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역
강창
| |
---|---|
![]() 역명판 (영남대 방면) | |
![]() 승강장 (영남대 방면)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지하1014 |
좌표 | 북위 35° 51′ 11″ 동경 128° 28′ 45″ / 북위 35.853061° 동경 128.479268° |
개업일 | 2005년 10월 18일 |
역 번호 | 219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문양 기점 5.3 km | |
|
강창역(Gangchang station, 江倉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다. 강창교 하저터널로 대실역과 연결된다.
특징[편집]
강창마을 인근 사거리에 역이 있으며, 계명대역과 함께 계명대학교 인근에 있어서 계명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과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이 역을 많이 이용한다.
2019년 4월 15일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의 신당동 이전 후에는 병원 연결 통로가 설치됐으며, 이에 따라 역 이용률이 늘어났다.
역명의 유래[편집]
옛날 파호동·호산동의 강창교 일대 낙동강변에 쌀을 보관하고 배로 수송하기 위해 세워진 창고인 강창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옛 지명을 따서 역명을 정했으며[1], 현재도 이 주변을 강창이라고 부른다.
역사[편집]
- 2005년 10월 18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17년 4월 9일 : 스크린도어 설치
- 2019년 4월 15일 :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개원, 병원 연결통로 개통
역 구조[편집]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 역이다. 출구는 시내 방향으로 5개, 성서3차산업단지 쪽으로 하나가 설치되어 있고, 호산동과 파호동에 걸쳐 있다.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서 개찰을 하지 않고서는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으며, 이는 2호선의 상대식 역들 중 계명대역과 함께 단 둘뿐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곡선 구간이 있고 승강장과 단차가 있어서, 발빠짐 안내방송을 한다.[2]
승강장[편집]
대실 ↑ |
하 | | 상 |
↓ 계명대 |
상행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실·다사·문양 방면 |
---|---|---|
하행 | 반월당·범어·영남대 방면 |
- 이 역은 반대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역 주변[편집]
-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연결 통로 이용)
- 호산동회관
- 성서우방유쉘아파트
- 파호동
- 삼성명가타운
- 대구은행 명가타운지점
- 성서농협 강창역지점
- 강창우체국
- 삼성한국형아파트
- 대구호산초등학교
- 호산고등학교
- 대구파호초등학교
- 파호동공원
- 호산동
- 계명대학교
- 계명테크노파크
승차량 변동[편집]
노선 | 승차 인원[3] | 주석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2호선 | 3,159 | 3,831 | 4,044 | 4,322 | 4,382 | 4,689 | 4,955 | 4,922 | 5,056 | 4,957 | 4,847 | 4,833 | 4,786 | |
노선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2호선 | 4,646 | 6,626 | 4,706 | 5,412 |
인접한 역[편집]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
218 대실 문양 방면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220 계명대 영남대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