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멧박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보전 상태 | ||||||||||||||||||
---|---|---|---|---|---|---|---|---|---|---|---|---|---|---|---|---|---|---|
![]() 관심대상(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Nyctalus plancyi Gerbe, 1880[1] | ||||||||||||||||||
아종 | ||||||||||||||||||
| ||||||||||||||||||
![]() 중국멧박쥐의 분포 지역 |
중국멧박쥐(Nyctalus plancyi)는 애기박쥐과 멧박쥐속에 속하는 박쥐로 흔하게 널리 분포한다.
분포 및 서식지[편집]
중국멧박쥐는 중국의 토착종이며, 홍콩과 타이완과 같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발견된다.[1] 보통 숲 서식지에서 서식하지만 농촌 지역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 건물 아래와 나무 구멍 속, 폐허, 동굴 그리고 바위 틈에서 흔히 발견된다.[1][2]
특징[편집]
중국멧박쥐는 횡금빛 갈색 털로 구별할 수 있다. 앞발 길이는 평균 48.7mm과 52.5mm 사이이며, 몸무게는 약 21~26g이다.[2]
아종[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바 “Nyctalus plancy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1.1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11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Nyctalus plancyi”. University of Bristol. 2011년 7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