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마
이용마 | |
---|---|
출생 | 1969년 1월 10일 대한민국 전라북도 남원군 |
사망 | 2019년 8월 21일 대한민국 서울 | (50세)
매장지 | 분당메모리얼 파크 |
성별 | 남성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
경력 | MBC 기자 |
직업 | 기자 |
활동 기간 | 1994년 ~ 2019년 |
소속 | MBC 보도본부 |
배우자 | 김수영 |
자녀 | 슬하 2남 (이란성 쌍둥이) |
상훈 | 제5회 리영희상 수상(2017년) |
이용마(李容馬, 1969년 1월 10일 ~ 2019년 8월 21일[1])는 대한민국의 MBC 재직 언론인이다. 1969년 전라북도 남원에서 출생했고 전주에서 성장했다. 본관(本貫)은 광주 이씨(廣州 李氏)이다.[2]
주요 이력[편집]
1969년 전라북도 남원에서 태어났고, 전라북도 전주에서 성장한 그는 MBC(1994년 입사) 기자인 그는 전국언론노동조합 MBC 본부 홍보국 홍보국장으로서 활동하다가 2012년 초에 MBC 파업을 주도하면서 회사 질서를 문란하게 했다는 이유로 2012년 3월 5일에 해직됐다가 2017년 12월 8일에 복직되었다. .[3] 해직 후 2014년 4월부터 국민라디오에서 <이용마의 한국정치>를 진행하였다.[4] 정치학 박사로서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의 연구원으로 활동했다.[5] 2015년 1월 5일. 신임 최승호 대표이사의 복직 선언에 따라, 5년만인 12월 11일 다시 출근하게 되었다.[6] 2017년 12월 1일 방송민주화 투쟁의 상징이라는 평과 함께 제5회 리영희상을 수상했다.[7] 2019년 8월 21일 암투병끝에 세상을 떠났다.[8]
사망 이후에는 MBC 기자의 이름을 딴 언론상인 이용마 언론상이 제정되었다.
학력[편집]
경력[편집]
관련 기사[편집]
- 유선희. 이용마 “불법파업이라고 월급 안주더니 퇴직금은 즉각 정산”. 한겨레신문. 2012년 5월 8일.
- 김효실. 7년 만에 돌아온 “MBC 뉴스 이용마입니다”. 한겨레신문. 2017년 12월 11일.
- 김지환. 文 대통령, 암투병 중인 이용마 MBC 기자 병문안. 경향신문. 2019년 2월17일.
관련 서적[편집]
- 《인물과 사상》. 인물과사상사. 2012년 5월호. ISBN 9771228378004
- 《세상은 바꿀 수 있습니다》. 창비. 2017년 10월 27일. ISBN 978893648621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이용마 MBC 기자 복막암 투병 끝 별세”. 한겨레. 2019년 8월 21일.
- ↑ 송선영. MBC 파업의 상징, '8관왕'을 만나다 Archived 2012년 5월 31일 - 웨이백 머신. 미디어스. 2012년 3월 23일.
- ↑ 채지은. "낙하산 사장 정권 편향 선 넘었기에 문제된 것" Archived 2012년 4월 28일 - 웨이백 머신. 한국일보. 2012년 4월 27일.
- ↑ 박수선. ‘국민이 주인인 뉴스’ 국민TV 1일 개국. PD저널. 2014년 4월 1일.
- ↑ 이용마. 쿠오바디스, 대한민국 Archived 2015년 7월 12일 - 웨이백 머신. 참여연대.
- ↑ 이용마 기자-우아하게 멋있어..출근 반응, 뜨거워 Archived 2017년 12월 12일 - 웨이백 머신, 한국경제TV, 김서민 기자, 2017년 12월 11일
- ↑ “‘리영희상’ 이용마 기자 “이 순간, 아이들이 영원히 기억하길””. 2017년 12월 1일. 2019년 2월 28일에 확인함.
- ↑ {{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69&aid=0000415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