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집박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부집박쥐
동부집박쥐
동부집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박쥐목
아목: 양박쥐아목
과: 애기박쥐과
아과: 애기박쥐아과
속: 동부집박쥐속
(Perimyotis)
Menu, 1984
종: 동부집박쥐
(P. subflavus)
학명
Perimyotis subflavus
F. Cuvier, 1832

학명이명

Pipistrellus subflavus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동부집박쥐 또는 삼색박쥐(Perimyotis subflavus)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동부집박쥐라는 통용명은 기술적으로는 정확하지 않고, 기부는 검고 중간 부분은 노랑, 끝은 갈색을 띠기 때문에 삼색박쥐(tricolored bat)라는 이름이 더 적절하다.[2] 미국과 캐나다 동부 지역 전체의 서쪽으로는 캔자스주오클라호마주, 텍사스주, 북쪽으로 온타리오 남부, 남쪽으로 온두라스까지 널리 분포한다. 동부집박쥐속(Perimyotis)의 유일종이다.

특징[편집]

삼색박쥐는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서 가장 작은 박쥐이다. 앞팔은 오렌지색부터 붉은 색을 띠고 날개막은 검다. 성체 몸무게는 4g과 10g 사이이며 앞팔은 최대 30~35mm까지 자란다. 삼색 털때문에 다른 유사한 종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이름은 미국 지질조사국 크라이언(Paul Cryan) 박사가 변경했다.

생활사[편집]

삼색박쥐는 동면을 하는 지역 주변에서 가을에 짝짓기를 한다. 암컷은 겨울에 동면을 하는 동안에 생식관 내부에 수컷의 정충을 보관하며, 초봄에 배란을 한다. 4~10℃ 온도의 동굴 또는 광산 속에서 혼자 또는 작은 무리를 지어 동면을 하며, 매년 같은 동면 장소에 돌아 오곤 한다.

동면에서 깰 때, 암컷들은 20마리 이하로 출산을 위한 암컷 무리를 형성하며, 수컷들은 여름 동안에 따로 무리 생활을 한다. 출산 집단은 잎이 무성한 곳에서 둥지 생활을 하며, 어떤 다른 박쥐들 보다 흔하게 더 빛에 노출된다. 44~60일의 임신 기간 이후, 6월에 한 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대부분의 다른 박쥐류는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만을 낳는다.) 새끼 몸무게는 어미 몸무게의 약 20% 정도이다.

태어난 지 몇 일 동안은 둥지 속에서 눈을 뜨지 못하고 털이 없는 상태의 새끼를 어미가 돌본다. 빠르게 성장하여 14~21일 이내에 날 수 있으며, 4주 이후에 어미는 새끼 돌보는 것을 멈춘다.

수컷 삼색박쥐의 수명은 약 15년이고, 암컷은 10년 정도이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이다.[3]

애기박쥐아과

알렌큰귀박쥐속

토끼박쥐속

바르바스텔레박쥐속

흰세점박이박쥐속

사막긴귀박쥐속

혹코박쥐속

털꼬리박쥐족

노랑박쥐속

흰배박쥐족

알렌노랑박쥐속

아메리카노랑박쥐속

반겔더박쥐속

흰배박쥐속

동부집박쥐속

서부집박쥐속

문둥이박쥐족

할리퀸박쥐속

문둥이박쥐속

저녁박쥐족

저녁박쥐속

나비박쥐속

은색털박쥐속

아리엘룰루스속

아프리카긴귀박쥐속

아프리카문둥이박쥐속

슐리펜박쥐속

아이젠트라우트집박쥐

검은집박쥐속

숲박쥐속

아랫볏박쥐속

대나무박쥐속

애기박쥐족

애기박쥐속

작은집박쥐속

집박쥐속

멧박쥐속

각주[편집]

  1. Pipistrellus subflav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9.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10년 2월 7일에 확인함. 
  2. http://scienceblogs.com/tetrapodzoology/2011/04/12/placing-perimyotines/
  3. Roehrs, Z.P.; Lack, J.B.; Van Den Bussche, R.A. (2010). “Trib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Journal of Mammalogy》 91 (5): 1073–1092. doi:10.1644/09-MAMM-A-325.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