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비 (朴仁妃, 1988년 7월 12일 ~ )는 LPGA 투어 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한민국 의 프로 골퍼 다. 메이저 대회 7회 우승을 포함하여 LPGA 대회에서 총 21번 우승하였다. 2013년 4월 15일 , 박인비는 여자 골프 세계 랭킹 1위에 랭크되었다.[1] 또한 LPGA 역사상 일곱 번째이자 아시아인 최초로 여자 커리어 그랜드 슬램 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2]
1998년 US 여자 오픈 에서 박세리 가 물에 빠지기 일보 직전의 공을 샷하기 위해 맨발로 들어갔을 때, 검게 탄 종아리와 대비되는 하얀 발을 보고 골프 클럽을 잡기 시작했다.[3]
박인비가 우승한 메이저 대회는 US 여자 오픈 2승(2008·2013), ANA 인스퍼레이션 (2013), 위민스 PGA 챔피언십 (2013,2014,2015), 브리티시 여자 오픈 (2015) 등으로 한국인 선수 중 최다승을 기록하고 있다.
56주 연속 랭킹 1위를 달렸던 박인비는 세계랭킹을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후 로레나 오초아 (158주), 쩡야니 (109주)의 뒤를 이어 최다 연속 1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12년 만에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골프가 다시 채택된 후 대한민국 국가 대표로 출전한 2016 하계 올림픽 여자 골프 경기에서 최종 16언더파를 기록, 금메달을 차지함으로써 "커리어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였다.[4] 이후 2021년 도쿄에서 열린 2020 하계 올림픽에서도 국가 대표로 활동하였다.
프로 우승 (29) [ 편집 ]
LPGA 투어 우승 (21) [ 편집 ]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타수
2위
우승 상금 ($ )
1
2008년 6월 29일
US 여자 오픈
72-69-71-71=283
−9
4타
헬렌 알프레드손
585,000
2
2012년 7월 29일
에비앙 마스터스
71-64-70-66=271
−17
2타
스테이시 루이스 카리 웹
487,500
3
2012년 10월 14일
Sime Darby LPGA Malaysia
69-68-65-67=269
−15
2타
최나연
285,000
4
2013년 2월 24일
혼다 LPGA 타일랜드
67-71-71-67=276
−12
1타
에리야 쭈타누깐
225,000
5
2013년 4월 7일
크래프트 나비스코 챔피언십
70-67-67-69=273
−15
4타
유소연
300,000
6
2013년 4월 28일
노스 텍사스 LPGA 슛아웃
67-70-67-67=271
−13
1타
카를로타 시간다
195,000
7
2013년 6월 9일
웨그먼스 LPGA 챔피언십
72-68-68-75=283
−5
플레이오프
캐트리오나 매튜
337,500
8
2013년 6월 23일
월마트 NW 아칸소 챔피언십
69-65-67=201
−12
플레이오프
유소연
300,000
9
2013년 6월 30일
US 여자 오픈 (2)
67-68-71-74=280
−8
4타
김인경
585,000
10
2014년 6월 8일
매뉴라이프 파이낸셜 LPGA 클래식
69-66-65-61=261
−23
3타
크리스티 커
225,000
11
2014년 8월 17일
웨그먼스 LPGA 챔피언십 (2)
72-66-69-70=277
−11
플레이오프
브리터니 린시컴
337,500
12
2014년 11월 2일
푸본 LPGA 타이완 챔피언십
64-62-69-71=266
−22
2타
스테이시 루이스
300,000
13
2015년 3월 8일
HSBC 위민스 챔피언십
66-69-68-70=273
−15
2타
리디아 고
210,000
14
2015년 5월 3일
발런티어스 오브 아메리카 노스 텍사스 슛아웃 (2)
69-66-69-65=269
−15
3타
크리스티 커 박희영
195,000
15
2015년 6월 14일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 (3)
71-68-66-68=273
−19
5타
김세영
525,000
16
2015년 8월 2일
리코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69-73-69-65=276
−12
3타
고진영
464,817
17
2015년 11월 15일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
68-71-67-64=270
−18
3타
카를로타 시간다
200,000
18
2017년 3월 5일
HSBC 위민스 챔피언십 (2)
67-67-71-64=269
−19
1타
에리야 쭈타누깐
225,000
19
2018년 3월 19일
뱅크 오브 호프 파운더스컵
68-71-63-67=269
-19
5타
마리나 알렉스 로라 데이비스 에리야 쭈타누깐
225,000
20
2020년 2월 16일
ISPS Handa 호주여자오픈
67-69-68-74=278
-14
3타
에이미 올슨
195,000
21
2021년 3월 28일
KIA 클래식
66-69-69-70=274
-14
5타
에이미 올슨 렉시 톰슨
195,000
JLPGA 투어 우승 (4) [ 편집 ]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타수
2위
1
2010년 6월 29일
니신지 레이디스 클래식
69-71-69=209
−7
플레이오프
아마누마 지에코
2
2010년 11월 28일
일본 LPGA 투어 챔피언십 리코 컵
72-72-70-73=287
−1
4타
안선주 미야자토 미카
3
2011년 3월 6일
다이킨 오키드 레이디스
72-67-66=205
−11
3타
사이키 미키
4
2012년 5월 13일
훈도킨 레이디스
70-69-68=207
−9
2타
펑산산
여자 유러피언 투어 우승 (3) [ 편집 ]
KLPGA 우승 (1) [ 편집 ]
No.
날짜
대회
최종 점수
파
2위와의 타수
2위
1
2018년 5월 20일
2018 두산 매치플레이 챔피언십
-
1UP
김아림
올림픽 (1) [ 편집 ]
기타 우승 (3) [ 편집 ]
2013년 미션 힐스 월드 레이디스 챔피언십 – 팀 (김하늘 과 함께)
2014년 미션 힐스 월드 레이디스 챔피언십 – 팀 (유소연 과 함께)
2015년 월드 레이디스 챔피언십 – 팀 (유소연 과 함께)
LPGA 메이저 대회 성적 [ 편집 ]
타임 라인 [ 편집 ]
대회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ANA 인스퍼레이션
T62
9
T26
T10
T29
T26
1
38
T11
T6
T3
T2
T68
T37
T7
위민스 PGA 챔피언십
T62
T46
T14
T7
T14
T9
1
1
1
CUT
T7
CUT
T7
2
T40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CUT
T4
1
T26
T8
T6
T9
1
T43
T3
CUT
9
T16
T6
T7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T11
CUT
T24
T9
T7
2
T42
4
1
T11
CUT
CUT
4
T52
에비앙 챔피언십
T67
T10
T8
T8
T8
NT
T12
1 에비앙 챔피언십은 2013년에 추가되었다.
2 CUT = 중간 컷에서 탈락
3 T = 공동
4 코로나19로 인해 에비앙 챔피언십은 2020년에 열리지 않음
우승
10위권
참가안함
LPGA 경력 요약 [ 편집 ]
연도
출전 대회
컷 통과*
우승
2위
3위
톱10
최고 성적
상금 ($ )
상금 순위
평균 점수
점수 순위
2004
2
1
0
0
0
1
T8
n/a
n/a
72.60
n/a
2005
2
1
0
0
0
1
5
n/a
n/a
71.00
n/a
2006
2
2
0
0
0
0
T35
n/a
n/a
73.86
n/a
2007
26
18
0
1
0
2
T2
380,263
37
73.19
72
2008
26
22
1
0
1
7
1
1,138,370
8
71.78
26
2009
23
16
0
0
0
2
T5
271,303
50
72.55
67
2010
19
19
0
1
1
11
2
825,477
11
70.83
9
2011
16
15
0
0
0
3
T6
365,231
31
72.00
27
2012
24
23
2
6
1
12
1
2,287,080
1
70.21
1
2013
23
22
6
0
1
11
1
2,456,619
1
69.87
3
2014
23
22
3
2
4
17
1
2,226,641
2
69.68
2
2015
25
23
5
1
1
15
1
2,630,011
2
69.41
1
2016
10
5
0
1
0
2
2
253,381
69
72.19
76
합계
221
189
17
12
9
84
1
12,834,376
7
n/a
n/a
1 2016년 시즌까지 공식 성적 [8]
2 *컷 탈락이 없는 경기나 매치플레이 포함
외부 링크 [ 편집 ]
2006년 이후 여자 골프 세계랭킹 1위 달성 선수
‡ 현재 1위
† 플레이오프 우승; ‡ 처음부터 끝까지 1등을 지속한 우승; # 아마추어 선수로서 우승; ∞ 메치플레이 우승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