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세점박이박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흰세점박이박쥐
흰세점박이박쥐
흰세점박이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박쥐목
아목: 양박쥐아목
과: 애기박쥐과
아과: 애기박쥐아과
속: 흰세점박이박쥐속
(Euderma)
H. Allen, 1892
종: 흰세점박이박쥐
(E. maculatum)
학명
Euderma maculatum
(Allen, 1891)

학명이명

Euderma maculata (Allen, 1891)
Histiotus maculatus (Allen, 1891)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흰세점박이박쥐(Euderma maculatum)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흰세점박이박쥐속(Euderma)의 유일종이다.[2][3]

특징[편집]

흰세점박이박쥐는 1891년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서 동물학자 알렌(Joel Asaph Allen)가 처음 기술했다. 몸길이는 최대 12cm에 달하며, 날개 폭은 35cm에 이른다. 몸무게는 약 15g이다. 등 뒤에 3개의 흰 점이 특징적이다. 귀는 최대 4cm까지 성장하며,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박쥐 중에서 가장 큰 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4] 흰세점박이박쥐의 짝짓기 철은 가을이며, 암컷은 6월 또는 7월에 새끼(보통 한 마리)를 낳는다. 주요 먹이는 메뚜기류와 나방 등이다.

서식지[편집]

흰세점박이박쥐의 서식지는 애리조나주그랜드 캐니언을 따라서 이어지는 절벽에 방해받지 않는 둥지를 틀며, 앞이 트이고 울창한 낙엽수림 및 침엽수림, 건초지, 사막, 습지, 강변 지역 그리고 애리조나주캘리포니아주, 콜로라도주, 오리건주, 유타주 그리고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건조한 관목-스텝 초원 지대이다.

위협[편집]

1960년대의 DDT와 같은 농약과 살충제 등의 사용은 흰세점박이박쥐 개체군의 심각한 감소를 초래했지만, 현재 관찰 결과에 의하면 이전에 간주했던 것보다 더 흔하게 발견되고 있다. 종 다양성과 개체수 추이 그리고 위협 요인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이다.[5]

애기박쥐아과

알렌큰귀박쥐속

토끼박쥐속

바르바스텔레박쥐속

흰세점박이박쥐속

사막긴귀박쥐속

혹코박쥐속

털꼬리박쥐족

노랑박쥐속

흰배박쥐족

알렌노랑박쥐속

아메리카노랑박쥐속

반겔더박쥐속

흰배박쥐속

동부집박쥐속

서부집박쥐속

문둥이박쥐족

할리퀸박쥐속

문둥이박쥐속

저녁박쥐족

저녁박쥐속

나비박쥐속

은색털박쥐속

아리엘룰루스속

아프리카긴귀박쥐속

아프리카문둥이박쥐속

슐리펜박쥐속

아이젠트라우트집박쥐

검은집박쥐속

숲박쥐속

아랫볏박쥐속

대나무박쥐속

애기박쥐족

애기박쥐속

작은집박쥐속

집박쥐속

멧박쥐속

각주[편집]

  1. Arroyo-Cabrales, J. & Ticul Alvarez Castaneda, S. (2008). Euderma maculatum.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9.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10년 2월 7일에 확인함. 
  2. David J. Schmidly, William B. Davis: The mammals of Texas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4 ISBN 978-0-292-70241-7
  3. B. J. Verts, Leslie N. Carraway: Land mammals of Oreg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ISBN 9780520211995
  4. “Classify a Chiropteran” (PDF).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2일에 확인함. 
  5. Roehrs, Z.P.; Lack, J.B.; Van Den Bussche, R.A. (2010). “Trib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Journal of Mammalogy》 91 (5): 1073–1092. doi:10.1644/09-MAMM-A-325.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