mg |
인 | 3% 21 mg |
칼륨 | 8% 382 mg |
나트륨 | 0% 4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71.5 g |
†미국 국립학술원의 전문가 권고를 바탕으로 추정된 칼륨의 경우를 제외하고,[2] 모든 수치는 미국의 성인 권장량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3] |
커스터드애플(custard apple, 학명: Annona reticulata 안노나 레티쿨라타[*])은 뽀뽀나무과의 과일 나무이다.
분포
[편집]중앙아메리카, 카리브 및 남아메리카에 분포한다.[4] 과테말라와 니카라과가 원산지이다.[4]
사진 갤러리
[편집]-
커스터드애플 열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Annona reticulata L.”. 《플랜트 리스트》 (영어). 큐 왕립식물원. 2012년 3월 23일. 2018년 7월 19일에 확인함.
- ↑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ine Division; Food and Nutrition Board; Committee to Review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2019). 〈Chapter 4: Potassi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Adequacy〉. Oria, Maria; Harrison, Meghan; Stallings, Virginia A.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The National Academies Collection: Reports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20–121쪽. doi:10.17226/25353. ISBN 978-0-309-48834-1. PMID 30844154. 2024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4). “Daily Value on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DA》. 2024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Annona reticulata L.”. 《GRIN-Global Web v 1.10.2.8》 (영어). 미국 농무부. 2018년 5월 4일. 2018년 7월 19일에 확인함.
이 글은 목련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
이 글은 음식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