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편집 지침/음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편집 지침은 위키프로젝트:음반에서 음반 문서를 위해 만들어진 편집 지침으로, 각각의 음반을 문서로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지침화는 사용자들의 합의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책이나 총의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른 편집 지침은 위키백과:편집 지침을 참고하세요.

일반적인 지침설명

[편집]

제목

[편집]

동음이의어 처리

[편집]

문서 제목은 음반의 제목과 같아야 하지만, 불가피한 경우 다르게 할 수도 있습니다.

동음이의어 문서가 절대로 앞에 오게 하지 않습니다. 동음이의어 문서가 없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제목을 써야 합니다.

동음이의어 문서 처리가 필요한 경우는 아래와 같이 합니다.

EP 혹은 미니 음반000 (EP)로 표기

비디오 음반일 경우에는 000 (비디오)로 표기

그 외 음반은 000 (음반)으로 표기

동일한 제목의 음반이 여러 개라면 음악가 이름을 넣어 서로 다른 음반임을 구별해 주세요.

한 명의 아티스트가 같은 이름의 음반을 여러 장 발매했다면, 연도를 사용해 구별해 주세요. (같은 해 발매된 음반이 아니라면 명확하게 구별되는 방법입니다).

스플릿 음반

[편집]

스플릿 음반의 경우에는 단독적인 공식 제목을 사용하지 말고, 두 명의 음악가 이름을 분리해 주기 위해 "Isis / Pig Destroyer"와 같이 사선(/)을 이용합니다. A 사이드(또는 CD의 첫 곡에)의 음악가는 문서 제목 맨 앞쪽에 적어야 합니다. 두 명 이상의 밴드가 같은 스플릿 음반, 같은 사이드에 참여했다면 보통 연도를 사용해 구별해줍니다. 예를 들어 (2000년 음반)처럼 표기합니다. 하나의 사이드에 두 개의 제목이 있다면 "Jihad / Freezing Moon"과 같이 사선을 사용합니다.

외래어 포함 음반의 표기

[편집]

음반 제목에 영어 알파벳이 사용되었다면, 그것이 문서 제목으로 쓰여야 합니다. 단, 한국어로 정식으로 발매된 것이라면 정식 표기법대로 쓰여야 합니다.

영어를 제외한 다른 문자로 된 것은 한글 음독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B定規作業'과 같이 중의적 표현, 언어적 이중성 또는 어떠한 메시지를 내포한 표제어는 글쓴이가 의도한 바를 훼손시키지 않도록 원어 표기를 원칙으로 합니다.

  • 예: '雪の花'는 '눈의 꽃'처럼 한국어로 음독하여 표기

구성 방식

[편집]

노래나 싱글에는 작은따옴표 ' '를, 음반 제목에는 큰따옴표 " "를 사용하고, 음악가의 이름은 이전에 언급합니다. 구두점은 따옴표 바깥쪽에 사용해 줍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비틀즈의 노래 'Taxman', 'Eleanor Rigby', 'Love You To'는 그들의 음반 "Revolver"에 수록되어 있다.

날짜 기입

[편집]

문서의 도입부나 단락에 음반의 연도를 쓸때는 괄호에 추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되도록이면 연도가 아닌 월, 일의 표시는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에픽하이의 두 번째 정규 음반은 "High Society" (2004)이다"처럼 따옴표 바깥에 표기합니다. 날짜에 링크는 걸지 않습니다. 괄호는 전 문장과 한 칸 띄어주세요.

구체적인 날짜 대신 계절을 사용한 설명은 불확실하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예: 1995년 겨울에 발매되었다). 북반구와 남반구는 계절이 반대이기 때문에 날짜 전달이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날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1995년 2월"을 표기한다면 "1995년 초"와 같은 표기로 가능한 가장 정확하게 기입해 줍니다.

동음이의어 문서 링크

[편집]

문서의 장르와 다른 용어 링크를 할 때에는 동음이의어 문서가 아닌 적절한 음악 관련 문서에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 아닌 록 음악으로 링크해 줍니다. 얼터너티브 장르 같은 경우에는 동음이의어 문서인 얼터너티브가 아닌 얼터너티브 록, 얼터너티브 힙합과 같이 정확히 링크해 줍니다. 필요하다면 |표시를 사용해 줍니다. 다음은 자주 쓰이는 동음이의어 링크입니다. 팝 음악, 밴드 (음악 그룹), LP (축음기 음반), 디지털 다운로드 (음악 다운로드).

앨범 링크하기

[편집]

라이센스 웹사이트나, 공식 마이스페이스 페이지, 밴드나 레코딩 회사의 사설 웹사이트와 같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호스팅되는 앨범의 경우, 위키백과 지침에 따라 외부 링크 문단에 그 곳을 링크해 주세요. 서비스되는 앨범의 미디어 장치는 꼭 표시해 주세요. (예를 들어 "어도비 플래시") 특정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또한 그 사이트가 합법적으로 음악을 호스팅하는지, 혹시 위키백과 기준에 맞지 않는 링크는 아닌지, 그리고 최소한 대한민국에서는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인지를 확인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링크 형식은 적절하게 맞춰 주세요. 몇 가지 형식을 들자면:

문서 상단

[편집]

위키 틀

[편집]

음반 정보상자 틀에 앞서 문서 상단에는 해당되는 틀을 표기해야 합니다. {{상세}}, {{다른 뜻}}과 같은 윗주 틀과 동음이의어 틀은 문서의 가장 위에 있어야 합니다. 독자가 실수로 문서에 오게 된 경우 가장 먼저 보게 함으로써 원래 찾고자 하는 문서로의 탐색을 도울 수 있습니다. 유지보수와 그외 틀 안내는 윗주 틀 바로 아래에 표기해야 합니다.

정보상자

[편집]

위키 틀을 표기한 후 한 칸 정도의 간격을 띄어주고 나면 {{음반 정보}} 틀을 작성합니다. 실수로 잘못되었거나 불완전한 정보상자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직접 음반 정보 틀 문서에서 복사-붙여넣기를 하거나 다른 음반 문서에 들어가 해당 틀을 복사해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도입부

[편집]

문서 도입부의 가장 첫 문장에서 음반의 제목은 굵은 글씨와 "큰따옴표" 표시를 해줍니다. 만약 문서 제목이 단지 서술하기 위함이거나 음악가의 작품 제목이 아니라면 굵은 글씨 표시를 하지 않습니다(소녀시대의 음반 목록 참고). 또 음악가의 국적, 장르, 발매일을 언급하되 위키링크는 가능한 하지 않습니다. 음반의 부제목이 길어 문서 제목으로 사용하지 못할 경우에는 도입부에서 언급해 줍니다("The Beatles", "Hellbilly Deluxe 2" 참고). 문장에서 음반을 열거할 때는 연도별 정규 음반 순이 일반적으로 용인되고 있습니다(이승철의 두 번째 정규 음반, 소녀시대의 데뷔 음반 등). 자세한 내용은 문서 본문에서 볼 수 있으므로 도입부에서는 세부 사항을 짧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서 길이에 따라 도입부 부분을 1~4단락 정도 만드는 것을 추천합니다. 독자들의 주목을 끌기 위해서 음반의 중요하면서도 깊은 내용을 요약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문서 본문

[편집]

다음은 음반 문서에 작성 가능한 부분 목록입니다. 모든 음반은 똑같지 않기 때문에 정해진 형태의 문서 작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문서 작성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목록성 또는 표 형식부터 작성을 시작합니다(수록곡, 크레딧, 차트 등). 이후 서술형 문단을 작성합니다. 정보만을 위한 문서 작성이 쉽습니다. 예를 들어 음반 제목에 관해 한 문장을 만들 수 있을 만큼의 정보가 있다면 커버나 가사와 같이 관련 있는 부분을 합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음반 제목에 대한 정보가 많은 경우 많은 출처와 상세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여러 단락으로 작성합니다. 이렇게 작성했다면 하나의 문단으로 만드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건 재량껏 자유롭게 하시고 원한다면 규칙은 무시하세요!

배경

[편집]

독자가 음악가의 연혁이나 이전에 발매되었던 음반들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가정해서는 안됩니다. 이러한 정보가 다음에 나올 문서의 뒷부분을 독자들이 더 잘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면, 배경 문단을 서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문단에서는 앨범에 영향을 미친 음악가의 연혁, 중요한 사건 등 사전에 벌어진 상황을 서술해야 합니다. 밴드나 음악 그룹의 경우, 멤버 영입 내지 탈퇴나 음반 레이블, 소속사 변경 사실 등을 더 다룰 수 있습니다. 이전 음반과 이번 음반 사이에 그 가수가 뭘 했을까? 이번 앨범 녹음할 때 그 가수가 혼자 작업했나? "The Boys (소녀시대의 음반)"나 "Heartbreaker (지드래곤의 음반)" 참조.

녹음, 제작

[편집]

녹음이나 제작에 관한 정보를 다룰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기입할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프로듀서가 누구인지, 또 그 프로듀서의 다른 작품은 무엇이 있는지, 있다면 그 작품 목록을 짧게 추려볼 것을 고려할 것. 또, 그 프로듀서가 다른 유명한 가수와 작업한 적이 있는지.
  • 앨범의 제작사는 어디인지, 재생 시간은 얼마나 되는지, 제작에 특수한 기술이 있는지 또 있다면 어떤 기술인지, 녹음에 들어간 비용은 얼마나 되는지, 특수한 기술에 들어간 돈은 또 얼마나 되는지.

음악 스타일, 작곡, 작사

[편집]

모든 노래와 싱글을 개별 문서로 만들 정도로 충분한 정보가 있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뮤직비디오에 대한 설명이나 정보박스 같은 정보조차 적을 수 없는 곡 문서는 관련 앨범 문서에 합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일러스트, 패키지

[편집]

앨범을 구성하는 것은 곡 자체뿐만 아니라 다른 스타일의 패키지와 일러스트도 포함됩니다. 패키지와 일러스트는 음반과 동반하여 시각적 표현을 불러일으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단락은 앨범 브랜드와 비주얼 작업 과정, 그리고 논란이 된 내용을 설명하는 곳입니다.

발매, 프로모션, 마케팅

[편집]

음반이나 곡이 인터넷 유출된 날은 저명하지 않습니다. 그 사건이 다른 저명한 사건의 원인(가령 아티스트나 소속사 또는 유출 사건 그 자체가 미디어에서 폭넓게 주목을 받는 등 즉각적인 반응이 온다거나)이 되었다고 해도 말입니다. 음원 유출의 결과가 신뢰성 있는 보통의 미디어 출처에서 제대로 다뤄지기 전엔 유출된 날짜를 문서에 집어넣지 마세요. 미디어 보도가 있어야 문서에 내용을 추가할 수 있죠. 앨범이나 곡을 유출한 것 말고 다른 컨텐츠가 없는 웹사이트(diditleak.co.uk 나 hasitleaked.com 같은)는 백:신뢰에 따라 적합한 출처가 아닙니다.

투어

[편집]

콘서트 투어가 항상 단독 문서화될 정도로 저명성을 보장받진 못합니다. 대신, 저명한 투어나 축제에 대한 정보는 아티스트 항목이나 투어에 포함된 앨범 문서에 포함됩니다. 여기에 콘서트 일자를 전부 적지 마시고, 기간만 간략히 서술하세요. (예:1992년 6월~9월) 언급되는 콘서트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제적 또는 상업적 성과, 참가한 다른 밴드, 무대 세팅-조명, 소품, 배경, 기타 등등-, 저명한 게스트.)

평가

[편집]

이 부분은 반드시 앨범에 대한 평가를 개괄적으로 보여 주어야 합니다. 리뷰, 책, 또는 이 앨범에 대해 토의한 평 좋은 기사 등 믿을 수 있는 2차 출처로 작성해서요. 소수의 의견도 적절히 잘 인용해서 언급해 주세요. 또한, 앨범이 사회 문화계의 문화적 인식에 끼친 영향을 서술하는 것 역시 저명성을 더더욱 확립해 줍니다.

전문적인 리뷰란 프로 음악 저널리스트나 DJ, 온라인 또는 발행된 출판물의 (유급이든 무급이든) 사설 또는 (개인 블로그 제외) 필진의 리뷰만을 말합니다. 리뷰의 기준은 그 리뷰가 위키백과의 신뢰할 수 있는 출처 관련 지침을 만족하는지와 그 출처가 아티스트, 소속사 등과 독립적인가 여부입니다. 전문 리뷰 출처 목록은 위키프로젝트:음반/출처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 목록은 저명성을 뒷받침하는 리뷰의 또다른 출처로 간주합니다. 하지만 매체 수가 범람하고 목록 내 항목 항목은 가치가 의심스럽기 때문에, 목록에 추가할 수 있는 기준점은 조금 높습니다. 목록은 단순히 나열만 하지 말고 설명을 포함해서 외부 링크도 걸려 있어야 합니다.

음반 점수 틀

[편집]

대부분의 정보는 산문 형식으로 풀어 써야 하지만, 표 형태로 전문가들의 평가를 요악해주는 {{음반 점수}} 틀을 이용해 본문 내용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단락 형태에서 한 문단을 대체하려고 이 틀을 쓰는 게 아니라, 모든 음악 리뷰가 5점 만점 이런 식으로 정확하게 딱 떨어지는 것도 아니거니와 인용구는 대개 "비판적"이기 때문입니다. 평가 문단에 산문체로 쓰인 내용은 부족하지만 표 형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문서에는 틀에 아무데나 | noprose = yes 매개 변수를 넣어 구간 확장이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하세요.

표에 리뷰를 10개 이상 집어넣지 마세요. 집어넣을 리뷰를 고를 때는 그 출처의 저명성과 중립성을 고려해 주세요. 오래된 음반은 그 당시뿐만 아니라 현재의 리뷰 모두 항목에 수록하도록 해 주세요.

수상

[편집]

수상 문단에는 출판사나 단체가 앨범에 수여하는, 권위 있는 순위나 상에 대해 서술해야 합니다. 올해의 앨범이나 여러 가지 표창이 여기에 속합니다. 언제 수상을 받았는지 주의해 주세요. 몇몇 올해의 앨범 리스트는 가나다순으로 나열됩니다 (수적인 순위의 의미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 다른 곳에서는 출판사의 임원보다 대중의 의견을 반영하기도 합니다.

트랙 리스트

[편집]

곡 관련 항목에 연결하는 링크는 그 노래가 위키백과:저명성 (음악)#곡의 지침에 따라 문서화될 수 있는데 아직 안 된 경우에만 걸어야 합니다.

트랙 리스트는 일반적으로 numbered list 형식을 따릅니다.

  1. "곡 제목" (김철수 작곡/ 이영희 작사) – 4:23
  2. *First verse: 랩퍼 이름
  3. *Second verse: 랩퍼 이름
  4. *샘플: 샘플 소스 이름 (음악가, 곡, 음반 포함하면 좋고)
  5. "곡 제목" (김철수 작곡/ Emiya mulzomdao 작사) – 3:24
  6. "곡 제목" (김철수, Emiya mulzomdao 작곡/ 타케 이테아시, 상하이 조 작사) – 2:34

더 복잡한 상황에서는 표나 {{곡 목록}} 틀을 사용하세요. 표는 class="wikitable" 형식으로 짜 주시고 각 행의 머리에는 "#", "곡 제목", "재생 시간"을 적어 넣고 아래 항목에는 각각 트랙 넘버, 곡 제목, 곡의 재생 시간을 채워 주세요. (백:표 참조.)

트랙의 이름은 트랙 리스트와 문서의 해당 부분에 달린 출처에 있어야 합니다. 트랙이 여러 곡의 메들리인 경우 안에 "곡 1/곡 2"처럼 설명을 달아 둬야 합니다. 제목이 없는 트랙은 (설명 없이) "제목 없음"이라 목록에 올립니다. 트랙 자체를 다루는 문서가 있다면 트랙 이름에 내부 링크를 걸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송라이터의 이름은 성과 이름을 전부 적어 (링크를 걸어) 줍니다. 만약 한 사람 또는 팀이 모든 곡을 작사했다면 리스트 맨 위에 "바우터 하멜 전부 작사"처럼 미리 언급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한 사람 또는 팀이 몇몇 곡을 작사했다면 "바우터 하멜 전부 작사 (예외는 *로 표시)"나 "싸이 전부 작사 (단, "서울의 밤거리"는 양동근과 공동작업)" 등으로 서술해 줄 수 있습니다.

모든 트랙에 트랙의 길이를 적어 주세요. 트랙의 길이는 짧은 길이의 줄표(–)를 시간 앞에다 붙여 구분지어 주세요. 특히 힙합 문서에서, 그룹의 멤버 중 누가 (또는 게스트가) 어떤 샘플링 소스 버전을 듣고 비평/언급했는지 목록에 언급해 주세요. 콜라보 (공동 작업) 음반도 같은 방식으로 해 주세요. 가령 이효리의 "H-Logic"에는 일부 트랙에 게스트 보컬이 적혀 있습니다.

트랙 리스트 문단의 제목은 "트랙 리스트"라 해야 합니다. 다른 에디션에 아주 다른 트랙 리스트가 있다면, 소문단을 만들고 그 아래에 나열해 주세요. 주로 CD카세트로 판매되는 음반은 마찬가지로 "사이드 1" 과 "사이드 2" 라는 소문단을 만들어 따로 트랙 리스트를 적으세요.

다음은 "디스크 1"/"디스크 2" 타입 곡 목록 예시는:

디스크 1
  1. "First Song" – 34:11
  2. "Track 2" – 15:10
디스크 2
  1. "Third Time's a Charm" – 53:19

몇몇 앨범은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트랙, 리패키지의 엑스트라 디스크가 딸려 있기도 합니다. 이런 보너스 트랙은 위의 예시대로 형식에 맞춰 적어 주면 됩니다. track listing for the R.E.M. album Accelerate에 보너스 트랙 추가하는 예시가 있으니 참조.

트랙 리스트 예시

[편집]

아래에 위에서 설명한 트랙 리스트 방식을 모두 보여주는 예시가 있습니다. 다음은 소녀시대의 "The Boys".

숫자/포함 목록 형식

  1. The Boys (테디 라일리 작곡/ 유영진 작사) – 3:46
  2. 텔레파시 (Telepathy) (히치하이커 작곡/ 김부민 작사) – 3:43
  3. Say Yes (김영후 작사/ 작곡) – 3:44
  4. Trick (Martin Hansen 작곡/ 조윤경 작사) – 3:13
  5. 봄날 (How Great Is Your Love) (Jean Na 작곡/ 수영 작사) – 3:52
  6. My J (황성제 작곡/ 작사) – 3:51
  7. Oscar (켄지 작곡/ 김정배 작사)  – 3:21
  8. Top Secret (Mathias Peter Venge 작곡/ 홍지유 작사)  – 2:57
  9. Lazy Girl (Thomas Troelsen 작곡/ 김태윤 작사)  – 3:03
  10. 제자리걸음 (Sunflower) (히치하이커 작곡/ 김부민 작사)  – 3:48
  11. 비타민 (Vitamin) (황현 작곡/ 작사)  – 3:07
  12. Mr. Taxi (Korean Ver.) (Scott Pearson Mann 작곡/ 정혜영 작사)  – 3:30
  13. The Boys (Engilsh Ver.) (테디 라일리 작곡/ 유영진 작사)  – 3:46

{{곡 목록}} 틀

#제목작사작곡편곡재생 시간
1.The Boys유영진테디 라일리, DOM, 김태성, Richard Garcia테디 라일리, DOM, 김태성, Richard Garcia3:46
2.텔레파시 (Telepathy)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3:43
3.Say Yes김영후김영후김영후3:44
4.Trick조윤경Martin Hansen, McCarthy, Sam, Sarah LundbackMcCarthy, Sam, Sarah Lundback3:13
5.봄날 (How Great Is Your Love)수영Jean T. Na김태성, 김용신3:52
6.My J황성제황성제황성제3:51
7.Oscar김정배켄지켄지3:21
8.Top Secret홍지유Mathias Peter Venge, Peter Lars Wennerberg, Gabriella Jelena Jangfeldt, Sharon VaughnMathias Peter Venge, Peter Lars Wennerberg, Gabriella Jelena Jangfeldt, Sharon Vaughn2:57
9.Lazy Girl (Dolce Far Niente)김태윤Thomas Troelsen, Mikkel Remee Sigvardt, Lucas Secon임광욱3:03
10.제자리걸음 (Sunflower)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3:48
11.비타민 (Vitamin)황현황현황현3:07
12.Mr. Taxi (Korean Ver.)정혜영Scott Pearson Mann, Chad Royce, Allison Veltz, Paolo PrudencioScott Pearson Mann, Chad Royce, Allison Veltz, Paolo Prudencio3:30
13.The Boys (Engilsh Ver.)유영진테디 라일리, DOM, 김태성, Richard Garcia테디 라일리, DOM, 김태성, Richard Garcia3:46
총 재생 시간:45:42

# 제목 작곡가 작사가 길이
1. "The Boys" 테디 라일리 유영진 3:46
2. "텔레파시" (Telepathy) 히치하이커 김부민 3:43
3. "Say Yes" 김영후 김영후 3:44
4. "Trick" Martin Hansen 조윤경 3:13
5. "봄날" (How Great Is Your Love) Jean Na 수영 3:52
6. "My J" 황성제 황성제 황성제 3:51
7. "Oscar" 켄지 김정배 3:21
8. "Top Secret" 홍지유 Mathias Peter Venge 2:57 Mathias Peter Venge 홍지유 2:57
9. "Lazy Girl" Thomas Troelsen 김태윤 3:03
10. "제자리걸음" (Sunflower) 히치하이커 김부민 3:48
11. "비타민" (Vitamin) 황현 황현 3:07
12. "Mr. Taxi" (Korean Ver.) Scott Pearson Mann 정혜영 3:30
13. "The Boys" (Engilsh Ver.) 테디 라일리 유영진 3:46

참여 인원 또는 크레딧

[편집]

참여 인원 문단은 대체로 "참여 인원"이라 제목을 붙이고, 일반적으로 en dashes 두 번 쳐서 그 사이에 참여자의 역할과 이름을 bulleted list 형식으로 정리합니다 (track listing section 참조). 항목이 있다면 내부 링크 꼭 걸어주세요. 필요하다면 "키보드"를 건반 악기로 넘겨주는 식으로 pipe 링크를 활용하세요. 일반적으로 "베이스"는 베이스 기타더블 베이스를 가리키므로 그때그때 알맞게 링크해 주세요.

"[이름] – [악기]"의 형식으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이름] – [역할]" ("카라 리바인 – 기타리스트".) 형식으로 작성하지 마세요. 그러니까 "기타리스트", "프로듀서" 대신에 "기타", "프로덕션"이라는 표현을 쓰라는 말입니다. 또 올뮤직 방식처럼 괄호 표기하지 않습니다. (예: 어쿠스틱 베이스 (o)/ 베이스 (어쿠스틱) (x))

참여한 사람이 20명 이상이면 Div colcol-begin 같은 행렬식 틀을 사용해서 목록 구간을 나눠 주세요. 음반에 기여한 사람이 몇몇 있는 경우, 부제목을 달아서 다른 그룹으로 묶어 적어 두세요. 부제목을 만드려면 등호 표시 (=)를 치고 안에다 연주 또는 기술 담당 인원 이런 식으로 텍스트를 쓰세요.

아래는 그 예시입니다.:

카라 앤 플라워스

[편집]

따로 참여한 음악가

[편집]
  • 미키 카마이클 – 기타
  • 라이언 매든 – 드럼

기술 담당

[편집]
  • 존 도우 – 마스터링
  • 홍길동 – 프로덕션
  • 샘 밸런타인 – 프로덕션 ("노래 #1")
  • 폴 패러 – 아트워크

이렇게 서로 다른 담당 인원 그룹을 배열하는 방식에 대한 표준은 없습니다. 정보를 가장 잘 전달하는 방법은 상황에 따라 다르니까요. 밴드가 발매한 음반의 경우, 밴드 멤버는 다른 음악가나 기술 담당 인원과 떨어트려 놓는 게 좋습니다. 특별판 또는 한정판으로 재발매된 앨범은 발매된 버전마다 인원을 따로 구분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올뮤직을 인용할 때, "composer" 경력은 넣지 마세요. 올뮤직에서 "composer"란 앨범에서 단지 송라이터를 다르게 부른 것에 불과합니다. 그러니 트랙 리스트에 송라이터 크레딧 집어넣을 필요도 없고요. 또 "musician" 같이 쓸데없는 크레딧도 추가하지 마세요. 아울러 올뮤직 리스트는 불완전하고 작성 중인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음악가를 검증할 때는 다른 출처를 찾아 쓰세요.

가끔 앨범 트랙 사이사이에 수많은 가수/연주자들이 좍 배치되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곡에 피쳐링한 가수/연주자들을 작성해줘야 하고요. 이런 경우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하나는 곡을 나열하고 가수/연주자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가수/연주자 목록을 먼저 만들고 각각 이름 옆에 그 사람이 피쳐링한 곡 이름을 괄호 표시해서 집어넣는 것입니다. 아래는 첫 번째 방법의 예시입니다.:

"노래/곡 #1"

[편집]

"노래/곡 #2"

[편집]
  • 카라 리바인 – 기타
  • 김대기 – 기타
  • 빌리 해링엄 – 드럼
  • 아모켓 – 프로덕션

다음은 통합본 예시입니다.:

두 가지 예시 모두, 같은 단어(예:"기타")에 링크를 여러 번 걸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두번째 예시에서, 두 곡 모두 참여한 카라 리바인은 크레딧에 "기타 (곡 #1, 곡 #2)"라 적지 않고 간편하게 "기타"라고 적은 점 눈여겨봐 주세요. 일일이 부연설명 붙이는 건 그 연주자가 앨범 전체에 걸쳐 활동하지 않은 경우에나 필요합니다. 명료성, 필요성, 유용성에 따라 이런 정보를 배열하는 방법을 독자들에게 선보이세요. 통합본이 덜 헷갈리면 그렇게 하세요. 트랙마다 따로따로 적는 게 더 좋으면 그래도 되고요. 각자의 개인적 필요에 따라 문서마다 다른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음반 문서에 똑같은 목록 형식을 강제하지 않는 게 더 나아요. "김대기 – 기타 (2,5,8번)" 형식 대신에 곡 이름을 적는 것도 생각해 보세요. (특히 다른 에디션 앨범이 나왔을 때 트랙 리스트가 바뀐 경우.)

음반 크레딧의 양은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습니다. 어떤 음반은 관리 팀, 웹 디자이너, A&R 대표처럼 음반 제작에 거의 한 것이 없는 인원들도 크레딧에 올립니다. 더 나아가선 라이너 노트에 "Special Thanks"라는 명목으로 음반과 아예 관련 없는 사람들을 죽 나열하기도 하고요. 연주자든, 작곡가든, 사진가·그래픽 디자이너든, 삽화가·일러스트레이터든, 라이너 노트 쓴 사람이든, 엔지니어든, 프로듀서든, 오디오 믹싱이나 마스터링 전문가든 하여튼 뭐든지요.

라이너 노트 중 일부는 애매하거나 불확실한 것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엔 그 음반 담당 인원이 정확히 누구인지 독자들에게 알려 줄 믿을 만한 2차 출처를 인용하세요. 가령 Scott McCaughey 와 the Minus 5의 음반 My Chartreuse Opinion의 크레딧에는 순전히 장난으로 밥 딜런이 드러머를 맡았다고 적혀 있습니다. 그러니 출처로도 부적합하고, 밥 딜런의 음반 목록에 이 음반을 추가하기도 적절치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밥 딜런의 음반 Street-Legal에는 몇몇 기여자의 역할이 애매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프로듀서"인 Don DeVito을 "Captain in Charge"라고 한다든지). 이런 경우 그 기여자가 실제로 그랬는지 확실하지 않아서 옆에다 따로 설명하는 각주를 달아야 할 겁니다. 녹음할 때 실제로 그들이 뭘 했는지 서술하는 2차 출처는 반드시 명료해야 합니다.

차트

[편집]

앨범이 빌보드 200이나 가온 앨범 차트처럼 특정 국가의 주요 앨범 차트에 이름을 성공적으로 올렸다면 이 문단에서 차트 형식으로 보여주세요. 앨범이 단지 한두 국가에서만 차트에 올랐다면 표는 꼭 필요하진 않지만 적합하긴 합니다.

{{음반차트}} 틀은 당신이 앨범의 판매량 차트 성적을 표현하는 방식을 조직하고 구축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인증

[편집]

한 국가에서 음반이 일정량의 판매량이나 출하량에 도달한다면 인증을 받게 됩니다. 대한민국과 같이 인증 제도가 없는 국가는 이 문단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음반 인증은 문서 본문에서 서술합니다. 여러 국가에서 인증을 받았다면 틀을 이용하면 쉽습니다. 인증 틀은 {{인증표 상단}}, {{인증표}}, {{인증표 하단}}을 사용해주세요. 사용법을 잘 모르겠다면 틀이 쓰인 다른 문서를 참고합니다.

발매일

[편집]

음반은 대개 다른 지역, 다른 날짜, 다른 레이블에서 다른 포맷으로 발매됩니다(세계적인 가수일 경우 더더욱). 이 정보는 표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정보상자는 오직 최초 발매일과 레이블만 포함한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위키링크는 최초의 것에만 해주세요. 두 번 이상 링크가 겹친다면 가독성을 해칠 수도 있습니다. 포맷의 경우 [[콤팩트 디스크|CD]], [[축음기 음반|LP]]와 같이 대부분 수직선을 이용합니다. 카탈로그는 알려져있지 않다면 표기하지 않아도 무관합니다.

국가 날짜 레이블 포맷 카탈로그
영국 1968년 11월 22일 애플 더블 LP PMC 7067-8
스테레오 더블 LP PCS 7067-8
미국 1968년 11월 25일 애플, 캐피톨 더블 LP SWBO 101
세계 1987년 7월 20일 애플, 팔로폰, EMI 더블 CD CDP 7 46443-4 2
일본 1998년 3월 11일 EMI 뮤직 재팬 더블 CD TOCP 51119-20
2004년 1월 21일 EMI 뮤직 재팬 리마스터 LP TOJP 60139-40

문서 하단

[편집]

출처

[편집]

{{각주}} 틀을 문서 맨 아래에 두면 <ref> </ref> 태그 안에 있는 모든 인용 링크가 아래로 모이게 됩니다. 인용 틀을 쓰면 자동으로 올바르게 출처 형식을 짜 줍니다. 책이나 잡지처럼 출판물이 많이 쓰이는 경우, shortened footnotes 출처 시스템을 추천합니다. 인용이 너무 많아 편집하기 불편하다면 list-defined reference 시스템이 출처 코딩 뭉텅이를 문서 맨 아래에 모아 줄 것입니다.

문서에 넣을 믿을 수 있는 출처를 식별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 주세요. Discogs나무위키처럼 유저 중심으로 운영되거나 위키 형식의 웹사이트는 출처로 써서는 안 됩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는 거의 출처로 쓰이지 않습니다. 정말로 어떤 사이트에 대한 정보가 주목할 만한 것이라면, 이미 설립한 출판사에서 한 번 다뤄 줄 것입니다. 앨범 관련 문서에 알맞은 출처 목록은 위키프로젝트:음반/출처 참조.

외부 링크

[편집]

앨범 문서에는 대개 앨범과 관련 있는 외부 자료를 링크하는 외부 링크 문단이 있습니다. 앨범이 아니라 가수와 관련된 정보 링크는 걸 필요 없습니다. 그건 해당 가수 문서에 달아 주세요. 개인의 리뷰 링크도 저 문단에 달지 말고 "평가" 문단에 산문 형식으로 리뷰를 서술한 뒤 출처 링크 달아 주세요. 앨범 트랙의 가사나 코드가 있는 링크를 달면 적절하지만 가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기 때문에, 가사를 퍼 온 외부 자료가 저작권법을 어겼는지를 확인해 주세요. 저작권법을 어긴 외부 링크는 절대로 링크하면 안 됩니다.

둘러보기 틀

[편집]

특정 가수에 대한 둘러보기 틀이 있다면, 외부 링크 문단 아래에 (단, 분류 목록보다는 위에) 틀을 추가하세요. 그 가수와 관련된 문서들 (음반 또는 그냥 관련 있는 어떤 것) 집합이 의미 있는 것이고, 아직 둘러보기 틀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위에 걸린 링크에 들어가 둘러보기 상자 제작법을 보고 따라 만드세요. 이 틀의 목적은 문서를 편히 둘러보게 하는 것이니, 아직 존재하지 않는 음반 문서는 추가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분류하기

[편집]

백:분류에 따라, 앨범은 프로듀서, 작곡가, 음반사 등 특징에 따라 분류됩니다. 이는 앨범의 특징이 규정된 경우에만 시행합니다. (가령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가 흔히 지속적으로 어떠한 것이 특징이라고 규정한 앨범-그냥 지나가는 말이나 완성도에 대한 언급 말고)

  • 발매년도는 보통 모든 앨범의 규정된 특징입니다. 다른 특징에 비해, 만약 특정한 특징으로 앨범을 규정한다면 (가령 "X가 작곡한 앨범"), 그건 그 덕에 저명해지고 위키백과에 문서화될 자격을 갖추게 됩니다 (백:저명백:음악에 따라). 문서가 없는 건 그 특징이 정의되지 않아서일지도 모릅니다.
  • 총의에 따르면 "X가 프로듀싱한 앨범" 같은 분류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단 특정한 프로듀서가 앨범 제작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 경우는 예외입니다.
  • 팀의 일원이 작곡가나 프로듀서 같은 특징으로 인정받은 경우, 절대로 팀의 개별 멤버를 위한 여러가지 분류로 공식적인 크레딧을 나눠서는 안 됩니다. [1] 예를 들어, X라는 팀의 Y라는 멤버가 앨범을 프로듀싱했다 했을 때, 이게 "Y가 프로듀싱한 앨범"이라 분류되진 않습니다. 다만 "팀 X가 프로듀싱한 앨범"은 "Y가 프로듀싱한 앨범"과 연관된 분류로 포함되거나 앨범 자체가 곧장 "Y"로 분류되겠지요.(이 경우 "팀 X가 프로듀싱한 앨범" 역시 되고.)
    • 같은 팀이 아닌 프로듀서 X와 Y가 앨범 전체적으로 같이 작업했다면, 그 앨범을 두 프로듀서에 대한 분류에 모두 넣어도 됩니다.
  • 따로 분류해도 되는 특징의 경우와 비교해 봐서, "전세계에서 상업적으로 성공"했다고 규정된 앨범이 있다고 칩시다. 이 경우 전세계 판매량을 인증하는 기관이 없기 때문에, 몇몇 분류는 국가적 또는 지역적 인증 기관에 따라 만들어질 것입니다.
  • 한 분야의 앨범에서는 흔히 규정되는 특징이 다른 분야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령 클래식 음반에는 "~가 지휘한" 같은 표현이 흔하지만 락 음악 앨범에서는 찾아보기 아주 힘듭니다. "~가 프로듀싱한" 같은 표현도 팝이나 락 음악 앨범에서는 종종 보이지만 클래식 음반에서는 거의 눈에 띄지 않죠. 음반사는 앨범의 특징을 따로 규정짓지 않습니다. 하지만 소형, 특정 분야 음반사는 정반대지요.
  • 위의 기준에서 인정하지 않는 문서 집합이 있는 것 같으면, 목록 문서같은 대안을 고려해 보세요.

주요 분류

[편집]

주로 사용되는 "최상위"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음악가 이름과 음반 발매일

[편집]

모든 음반은 분류:<누군가의> 음반분류:<XXXX년> 음반 두 가지 분류에 놓여야 합니다. 저 둘은 각각의 상위 분류에 속하는 하위 분류여야 하죠. 모든 음반은 분류:연도별 음반이나 분류:연대별 음반에서 찾을 수 있는 더 상세한 분류에 속하는 날짜에 따라 하위 분류됩니다(의도에 걸맞게, 음반의 날짜는 녹음한 날이 아닌 발매일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박명수의 어떤가요"는 음반 녹음년도인 분류:2012년 음반이 아니라 음반 발매년도인 분류:2013년 음반에 속합니다. 녹음 날짜가 2012년 12월 끄트머리에도 걸쳤다고는 해도). 정확한 발매일을 알 수 없는 음반은 분류:발매일 미상 음반으로 분류하세요. 모든 음반은 음악가에 따라 하위분류해야 합니다. 해당 음악가에 대한 분류가 없다면 하나 만드세요. 이 음악가 분류는 그의 국적이나 장르로 자기 자신을 분류합니다. 마찬가지로 음악가의 이름은 해당 문서 표제어와 같아야 합니다 (말 그대로 "&"/"and" 같은 표시를 다 따라야 합니다.) 예외적인 경우에, "~의 앨범" 분류를 빼야 할 때도 있습니다. 대개 여러 음악가가 참여하고 ("Various Artist" 이런 식으로), 한 사람에게 모든 공을 돌릴 수 없는 음반이 이에 속합니다. 다만 스플릿 음반은 the contributing artists로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2009년에 발매된 서태지의 "Seotaiji 8th Atomos"는 분류:2009년 음반분류:서태지의 음반에 속합니다. 분류를 추가하려면 아래 코드대로 문서 맨 아래에 입력하면 됩니다.

[[분류:2009년 음반]]
[[분류:서태지의 음반]]
[[분류:위키백과 편집 지침]]

분류:서태지의 음반분류:음악가별 음반분류:대한민국의 음반분류:록 음반의 하위 분류입니다. 분류:대한민국의 음반분류:록 음반의 상위 분류에는 각각 분류:나라별 음반분류:록 음반이 있고, 분류:록 음반 위에는 분류:장르별 음반이라는 상위 분류가 있습니다. 분류:2009년 음반분류:연도별 음반의 하위 분류입니다.

음반은 그걸 발매한 음악가 기준으로 분류하세요. 따라서 "싸이6甲"은 분류:싸이의 음반에 속하지 분류:현아의 음반에 속하지 않습니다. 현아가 뮤직비디오에 얼굴을 비추었다고 해도 (혹여나 녹음에 참여한 경우에도) 말입니다. 마찬가지로 "Stand Up"이 속하는 곳은 분류:빅뱅의 음반이지 분류:대성의 음반이 아닙니다. 대성빅뱅 멤버라 해도요. 후자에는 대성 솔로 활동 앨범만 들어가야죠.

이전의 논의에서 음악가가 음반을 하나만 발매했다 하더라도 해당 음악가 음반 분류는 만들어져야 한다는 총의가 도출되었습니다(나중에 더 발매할지 여부에 관계 없이). 당신이 만든 분류는 모두 최소한 하나라도 다른 분류에 속하게 해 주세요. 안 그러면 나중에 찾아갈 수도 없어서 특수기능:분류안된분류에 뜨게 됩니다. 정 만드는 방법을 모르겠다면 다른 음악가 분류를 참조해서 만드세요.

음반의 종류

[편집]

음반을 타입별로 바로 분류해서는 안 됩니다. 분류:리믹스 음반이나 분류:영상 음반 같은 분류는 범위가 너무 넓어 산만해서 정보를 찾는데 방해되니까요.

연도별 음반에 있는 스튜디오 음반만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다만 다른 음반도 분류:연도별 컴필레이션 음반, 분류:연도별 EP, 분류:연도별 리믹스 음반, 분류:연도별 사운드트랙 음반, 분류:연도별 영상 음반처럼 비슷한 제도가 있다면 가능합니다. 또한 연도별 크리스마스 음반(분류:연도별 크리스마스 음반)이나 연도별 데뷔 음반(분류:연도별 데뷔 음반.) 역시 가능합니다.

아티스트의 국적

[편집]

분류:나라별 음반처럼 음반 문서를 곧장 분류해서는 안 됩니다. 특정 분류의 하위 분류는 오직 분류 자체만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분류:AKB48의 음반분류:일본의 음반 하위 분류인데, 1830m 같은 AKB48의 개별 앨범을 일일이 분류:일본의 음반에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이미 상위 분류에 속한 하위 분류에 들어가 있기 때문입니다.

판매량 인증

[편집]

음반이 판매량 인증 기구에서 실제로 인증받았다면, 음반은 인증 단계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습니다. 이 분류를 넣으려면 문서 본문 내에 출처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인증표 상단}}, {{인증표}}, {{인증표 하단}}을 써서 인증 사실을 알리세요. 꼭 필요한 건 아니지만, 쓰면 음반을 자동으로 해당 분류에 넣어줍니다.

장르

[편집]

흔히, 앨범은 장르로 직접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앨범은 아티스트별로 분류하고, 그런 분류는 또 장르별로 분류되는 식이죠. 예를 들어 Pet Sounds분류:팝 록 음반에 곧장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분류:비치 보이스의 음반에 분류되어 있고, 저것분류:팝 록 음반 아래에 분류되었거든요. 분류:바로크 팝 음반분류:비치 보이스의 음반을 포함하지 않으니 문서에 걸 수 있고요. 비치 보이스의 음반은 거의 팝 록이지 바로크 팝이 아닙니다. 다른 예로, 존 바에즈의 음반은 모두 포크 앨범으로 분류됩니다. 분류:존 바에즈의 음반분류:미국의 포크 음반의 하위 분류거든요 (후자의 분류에는 분류:포크 음반분류:미국의 음반이 교차된다는 점 참고). 음반 One Day at a Time은 컨트리 음악이 소재인 것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오직 분류:미국의 포크 음반에만 속하죠. Baez의 음악은 컨트리라 특징지을 수 없어서 모든 음반을 이 방법대로 분류하는 건 적절하지 않습니다.

위에서 말했듯, 분류에 아티스트의 국적과 장르가 중첩되기도 합니다. 이는 분류:미국의 음반처럼 너무 큰 나라별 분류와 분류:록 음반처럼 너무 큰 장르별 분류를 분류:미국의 록 음반 등으로 분산시키려는 목적입니다. 그래도 크면 분류:미국의 포크 록 음반처럼 하위 분류를 만드세요. 모든 장르와 국적 분류를 중첩시킬 필요도 없고 바라지도 않습니다. 위키백과 분류의 일반적인 원리를 보고 중첩 분류가 필요한지 아닌지 결정하세요.

언어

[편집]

모든 음반은 언어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보컬이 없다면 분류:연주곡 음반이 있습니다. 음반이 무한정 많은 언어의 분류 안에 속할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넘겨주기

[편집]

음반 관련 문서 분류법에 대해 여기 쓰인 모든 것은 모든 음반에 대한 넘겨주기 문서에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는 총의를 명심하세요.

분류 만들기

[편집]

음반 문서를 조직할 분류를 만들기로 결정했다면, 아래의 고려 사항을 마음에 새겨 주세요.

  • 위키백과에 문서화되지 않은 가수, 장르, 레이블, 프로듀서로 묶은 분류는 모두 삭제될 것입니다. 먼저 가수, 장르, 레이블, 프로듀서의 저명성을 확립해 줄 수 있는, 출처가 적절히 달린 문서를 만드는 것을 고려하세요. 그리고 나서 알맞은 분류를 만드세요.
  • 음반 분류를 위한 틀이 두 개 있습니다. {{Album label category}} 는 분류:음반사별 음반의 하위 분류에 사용됩니다. {{Albums category}} 는 분류:음악가별 음반의 하위 분류에 쓰이고요. 둘 다 본 문서 링크를 제공하고, 백:분류에 따른 활자 정보를 주며, 이 형식 지침으로 유저를 유도하는 식으로 유용하게 쓰입니다. 후자의 틀은 편집자가 분류에 넣을 적절한 문서를 찾는 것을 도와 주는 검색 기능도 있습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Otherwise, the categorization loses potency as it is no longer per the defining characteristic; also, the official (legal) credit could be misconstrued (category names may be seen in the article unordered, disjoint, or incomp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