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의약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튬염
리튬염의 하나인 염화 리튬의 2D 분자구조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Lithium(1+)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17341-24-1
ATC 코드 N05AN01
PubChem 28486
드러그뱅크 DB01356
ChemSpider 26502
화학적 성질
화학식 ?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화합물 구성에 따라 변경됨
단백질 결합 없음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콩팥
생물학적 반감기 24시간, 36시간[1]
배출 >95% 콩팥으로 배출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D(오스트레일리아)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주사

리튬 화합물 혹은 리튬염정신질환에 사용되는 약물[2]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탄산리튬이 쓰이며, 조증·조울증의 치료 및 예방적 유지치료용으로 처방된다.[3] 리튬은 현재 세계 보건기구 필수 의약품중 하나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4] 리튬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혈액 농도는 1.2mEq/L이다.[5]

역사[편집]

리튬의 과학적 치료는 1946년 호주의 정신의학자인 존 케이드로부터 시작된다.[2][6] 존 케이드는 유리병을 모아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들의 소변을 모았고, 기니피그에 주사했다. 기니피그가 죽자, 요산을 녹일 생각으로 리튬염을 추가했다. 그리고 리튬염이 들어가자 요소의 독성이 줄어들었으며, 케이드는 리튬만을 사용했을 때 기니피그가 어떻게 될지 궁금해졌고, 대량의 리튬을 기니피그 복부에 주입했고 기니피그는 그를 멍한 눈으로 바라보았다.[6] 케이드는 여러 환자에게 리튬을 투여했는데, 그 중 W. B. 라는 환자에게 1949년 3월 28일부터 투여하기 시작했다.[2][6]W. B.는 3주만에 확연히 달라졌고, 5달만에 퇴원하게 되었다. 이후 존 케이드는 이듬해 리튬 실험에 대한 논문을 내게 된다.[7] 케이드는 1949년 논문에서 리튬의 위험성을 언급하지 않았는데, 리튬에 독성이 있지만 기적의 약이었기 때문이었다.[6] 전세계적으로 리튬이 알려지게 된 것은 우연히 케이드의 논문을 읽은 모겐스 쇼우(Mogens Schou)가 위약과 리튬의 효과를 비교하는 이중맹검(double blind) 연구 결과를 1954년에 발표한 것이 계기였다.[2][6]

기전[편집]

리튬의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등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방지하고, 제 2차 신호전달체계를 방해하며, 또한 글루탐산 제거를 통한 신경세포 보호 작용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5]

2010년 리튬을 복용한 측과 더불어 밸프로에이트을 복용한 측을 비교해볼때, 리튬의 경우 회백질이 증가한 것을 발견하였다.[8]

부작용[편집]

리튬은 부작용이 큰 약물로, 치료농도범위인 1.2mEq/L 이하의 혈중농도에서도 환자에 따라 독성을 나타낼수 있다.[5] 이런 리튬의 독성은 혈중 리튬의 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3] 중독의 초기증상은 구역, 구토, 설사, 식욕부진, 연하곤란, 조대진전, 근육연축, 운동장애, 운동실조, 무력감, 운동과소, 경면, 어지러움, 발열, 발한, 언어장애, 착란이 있으며, 중독이 심해지면 초기 증상이 더 심해짐과 동시에 두통, 이명, 시야흐림, 주시발증, 안진, 긴장항진·저하, 건반사항진, 불안, 헛소리, 의식장애, 기억장애, 실금, 경련발작, 뇌파이상, 부정맥, 혈압저하, ECG이상, 백혈구증가, 저장뇨 또는 핍뇨, 탈수, 혼미, 혼수등이 발생한다.[3] 이런 부작용으로 인해 환자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편집]

  1. “Lithium Salts”.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일에 확인함. 
  2. 최강 (2017년 7월 10일). “‘배터리에만 있지 않아요’…정신질환 치료물질 ‘리튬’”. 한겨레. 2022년 4월 26일에 확인함. 
  3. 환인제약 (2019년 4월 26일). “환인탄산리튬정”.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년 4월 26일에 확인함. 
  4. 세계보건기구. “WHO EML 22nd List (2021)”. 2022년 4월 26일에 확인함. 
  5. 주혜성 (2021년 9월 29일). “‘탄산리튬(Lithium carbonate) vs 발프로산나트륨(Sodium valproate)”. 약사공론. 2022년 4월 26일에 확인함. 
  6. 로렌 슬레이터 (2020년 11월 18일). 《블루드림스》. 로크미디어. 99~182쪽. ISBN 9791135492808. 
  7. J. F. J. Cade. “Lithium salts in the treatment of psychotic excitement”.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949 Sep). doi:10.1080/j.1440-1614.1999.06241.x. 2022년 4월 26일에 확인함. 
  8. 류인근; Stephen R Dager; 김지은. “Lithium-Induced Gray Matter Volume Increase As a Neural Correlate of Treatment Response in Bipolar Disorder: A Longitudinal Brain Imaging Study”. 《Neuropsychopharmacol》 (네이처) (35). doi:10.1038/npp.2010.41. 2022년 4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