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잡이박쥐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Myotis vivesi Ménégaux, 1901[2] | ||||||||||||||
![]() 고기잡이박쥐의 분포 지역 |
고기잡이박쥐 또는 고기잡이윗수염박쥐[3](Myotis vivesi)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이다. 칼리포르니아 만 근처에서 서식하며, 물고기와 갑각류를 먹는다. 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윗수염박쥐류 중에서 가장 큰 종으로 사냥할 때 이용되는 아주 큰 발을 가지고 있다. 1901년 오귀스트 메네고(Auguste Ménégaux)가 기재했고, 피조닉스 아속(Pizonyx)의 유일종이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4]
윗수염박쥐속 |
| ||||||||||||||||||||||||||||||||||||||||||||||||||||||||||||||||||||||||||||||||||||
각주[편집]
- ↑ J. Arroyo-Cabrales (2008). Myotis vivesi. 2010 IUCN 위기종의 적색 목록. IUCN 2010. 2011년 2월 17일 내려받음.
- ↑ A. Ménégaux (1901). “Description d'une variété et d'une espèce nouvelle de Chiroptère rapporté du MExique par M. Diguet”. 《Bulletin du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1 7: 321–327.
- ↑ Bo Beolens; Michael Watkins & Michael Grayson (2009). 〈Vives〉.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32–433쪽. ISBN 978-0-8018-9304-9.
- ↑ Stadelmann, B., Lin, L.-K., Kunz, T.H. and Ruedi, M. 2007.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subscription required).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1):3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