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함께 검토하기/클레오파트라의 집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레오파트라의 집권[편집]

2022년 5월 8일부터 초안 문서로 있다가 LR0725, YellowTurtle9, 아나고라니, Sangjinhwa, 웬디러비를 비롯한 몇몇 사용자들의 손을 거쳐 2024년 3월 29일에 일반 문서로 이동되었습니다. 영어 위키백과에서 좋은 글로 선정된 en:Reign of Cleopatra 문서를 번역했다는데 번역이 잘 되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올립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4년 3월 30일 (토) 01:25 (KST)[답변]

엄청난 기여에 감사드립니다! 아래는 의견입니다.
  1. 클레오파트라의 어린시절, 카이사르의 암살, 프톨레마이오스 군대처럼 너무 구체적인 문서들에 대한 링크는 해당 문서들이 정말 생성된 뒤에 달면 좋겠습니다.
  2. 서두에 나오는 "그녀가 이집트와 다른 영토를 전제군주로서 다스렸다." 같은 문장은 다른 문장들과 조화롭게 의역되는 것이 더욱 자연스럽겠습니다. 이런식으로 의역을 통해 번역을 더 매끄럽게 만들 수 있는 부분이 몇 확인됩니다. 저도 나중에 시간나면 기여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사실 아직 좋은 글 후보로 나온 것도 아니어서 이정도면 A급 문서라고 봅니다. ㅎㅎ Sangjinhwa님도 어색한 부분이 보인다면 기여 부탁드립니다. ― 사도바울 (💬ℹ️) 2024년 3월 30일 (토) 02:23 (KST)[답변]
@Sangjinhwa, Sadopaul: 일단 저는 폼페이우스 암살 문단을 검토해보겠습니다. 그런데 보통 기원전 연도에도 하이퍼 링크를 다나요? 링크 처리가 안 되어 있어서요. --호로조 (토론) 2024년 3월 31일 (일) 15:00 (KST)[답변]
글이 매끄럽게 읽히진 않는데, 이쪽 분야에 대한 무지로 인한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처음에 아킬라스, 그 다음에 가니메데스가 아리스노에 4세(클레오파트라의 여동생)의 통치 하에 이끈 프톨레마이오스 군대는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를 모두 궁정에서 포위했다. 기원전 47년 초기에 구원병이 포위를 중지했고, 프톨레마이오스 13세는 나일 전투가 끝나고 곧 사망했다.

포위를 중지했다는 것이 프톨레마이오스 13세가 포위를 멈추라고 시켰다는 것인지, 구원병이 와서 이들을 구해줬다는 것인지 잘 이해가 안 가서 카이사르와의 관계 문단을 살펴보는데,

프톨레마이오스 13세와 아르시노네 4세는 나일강에서 병력을 철수했는데, 카이사르는 이들을 공격했고 프톨레마이오스 13세는 배를 타고 달아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이 배는 뒤집혀 파라오는 익사하고 말았다.

그리고 나일 전투가 끝나고 사망했다는 문장은 조금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나일 전투에서 패주하던 중 사망한 것으로 보이는데 패주하다가 배가 뒤집혀 사망했다고 쓰는 게 맞지 않나요? --호로조 (토론) 2024년 3월 31일 (일) 15:30 (KST)[답변]
@LR0725, YellowTurtle9, 아나고라니: 참여를 위해 사용자 핑을 남깁니다!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호로조 (토론) 2024년 4월 2일 (화) 14:57 (KST)[답변]
@호로조: 해당 부분은 제가 번역한 것 같지는 않긴 한데, 우선 검토해 봤습니다. 지적하신 부분의 원문은 'Reinforcements lifted the siege in early 47 BC, and Ptolemy XIII died shortly afterwards in the Battle of the Nile.'입니다. '포위를 중지' 부분의 원문은 'lift the siege', 즉 '포위를 풀었다'라는 뜻입니다. 구원병이 클레오파트라와 카이사르가 궁정에서 포위당한 것을 풀었단 거겠죠. '포위를 뚫고' 정도로 바꿔놓겠습니다. 나일 전투 직후에 사망했다는 건 원문에도 그리 쓰여 있는데, en:Battle_of_the_Nile_(47_BC)을 봐도 별다른 뜻이 있는 것 같진 않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도망가다 배가 뒤집혀 익사한 게 맞는데, 그걸 그냥 전쟁 직후 죽었다 써둔 것 같습니다. 표현은 적당히 수정하겠습니다. --LR0725 [ 토론 | 기여 ] 2024년 4월 2일 (화) 16:17 (KST)[답변]
@LR0725: 개요는 일종의 요약이 되어야 하는 건 맞는데, 너무 요약해서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다 보니 저도 참여해서 이러한 표현을 수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원전의 PDF 파일도 확보하였으며 만약 검토 과정에서 필요하실 경우 이메일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또한 검토하기 공간에 자주 방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호로조 (토론) 2024년 4월 2일 (화) 16:33 (KST)[답변]
@호로조: 1년 반 넘게 지나서야 번역만 끝낸 거다 보니 아직 검토도 안 되었고, 번역 시작할 때도 영위백 좋은 글이긴 했지만 이상한 부분이 없진 않을 겁니다. 번역 중간에 영위백이 수정된 부분들도 있을 거고요. 수정이 필요할 듯합니다. LR0725 [ 토론 | 기여 ] 2024년 4월 2일 (화) 16:38 (KST)[답변]
@호로조 번역하신 분들이 담당했던 파트들이 다르다보니 위에 LR0725님께서 언급하신 것처럼 번역이 매끄럽지 않은 부분들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특히 '패망과 죽음' 부분을 번역할 때 영위백 내용과 비교해보니 한위백의 버전에 비하면 추가로 달라진 부분이 있긴 했습니다. 한편 언급해주신 문장을 보니 고대 그리스어로 '아르시노에'로 번역되는 인물이 '아르시노네', '아리스노에'로 오역된 모습이 보이긴 합니다... 라틴어로 생각하셨던 걸까요... 해당 부분은 제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4월 2일 (화) 21:55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