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리표
♮ | |
---|---|
제자리표 | |
유니코드에서 | U+266E (HTML : ♮) |
제자리표(♮)는 '내추럴'(natural)이라고도 불리며, 기본 음(원음)을 연주하라는 뜻의 기호이다.
예시[편집]
조표나 임시표로서 쓰일 수 있다. 아래는 A 음표에 임시표로 제자리표가 붙어 있는 예시이다.

제자리표가 붙은 음은 그 전에 붙었던 다른 조표나 임시표가 취소되고, 기본 음(원음)으로 되돌아가는 효력을 받는다. 특히, 내림표(♭)나 올림표(♯)에 의해 반음만큼 변화된 음을 제자리로 돌릴 때 종종 발견된다.
제자리표의 음은 일반적인 변화되지 않은 기존의 "A, B, C, D, E, F, G" 음, 바로 기본 음(원음) 이다.[1]
기호[편집]
제자리표 표시는 소문자 비(b)를 각지게 쓴 것에서 유래됐다. 고대에 (변화되지 않은) 제자리 음의 B음을 나타내기 위해 그렇게 표시한 것이다. 그러다 세월이 흘러 다른 위치의 음표에 붙어도 그 음표를 제자리 음(원음)으로 연주하는 기호가 됐다.
조표[편집]
표기[편집]
겹세로줄 다음에 새로운 조표를 쓸 때, 먼저 기존 조표에서 취소되는 내림표나 올림표 자리에 제자리표를 쓰거나 그 순서를 바꿔서 표기하고,[2] 조표가 없는 조로 전조 시엔 조표에 있던 모든 내림표/올림표의 자리에 제자리표를 쓴다.
효력[편집]
조표로 쓰일 때는, 조성이 바뀌거나 내림표/올림표 등 다른 임시표의 효력을 받지 않는 한 마디와 옥타브에 관계없이 계속 그 음에 적용된다.
임시표[편집]
표기[편집]
임시표로 쓰일 때에는 음표 머리의 왼쪽에 쓴다.

효력[편집]
임시표로서 쓰이면 그 마디 안의 같은 높이에서 제자리표 이후의 해당 음에 제자리표가 적용된다. 다만, 조표와는 달리 음이름은 같지만 옥타브만 다른 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단, 임시표일 경우엔 조표나 다른 기호 등이 모두 무시되며, 무조건 기본 음(원음)을 기준으로 읽는다.
같은 마디 내 같은 옥타브에서 임시표로 쓰인 제자리표의 효력을 없애려면 내림표(♭), 올림표(♯) 등의 다른 임시표를 사용한다.
제자리 병기 표[편집]
제자리 병기 표란 기존의 ♭, ♮, ♯ 등의 기호 옆에 제자리표를 덧붙인 기호를 말한다.[3] 이러한 표기도 각각 일반적인 ♭, ♮, ♯ 등의 기호와 동일하게 연주하면 된다.
18세기 이전에 겹임시표[4]가 붙은 음을 기존의 홑임시표[5]의 음으로 변화시킬 때 ♮♭(제자리 내림표/내추럴 플랫) 혹은 ♭♮[6], ♮♯(제자리 올림표/내추럴 샤프) 혹은 ♯♮[7]가 쓰이는 관습이 있었지만, 대략 19세기 이후로는 그 제자리표를 생략한다.[8]

마찬가지로 겹내림표, 겹올림표에 의해 변화된 음을 본래 음으로 되돌릴 때 제자리표 두 개가 나란히 붙은 ♮♮(겹제자리표/더블 내추럴)가 쓰이기도 했지만, 대략 19세기 이후로는 하나의 제자리표만 사용한다.[9]

<기타>[편집]
겹제자리표(♮♮)는 겹내림표/겹올림표와 같은 계열의 기호가 아니라 제자리표 병기 기호이다.
이론적으로 본다면 세겹 임시표[10] 이상의 기호를 취소할 때도 전술한 내용과 같은 원리가 적용될 수는 있다.[11]
♮♭/♮♯는 내림표에서 올림표로 바꿀 때, 혹은 그 반대인 경우에 쓰이기도 한다.[12]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바로, 가단조/다장조의 자연음계에 해당하는 음들이자 피아노에서 흰 건반인 음들이다.
- ↑ 순서를 바꾸는 경우는 새로운 조표를 먼저 쓴 다음에 취소되는 내림표/올림표 자리에 제자리표를 쓰는 것이다.
- ↑ Ex. ♮♭,♮♮,♮♯
- ↑ 겹내림표/겹올림표
- ↑ 내림표/올림표
- ↑ (내림 제자리표/플랫 내추럴)
- ↑ (올림 제자리표/샤프 내추럴)
- ↑ 그리고, 이론서에서도 ♮♭/♮♯ 기호의 언급이 보다 줄어들었을 정도다.
- ↑ 마찬가지로, 이론서에서도 ♮♮의 언급이 보다 줄어들었을 정도다.
- ↑ 세겹내림표/세겹올림표
- ↑ <예시 : 막스 레거의 클라리넷 소나타 2번, 이 논문>
- ↑ Chopin - Etude op.10 no.9
![]() |
이 글은 음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