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원숭이반지꼬리주머니쥐
![]() | ||||||||||||||||||
![]() 여우원숭이반지꼬리주머니쥐 | ||||||||||||||||||
보전 상태 | ||||||||||||||||||
---|---|---|---|---|---|---|---|---|---|---|---|---|---|---|---|---|---|---|
![]() 준위협(NT), IUCN 3.1[2]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Hemibelideus lemuroides (Collett, 1884) | ||||||||||||||||||
![]() 여우원숭이반지꼬리주머니쥐의 분포 지역 |
여우원숭이반지꼬리주머니쥐(Hemibelideus lemuroides)는 반지꼬리주머니쥐과에 속하는 유대류의 일종이다.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잉햄과 케언스 사이의 좁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카빈 테이블랜드에서도 고립된 개체군으로 발견된다.[3] 다른 반지꼬리주머니쥐와 비교하여 붓꼬리에 털이 더 무성하며, 활강막이 없고 귀가 더 짧고 털이 없어서 주머니날다람쥐와 구별할 수 있다. 무리 생활을 하며, 색에 따라 두 부류가 발견된다. 가장 흔한 부류는 초콜렛 갈색을 띠며, 나머지는 드물게 발견되는 흰색을 띠는 부류로 데인트리 우림에서 서식하며 2005년에 마지막으로 관찰되었다.[3][4] 그러나 2009년 갈색을 띠는 부류가 케이프 요크의 데인트리 국립공원에서 발견되었다.[5]
각주[편집]
-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50–51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Hemibelideus lemuroide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Menkhorst, Peter (2001).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98쪽.
- ↑ Malkin, Bonnie (2008년 12월 3일). “Australia's white possum could be first victim of climate change”. 《The Daily Telegraph》 (Telegraph Media Group). ISSN 0307-1235. OCLC 49632006. 2016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Schwarten, Evan (2009년 3월 27일). “'Extinct' possum found in Daintree”. 《Nine News》. 2011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