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 (지리)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에 구배 문서의 내용을 합치자는 제안이 있습니다. 토론 문서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세요. |
이 문서에 사면 (토질역학) 문서의 내용을 합치자는 제안이 있습니다. 토론 문서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세요. |
경사(傾斜)는 지리학 또는 토목공학 등에서 지층면과 수평면의 서로 기울어진 정도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경사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경사도(%) 및 경사 각도(또는 경사각 ) 가 있다.
수학에서는 기울기 , 건축분야에서는 구배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계산식[편집]
- 경사도(%) =
- (단, C는 90 )
직각삼각형을 이루는 밑변인 수평면(b)과 높이 (a) 와의 관계에서 빗변(c)인 경사면이 밑변과 빗변의 벌어진 정도( A)인 경사도(%)로 계산된다. |
경사도와 경사각도와의 관계[편집]
경사도 | 경사 각도 |
---|---|
0% | 0° |
9% | 5° |
18% | 10° |
58% | 30° |
100% | 45° |
173% | 60° |
∞ | 90° |
- 경사 각도는 경사도를 기준으로 했을때,
- 경사도에서 (탄젠트) 이므로
- 경사각도(경사각)는 삼각함수 탄젠트 주기 이다.
예[편집]
- 경사도는 이므로 차량을 예로 들었을때, 차량이 몇 m를 진행하면 몇 m를 올라갔는지를 나타내는것을 의미한다.
특히 "종단경사(縱斷傾斜)"란 도로의 진행방향 중심선의 길이에 대한 높이의 변화 비율을 말한다.[1]
"횡단경사"란 도로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설치하는 경사로서 도로의 배수(排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경사와 평면곡선부에 설치하는 편경사(偏傾斜)를 말한다.[2]
"편경사"란 평면곡선부에서 자동차가 원심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횡단경사를 말한다.[3]
함께보기[편집]
참고[편집]
- ↑ (도로의구조·시설기준에관한규칙 제2조제40호)http://www.law.go.kr/%EB%B2%95%EB%A0%B9/%EB%8F%84%EB%A1%9C%EC%9D%98%EA%B5%AC%EC%A1%B0%E3%86%8D%EC%8B%9C%EC%84%A4%EA%B8%B0%EC%A4%80%EC%97%90%EA%B4%80%ED%95%9C%EA%B7%9C%EC%B9%99/(00223,20150722)
- ↑ (도로의구조·시설기준에관한규칙 제2조제38호)http://www.law.go.kr/%EB%B2%95%EB%A0%B9/%EB%8F%84%EB%A1%9C%EC%9D%98%EA%B5%AC%EC%A1%B0%E3%86%8D%EC%8B%9C%EC%84%A4%EA%B8%B0%EC%A4%80%EC%97%90%EA%B4%80%ED%95%9C%EA%B7%9C%EC%B9%99/(00223,20150722)
- ↑ (도로의구조·시설기준에관한규칙 제2조제39호)http://www.law.go.kr/%EB%B2%95%EB%A0%B9/%EB%8F%84%EB%A1%9C%EC%9D%98%EA%B5%AC%EC%A1%B0%E3%86%8D%EC%8B%9C%EC%84%A4%EA%B8%B0%EC%A4%80%EC%97%90%EA%B4%80%ED%95%9C%EA%B7%9C%EC%B9%99/(00223,201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