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
다음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이다.
4연대 예하 대대를 모태로 창설한 14연대에서 여수·순천 사건이 일어났고, 이 사건에 따른 대규모 숙군 작업 때 4연대에 좌익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1949년에 4여단 예하의 8연대의 월북 사건이 발생한 후로는, "4"는 부대 명칭에서 제외되었다. 또, 10과 18도 욕설을 연상시켜 사용하지 않는 숫자가 되었다.[1]
예정[편집]
현재 대한민국 육군은 16개 보병사단 5개 기계화보병사단, 향토방위사단 12개, 5개 동원사단으로 총 38개 사단전력을 갖추고 있다. 2019년, 제1, 3군사령부가 지상작전사령부로 통합되었고, 5개의 지역 군단과 1개의 기동군단으로 개편하고, 2026년까지 31개(4개 동원사단)사단으로 줄일 계획이다.
활동 중인 부대[편집]
본부 직할[편집]
|
|
지상작전사령부[편집]
- 근무지원단
제36향토보병사단 "백호"
제55향토보병사단 "봉화"
제3기갑여단 "번개"
제1군수지원사령부
- 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7군수지원단
- 제8군수지원단
- 정보통신여단
- 화력여단
- 지상정보단
- 제11포병단
- 제1107공병단
- 제1101공병단
- 제1173공병단
수도군단 "충의"[편집]
제1군단 "광개토"[편집]
제1보병사단 "전진"
제9보병사단 "백마"
제25보병사단 "비룡"
제2기갑여단 "충성"
- 제1공병여단
- 제1포병여단 "비호포병"
- 제1군수지원여단
제30기갑여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11방공단
- 제301경비연대
- 제701특공연대
- 제11화생방대대
- 제141정보대대
제2군단 "쌍용"[편집]
제7보병사단 "칠성"
제15보병사단 "승리"
- 제2공병여단 "쌍용공병"
- 제2포병여단 "쌍용포병"
- 제2군수지원여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연대
- 제702특공연대
- 제1전차대대
- 제12화생방대대
- 제142정보대대
- 제512방공대대
제3군단 "산악"[편집]
제12보병사단 "을지"
제21보병사단 "백두산"
- 제3공병여단
- 제3포병여단 "산악포병"
- 제3군수지원여단
제20기갑여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703특공연대
- 제303경비연대
- 제2전차대대
- 제13화생방대대
- 제143정보대대
- 제513방공대대
제5군단 "승진"[편집]
제3보병사단 "백골"
제5보병사단 "열쇠"
제6보병사단 "청성"
제28보병사단 "무적태풍"
제1기갑여단 "전격"
제5기갑여단 "철풍"
- 제5공병여단
- 제5포병여단 "승진포병"
- 제5군수지원여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305경비연대
- 제705특공연대
- 제15화생방대대
- 제145정보대대
제7기동군단 "북진선봉"[편집]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맹호"
제2신속대응사단 "노도"
제8기동사단 "오뚜기"
제11기동사단 "화랑"
- 제7공병여단 "태극공병"
- 제7포병여단
- 제107정보통신단
- 제1강습대대
- 제2강습대대
- 제17화생방대대
- 제517방공대대
제8군단 "동해충용"[편집]
제22보병사단 "율곡"
제23경비여단 "철벽"
제102기갑여단 "일출"
- 제12포병단
- 제108정보통신단
- 제1170공병단
- 제308경비연대
- 제8특공대대
- 제148정보대대
- 제518방공대대
- 제8화생방중대
제2작전사령부[편집]
제31향토보병사단 "충장"
제32향토보병사단 "백룡"
제35향토보병사단 "충경"
제37향토보병사단 "충용"
제39향토보병사단 "충무"
제50향토보병사단 "강철"
제53향토보병사단 "충렬"
- 제12정보통신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제1118공병단
- 제1120공병단
제5군수지원사령부 "오성"
- 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 제19화생방대대
해체된 부대[편집]
다음은 다른 부대에 병합되거나 해체되어 사라진 역사 상의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목록이다.
- 사령부
- 군단
- 사단
- 이라크 평화재건사단 "자이툰"; 2004년 2월 23일 ~ 2008년 12월 20일
- 제20기계화보병사단 "결전"; 1953년 2월 9일 ~ 2019년 12월 1일
- 제23보병사단 "철벽"; 1998년 12월 1일 ~ 2021년 11월 30일, 제23경비여단으로 재편됨.
- 제26기계화보병사단 "불무리"; 제8기계화보병사단에 통합됨.
- 제27보병사단 "이기자"; 1953년 9월 18일 ~ 2022년 11월 30일, 해체됨.
- 제29보병사단; 1953년 11월 18일 ~ 1959년 1월 1일, 제20사단에 통함됨.
- 제30기계화보병사단 "필승"; 1955년 2월 20일 ~ 2020년 11월 30일, 제30기갑여단으로 재편됨.
- 제57향토보병사단 "용마"; 1984년 1월 7일 ~ 2011년 12월 31일, 제56사단에 통합됨.
- 제61동원보병사단 "상승"; 1974년 4월 1일 ~ 2017년 11월 30일, 해체됨.
- 제65동원보병사단 "밀물"; 1974년 10월 1일 ~ 2017년 11월 30일
- 제62동원보병사단 "충룡"; 1976년 ~ 2008년 12월 1일에 제32사단에 통합됨.
- 제67동원보병사단 "용진"; 1976년 9월 10일 ~ 2005년 12월 1일, 제37사단에 통합됨.
- 제69동원보병사단 "태풍"; 위와 같음, 제39사단에 통합됨.
- 제70동원보병사단 "충효"; 위와 같음, 제50사단에 통합됨.
- 제71동원보병사단 "선승"; 1990년 6월 1일 ~ 2016년 11월 30일, 해체됨.
- 제76동원보병사단 "진격"; 2011년, 해체됨.
- 여단
- 단
- 연대
- 대대
- 그 외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 ↑ 이정훈 기자 (2000년 5월 1일). “6•25 50주년 특별연재 '잊혀진 전쟁'의 비록 <상>”. 동이일보. 2016년 3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