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슬로 협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슬로 협정에 관한 이스라엘 뉴스 보도
노벨평화상을 받은 오슬로 협정의 주역들

오슬로 협정(영어: Oslo Accords)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사이의 이뤄진 협정이다.

개요[편집]

오슬로 협정에 서명중인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대표들

팔레스타인의 자치에 대한 원칙적인 합의와 이스라엘PLO의 상호 인준으로 구성되며 내용은 팔레스타인 자치와 선거, 과도기협정, 이스라엘군의 재배치와 철수, 예루살렘과 점령지의 최종 지위 협상, 유대인정착촌, 경제조항, 난민문제 등이 들어 있다. 당시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의 중재로 이루어졌으며, 오슬로 자치안이라고도 한다.[1][2]

상세[편집]

오슬로 협정이 빌 클린턴 대통령 앞에서 체결되었다. 위의 인물은 왼쪽에서부터 이츠하크 라빈, 빌 클린턴, 아라파트이다.

팔레스타인 자치는 이스라엘군이 철수하는 1993년 12월 13일부터 5년 동안 시행하기로 하였으나, 이후 이행이 늦추어져 1994년 5월 4일부터 1999년 5월 4일까지로 바뀌었다. 과도기협정은 자치위원회의 구조와 권력 이양을 규정한 것으로 자치위원회의 행정 입법당국과 독립적인 사법기관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경제조항은 이스라엘이 점령지에 대한 투자, 자본 및 물류이동 등의 경제활동을 통제하며 시장은 이스라엘 상품에 개방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이밖에 이스라엘군의 전면 철수, 동예루살렘의 지위와 유대인 정착촌, 팔레스타인 난민 등의 문제는 논의가 미루어졌다.[3][4][5]

오슬로 협정은 외교적 상상력이 발휘된 협정이었으나, 양자 간 평화는 끝내 실현되지 못하였다. 오슬로 협정의 구체적인 이행은 1995년 11월 이츠하크 라빈 총리가 이스라엘 극우파에 의해 암살되고 1996년 하마스의 이스라엘에 대한 자살폭탄 테러 등이 발생하는 등 양측 내부의 협정반대세력의 공세로 이행에 난항을 겪게 되었다.[6] .[7][8][9][10][11][12] 이후 1996년 이스라엘 총선에서 극우 강경파 베냐민 네타냐후가 총리로 당선되면서 오슬로 협정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우파적 성향으로 당선된 네타냐후는 미국의 압력에 의해서 평화협정에 서명하였으며, 이 때문에 그는 총리직을 사임하게 된다. 그러나 2009년 네타냐후가 다시 총리로 복귀하며, 평화협정 이행을 사실상 거부하며 오슬로 협정은 길을 잃게 된다. 이후 네타냐후가 집권하는 동안 이스라엘을 정치적으로 우경화를 겪으며 팔레스타인과 갈등을 점차 심화하게 되었다.[13][14][15] 2023년 10월 초부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격화되면서 사실상 오슬로 협정은 유명무실해졌다.

오슬로 협정 전문[편집]

전문[편집]

오슬로 협정은 17조항을 명시한다.

부속서[편집]

오슬로 협정은 4개의 부속서를 포함한다:

부속서 1: 팔레스타인 내 선거 조건[편집]

This annex covered election agreements, a system of elections, rules and regulations regarding election campaigns, including agreed arrangements for the organizing of mass media, and the possibility of licensing a TV station.

부속서 2: 이스라엘 군의 철수[편집]

An agreement on the withdrawal of Israeli military forces from the Gaza Strip and Jericho area. This agreement will include comprehensive arrangements to apply in the Gaza Strip and the Jericho area subsequent to the Israeli withdrawal. Internal security and public order by the Palestinian police force consisting of police officers recruited locally and from abroad (holding Jordanian passports and Palestinian documents issued by Egypt). Those who will participate in the Palestinian police force coming from abroad should be trained as police and police officers.

  • A temporary international or foreign presence, as agreed upon.
  • Establishment of a joint Palestinian–Israeli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Committee for mutual security purposes.
  • Arrangements for a safe passage for persons and transportation between the Gaza Strip and Jericho area.
  • Arrangements for coordination between both parties regarding passages: Gaza–Egypt; and Jericho–Jordan.

부속서 3: 경제협력[편집]

The two sides agree to establish an Israeli–Palestinian continuing Committee for economic cooperation, focusing, among other things, on the following:

  • Cooperation in the field of water
  • Cooperation in the field of electricity
  • Cooperation in the field of energy
  • Cooperation in the field of finance
  • Cooperation in the field of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 Cooperation in the field of trade and commerce
  • Cooperation in the field of industry
  • Cooperation in, and regulation of, labor relations
  • Cooperation in social welfare issues
  • An environmental protection plan
  • Cooperation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and media

부속서 4: 지역 개발[편집]

The two sides will cooperate in the context of the multilateral peace efforts in promoting a Development Program for the region, including the West Bank and the Gaza Strip, to be initiated by the G7 countries.

합의의사록[편집]

The Oslo I Accord contains some explanations of a number of articles in the Accord, with understandings the parties had agreed on:

일반적 양해사항[편집]

Any powers and responsibilities transferred to the Palestinians through the Declaration of Principles prior to the inauguration of the council will be subject to the same principles pertaining to Article IV, as set out in the agreed minutes below.

구체적 양해사항[편집]

제4조
위원회의 관할권

It was to be understood that: Jurisdiction of the council would cover West Bank and Gaza Strip territory, except for issues that would be negotiated in the permanent status negotiations.

제5조
영구적 지위에 대한 협상 사안들

It was understood that several issues were postponed to permanent status negotiations, including: Jerusalem, refugees, settlements, security arrangements, borders, relations and co-operation with other neighbours, and other issues of common interest. The outcome of these permanent status negotiations should not be prejudiced or pre-empted by the parties.

제6조(2)
권력이양

It was agreed that the transfer of authority would be as follows: The Palestinians would inform the Israelis of the names of the authorized Palestinians who would assume the powers,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that would be transferred to the Palestinians according to the Declaration of Principles in the following fields: education and culture, health, social welfare, direct taxation, tourism, and any other authorities agreed upon.

제7조 (2)
협력

The Interim Agreement would also include arrangements for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제7조 (5)
이스라엘의 권한

The withdrawal of the military government would not prevent Israel from exercising the powers and responsibilities not transferred to the council.

제8조
경찰

It was understood that the Interim Agreement would include arrangements for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It was also agreed that the transfer of powers and responsibilities to the Palestinian police would be accomplished in a phased manner. The accord stipulated that Israeli and Palestinian police would do joint patrols.

제10조
지정된 대표

It was agreed that the Israeli and Palestinian delegations would exchange the names of the individuals designated by them as members of the Joint Israeli–Palestinian Liaison Committee which would reach decisions by agreement.

제11조
이스라엘의 지속적인 책임

It was understood that, subsequent to the Israeli withdrawal, Israel would continue to be responsible for external security, and for internal security and public order of settlements and Israelis. Israeli military forces and civilians would be allowed to continue using roads freely within the Gaza Strip and the Jericho area.

각주[편집]

  1. “Israel - Wye River, Peace Process, Oslo Accords | Britannica” (영어).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2. “Oslo Accords | Summary, Significance, & Breakdown | Britannica” (영어). 2023년 10월 8일.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3. “팔레스타인 지도부의 정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전망”.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4. “팔레스타인 "오슬로협정 지킬 수 없다". 2015년 10월 1일.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5. “오슬로협정”.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6. “[오늘 속 어제] 1993년 오슬로 협정 통해 이-팔 ‘두 국가 해법’ 확립… 실행으론 못 이어져”. 2018년 9월 10일.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7. 기자, 구정은 (2015년 10월 1일). “팔 대통령 "이스라엘과의 협정 못 지키겠다" ...파탄난 오슬로협정”.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8. 조선일보 (2023년 9월 10일). “오슬로 협정 30년… 이·팔의 평화공존을 멈출 순 없다”.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9. “[김태우] 오슬로 협정과 한반도”.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10. “중동평화협정의 어제와 오늘”. 2018년 10월 22일.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11. 구정은기자 (2009년 11월 3일). “[어제의 오늘]1995년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총리 암살”.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12. “[정치]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 이스라엘과의 ‘오슬로 협정 지키지 않을 것’”.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13. “이스라엘 최장기 집권 총리 네타냐후는 누구인가”. 《BBC News 코리아》.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14. 머니투데이 (2023년 1월 8일). “네타냐후의 귀환…중동 불안 고조 가능성에 국제사회 긴장”.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15. “현지서 네타냐후 책임론…“위험 식별 실패, 상대 무시 외교””. 2023년 10월 9일. 2023년 10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