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피그미주머니쥐
![]() | ||||||||||||||||||
![]() 2013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클레랜드 야생 공원에서 붙잡힌 서부피그미주머니쥐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2]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Cercartetus concinnus (Gould, 1845) | ||||||||||||||||||
![]() 서부피그미주머니쥐의 분포 지역 |
서부피그미주머니쥐(Cercartetus concinnus)는 꼬마주머니쥐과에 속하는 유대류의 일종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는 작은 유대류로 남서부피그미주머니쥐, 문다르다(mundarda)로도 불린다. 유전학 연구를 통해 근연종은 동부피그미주머니쥐이며,[3] 약 8백만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기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4]
특징[편집]
서부피그미주머니쥐는 피그미주머니쥐속에서 특이한 종으로, 회색의 다른 종들과 달리 온 몸의 털 대부분이 밝은 황갈색을 띤다.[5]
각주[편집]
-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44–45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Cercartetus concinn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Osborne, M.J. & Christidis, L. (2002).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of pygmy possums (Burramyidae: Cercartetus)”.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50 (1): 25–37. doi:10.1071/ZO01071.
- ↑ Pestell, A.J.L.; 외. (2008). “Genetic structure of the western pygmy possum Cercartetus concinnus Gould (Marsupialia: Burramyidae) based on mitochondrial DNA”. 《Australian Mammalogy》 29 (2): 191–200. doi:10.1071/AM07023.
- ↑ Menkhorst, Peter (2001).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8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