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면반지꼬리주머니쥐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Pseudochirulus larvatus (Forster & Rothschild, 1911)[2] | ||||||||||||||||||
![]() 가면반지꼬리주머니쥐의 분포 지역 |
가면반지꼬리주머니쥐(Pseudochirulus larvatus)는 반지꼬리주머니쥐과에 속하는 유대류의 일종이다. 스타 산맥의 뉴기니 북동부 지역, 중부 코르디예라의 동부 지역, 후온 반도 그리고 북부 해안 지역에서 발견된다.[1][3] 가면반지꼬리주머니쥐는 다양한 숲 생태계의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종이다. 성적으로 이형성을 보이며, 현지에서 흔하게 발견된다.[1] 한때는 이끼숲반지꼬리주머니쥐(P. forbesi)의 아개체군으로 분류했지만,[1][3] 현재는 별도의 종으로 간주한다.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Pseudochirulus larvat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9.1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Pseudochirulus larvatus (Masked Ringtail)”. 2012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Wilson, Don E.; Reeder, DeeAnn M., 편집.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2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