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이다.

4연대 예하 대대를 모태로 창설한 14연대에서 여수·순천 사건이 일어났고, 이 사건에 따른 대규모 숙군 작업 때 4연대에 좌익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1949년에 4여단 예하의 8연대의 월북 사건이 발생한 후로는, "4"는 부대 명칭에서 제외되었다. 또, 10과 18도 욕설을 연상시켜 사용하지 않는 숫자가 되었다.[1]

예정[편집]

현재 대한민국 육군은 16개 보병사단 5개 기계화보병사단, 향토방위사단 12개, 5개 동원사단으로 총 38개 사단전력을 갖추고 있다. 2019년, 제1, 3군사령부지상작전사령부로 통합되었고, 5개의 지역 군단과 1개의 기동군단으로 개편하고, 2026년까지 31개(4개 동원사단)사단으로 줄일 계획이다.

활동 중인 부대[편집]

본부 직할[편집]

ROKA Ground Operations Command Insignia.svg 지상작전사령부[편집]

ROKA Capital Corps Insignia.svg 수도군단 "충의"[편집]

ROKA 1st Corps Insignia.svg 제1군단 "광개토"[편집]

ROKA 2nd Corps Insignia.svg 제2군단 "쌍용"[편집]

ROKA 3rd Corps Insignia.svg 제3군단 "산악"[편집]

ROKA 5th Corps Insignia.svg 제5군단 "승진"[편집]

ROKA 7th Maneuver Corps Insignia.svg 제7기동군단 "북진선봉"[편집]

ROKA 8th Corps Insignia.svg 제8군단 "동해충용"[편집]

ROKA 2nd Operations Command Insignia.svg 제2작전사령부[편집]

해체된 부대[편집]

다음은 다른 부대에 병합되거나 해체되어 사라진 역사 상의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목록이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이정훈 기자 (2000년 5월 1일). “6•25 50주년 특별연재 '잊혀진 전쟁'의 비록 <상>”. 동이일보. 2016년 3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