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섬서성 (빨간색)과 지진의 피해 지역(노란색)
섬서 대지진 (陝西大地震)은 1556년 1월 23일 오전 중국 명나라 섬서성 에서 발생한 지진 이다. 리히터 규모 8.0으로 2008년 쓰촨 대지진 과 비슷한 규모이다. 사망자만 83만 명에 달할 정도로 중국 역사상 최악의 지진 피해로 기록되고 있으며 당시 섬서성 전체 인구 의 60%가 사망했다고 한다. 게다가 섬서성은 지진 발생 당시 안전에 취약한 탄광들이 많이 있어서 피해가 더욱 커졌다.
역사지진
태산 (기원전 1813년?, M?)
산시성 신저우 (512년, M7.5)
지린성 쑹위안 (1119년, M7)
북직례 지역 (1290년, M6.8)
산시성 린펀 (1303년, M8.0)
윈난성 리장 (1515년, M?)
산시성 (1556년, M8.5)
백두산 인근 (1597년, M8)
광둥성 산터우 (1600년, M?)
푸젠선 취안저우 (1604년, M7.5)
광둥성 (1605년, M?)
산둥성 린이 (1668년, M8.5)
산허-핑구 지역 (1679년, M8.0)
쓰촨성 캉딩-루딩 지역 (1786년, M7.75)
윈난성 쑹밍 (1833년, M8.0)
충칭 (1856년, M?)
간쑤성 우두 (1879년, M8.0)
20세기
지린성 왕칭 (1902년, M6.6)
광둥성 산터우 (1918년, M7.2)
닝샤성 하이위안 (1920년, M8.3)
윈난성 다리 (1925년, M7.0)
간쑤성 구랑 (1927년, M8.0)
신장성 푸윈 (1931년, M8.0)
간쑤성 주취안 (1932년, M7.6)
간쑤성 창마 (1932년, M7.6)
산둥성 허쩌 (1937년, M7.0)
헤이룽장성 둥닝 (1940년, M7?)
압록강 하구 (1944년, M6.8)
티베트-아삼 경계 (1950년, M8.6)
티베트 당슝 (1952년, M7.5)
쓰촨성 유자 (1955년, M6.8)
광동성 광저우 (1962년, M6.1)
허베이성 싱타이 (1966년, M7.2)
광둥성 양장 (1969년, M6.4)
윈난성 퉁하이 (1970년, M7.5)
쓰촨성 루훠 (1973년, M7.9)
지린성 왕칭 (1973년, M7.8)
윈난성 다관 (1974년, M7.1)
랴오닝성 하이청 (1975년, M7.5)
윈난성 룽링 (1976년, M7.3)
쓰촨성 쑹판-핑우 (1976년, M6.7)
허베이성 탕산 (1976년, M7.5)
쓰촨성 다오푸 (1981년, M6.8)
윈난성 루취안 (1985년, M6.3)
신장 우차 (1985년, M7.4)
윈난성 란창-겅마 (1988년, M7.6)
윈난성 우딩 (1995년, M6.2)
윈난성 리장 (1996년, M7.0)
내몽골 바오터우 (1996년, M6.4)
신장 가스 (1997년, M6.4)
티베트 마니 (1997년, M7.9)
허베이성 장베이 (1998년, M6.2)
윈난성 닝랑 (1998년, M6.2)
지린성 왕칭 (1999년, M7.0)
윈난성 야오안 (2000년, M5.9)
21세기
티베트 쿤룬산맥 (2001년, M8.2)
지린성 왕칭 (2002년, M7.2)
신장 가스-마랄베시 (2003년, M6.3)
신장 자오쑤 (2003년, M6.0)
장시성 차이쌍 (2005년, M5.7)
윈난성 옌진 (2006년, M5.1)
쓰촨성 (쓰촨 대지진) (2008년, M8.2)
윈난성 더훙 (2008년, M5.9)
쓰촨성 판즈화 (2008년, M6.1)
티베트 당슝 (2008년, M6.4)
윈난성 위수 (2010년, M7.1)
광둥성 선전 (2010년, M3.8)
윈난성 잉장 (2011년, M5.8)
윈난성 이량 (2012년, M5.7)
쓰촨성 야안 (2013년, M7.0)
간쑤성 딩시 (2013년, M6.6)
지린성 첸궈얼뤄쓰 (2013년, M5.8)
신장 케리야 (2014년, M7.3)
윈난성 잉장 (2014년, M6.1)
윈난성 루뎬 (2014년, M6.5)
윈난성 징구 (2014년, M6.6)
쓰촨성 캉딩 (2014년, M6.3)
신장 피산 (2015년, M6.4)
신장 아커타오 (2016년, M6.7)
쓰촨성 주자이거우 (2017년, M7.0)
신장 징허 (2017년, M6.3)
쓰촨성 칭촨 (2017년, M5.4)
티베트 미린 (2017년, M6.9)
지린성 쑹위안 (2018년, M5.3)
윈난성 퉁하이 (2018년, M5.0)
쓰촨성 이빈 (2018년, M5.7)
쓰촨성 쯔궁 (2019년, M4.9)
쓰촨성 이빈 (2019년, M6.0)
쓰촨성 네이장 (2019년, M5.4)
간쑤성 샤허 (2019년, M5.7)
신장 카슈가르 (2020년, M6.4)
주강 삼각주 (2020년, M3.5)
윈난성 차오자 (2020년, M5.0)
허베이성 탕산 (2020년, M5.1)
윈난성 양비 (2021년, M6.4)
칭하이성 마둬 (2021년, M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