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마포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imjae20 (토론 | 기여)
Chugu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대한민국 시군구 정보
{{대한민국 시군구 정보
|이름=마포구
|이름 = 마포구
|지도=Mapo-gu SEOUL.png
|지도 = Mapo-gu SEOUL.png
|면적=23.87
|면적 = 23.87
|세대 =
|세대 =
|세대_조사연도 =
|세대_조사연도 =
|행정동=16
|행정동 = 16
|법정동=26
|법정동 = 26
|총인구=367,220
|총인구 = 369,432
|총인구_조사연도 = 2010년<ref>[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A 대한민국 국가통계포털 > 인구 · 가구 > 총조사인구(2010) > 연령 및 성별 인구 - 읍면동, 성별 외국인 - 시군구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2011년]] [[6월 2일]] 확인.</ref>
|총인구_조사연도=2000
|구청장=[[박홍섭]]
|구청장 = [[박홍섭]]
|구청소재지 = 마포구 월드컵로 212 (성산2동 370)
|구청소재지 = 마포구 월드컵로 212 (성산2동 370)
|홈페이지=http://www.mapo.go.kr/
|홈페이지 = http://www.mapo.go.kr/
|구목 =
|구목 =
|구화 =
|구화 =

2011년 6월 7일 (화) 10:42 판

마포구
마포구의 위치
마포구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법정동26
청사 소재지마포구 월드컵로 212 (성산2동 370)
단체장박홍섭
지리
면적23.87km2
인구369,432명 (2010년[1]년)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mapo.go.kr/

마포구(麻浦區)는 서울특별시의 서부에 있는 이다. 90년대 이후 여의도와 인접한 강변지역을 중심으로 재개발이 진행되어 서울 서부권의 중심 지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역사

조선총독부령 제350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서대문구 공덕정, 신공덕정, 아현정, 신수정, 현석정, 구수정, 신정정, 창전정, 상수일정, 하수일정, 하중정, 당인정, 서교정, 동교정, 합정정, 망원정, 율도정 마포구 일원
용산구 도화정, 마포정, 용강정, 토정정, 대흥정, 염리정
19행정동 - 아현1,2,3,4동, 공덕1,2,3,4동, 신공덕1,2동, 도화1,2동, 관란동, 대흥동, 염리동, 신석동, 세교동, 서강동, 망원동
법률 제1640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서대문구 노고산동 전부 및 대현동 일부 마포구 노고산동
마포구 아현동 일부 서대문구 북아현동으로 편입
  • 1970년 5월 18일 아현1,2,3,4동을 아현1,2,3동으로, 공덕1,2,3,4동을 공덕1,2동으로, 신공덕1,2동을 신공덕동으로 합동하고, 관란동을 용강동으로, 신석동을 신수동으로 개칭하고, 서강동을 창전동과 상수동으로, 세교동을 서교동과 합정동으로 분동하였다. (18행정동)
  •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상암동 등이 마포구로 편입되었다.[6] (21행정동 27법정동)
대통령령 제7816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서대문구 상암동, 성산동과 수색동, 중동, 남가좌동, 연희동 중 일부 마포구 상암동, 성산동, 연남동
  • 1977년 9월 1일 성산동을 성산1동, 성산2동으로 분동하였다.[7] (22행정동)
  • 1980년 7월 1일 서교동을 서교동, 동교동으로, 망원동을 망원1,2동으로 분동하였다.[8] (24행정동)
  • 1989년 6월 1일 하수동을 상수동에 편입하였다.[9] (26법정동)
  • 2007년 1월 1일 아현2동과 아현3동을 아현2동으로, 도화1동과 도화2동을 도화동으로, 대흥동과 노고산동을 대흥동으로, 창전동과 상수동을 서강동으로 합동하였다.[10] (20행정동)
  • 2008년 1월 7일 아현2동과 공덕2동을 아현동으로, 아현1동과 공덕1동, 신공덕동을 공덕동으로, 서교동과 동교동을 서교동으로 합동하였다.[11] (16행정동)

행정 구역

행정동 법정동 설명
공덕동 공덕동(孔德洞)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 청파4계(靑坡四契)·공덕리계(孔德里契)·만리창계(萬里倉契) 지역이었다. 1913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공덕리로 되었고, 1936년 경성부 공덕정(孔德町)으로 편입되었다. 1943년 서대문구 공덕정이 되었고, 1944년 마포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10월 1일 공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신공덕동(新孔德洞)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 성외(城外) 신창계(新倉契)였다. 1913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龍江面) 신공덕리(新孔德里)였고, 1936년 경성부 신공덕정(新孔德町)으로 편입되었다. 1943년 서대문구 신공덕정으로 바뀌었고, 1944년 마포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10월 1일 신공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아현동 아현동(阿峴洞)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반송방 아현계(阿峴契)· 차자리계(車子里契)· 권정승계(權政丞契)였다. 1913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龍江面) 아현리로 되었고, 1936년 경성부 아현정(阿峴町)으로 바뀌었다. 1943년 서대문구로 편입되었고, 1944년 마포구에 속한 뒤 1946년 10월 1일 아현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도화동 도화동(桃花洞)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 마포계(麻浦契)·도화동계(桃花洞契)였다. 1911년 경성부 용산면에 속하였고, 1914년에는 도화정(桃花町)이라고 하였다. 1943년 용산구에 편입되었고, 1944년 마포구로 관할이 바뀌었으며, 1946년 10월 1일 도화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마포동(麻浦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마포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마포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용강동 용강동(龍江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용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용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토정동(土亭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토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토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대흥동 대흥동(大興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대흥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대흥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노고산동(老故山洞) 1936년 노고산정(老姑山町), 1943년에는 서대문구 노고산정이라 하였다. 1946년 10월 1일 노고산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1964년 6월 1일 서대문구에서 마포구로 편입되었다.
염리동 염리동(鹽里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염리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염리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신수동 신수동(新水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신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신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현석동(玄石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현석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현석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구수동(舊水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구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구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신정동(新井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신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신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서강동(西江洞) 창전동(倉前洞) 조선시대의 창고인 광흥창의 앞동네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창전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창전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상수동(上水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상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상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하중동(賀中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하중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하중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당인동(唐人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당인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당인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서교동 서교동(西橋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서교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서교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동교동(東橋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동교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동교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합정동 합정동(合井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합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합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망원1동 망원동(望遠洞)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망원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망원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한강을 이웃하고 있어,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서울의 상습 침수 지역 중 하나였다. 이런 이유 때문에 개발도 상대적으로 덜 돼 망원동은 인근 합정동이나 상암동에 비해 노후 주택이 많은 편이다. [12]
망원2동
연남동 연남동(延南洞) 1975년 연희동 일부를 분리하여 연남동이라고 하였다.
성산1동 성산동(城山洞) 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고 [13] 1975년 10월 1일 마포구 관할이 되었다. [6]
성산2동
중동(中洞) 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다.[13]
상암동 상암동(上岩洞) 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고 [13] 1975년 10월 1일 마포구 관할이 되었다. [6]

교육 기관

  
  
  • 평생교육
  
  • 일성여자중고등학교
  • 양원초등학교
  
  • 성사중학교
  • 성산중학교
  • 성서중학교
  • 신수중학교
  • 중암중학교
  • 경성중학교
  • 광성중학교
  • 동도중학교
  • 상암중학교
  • 숭문중학교
  • 아현중학교
  • 서울여자중학교
  • 홍익사대부속여자중학교
  • 한성중학교
  
  • 신석초등학교
  • 아현초등학교
  • 성원초등학교
  • 소의초등학교
  • 신북초등학교
  • 상암초등학교
  • 서울서강초등학교
  • 상지초등학교
  • 서교초등학교
  • 성산초등학교
  • 성서초등학교
  • 창천초등학교
  • 한서초등학교
  • 염리초등학교
  • 용강초등학교
  • 중동초등학교
  • 공덕초등학교
  • 동교초등학교
  • 서울마포초등학교
  • 망원초등학교
  • 홍익사대부속초등학교
  • 특수학교
  

교통

당산철교(합정역당산역 사이)

서울 지하철 2호선이 마포구의 합정(영등포구당산역과 연결), 홍대입구, 신촌(지하), 이대, 아현역(서대문구의 충정로역과 연결)을 지나간다. 서울 지하철 5호선은 마포구의 마포역, 공덕역(서울 지하철 6호선과 환승), 애오개역을 지나간다. 서울 지하철 6호선은 마포구의 월드컵경기장역, 마포구청역, 망원역, 합정역(서울 지하철 2호선과 환승), 상수역, 광흥창역, 대흥역, 공덕역(서울 지하철 5호선과 환승)을 지나간다.

문화

공공예술가 5명의 모임인 "공화국 리라"는 2007년부터 망원동의 구석구석을 예술품으로 장식하는 "동네예술가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들은 방범초소나 주택 외벽에 벽화를 그리거나 나무 화단을 설치하고 있다.[12] 공덕동에는 순댓국 등을 파는 "소문난 집", 두부찌개 등을 파는 "옥상휴게실", 모듬전 등을 파는 "원조 할머니 빈대떡"이 있다. [14] 도레미의 만화 검정고무신의 배경이 된 지역이기도 하다.

주석

  1. 대한민국 국가통계포털 > 인구 · 가구 > 총조사인구(2010) > 연령 및 성별 인구 - 읍면동, 성별 외국인 - 시군구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2011년 6월 2일 확인.
  2. 조선총독부령 제350호 (1944년 10월 23일)
  3. 서울시 헌장 제1조
  4. 서울시 조례 제66호
  5. 법률 제1640호
  6.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년 9월 23일)
  7. 서울시 조례 제1181호 (1977년 8월 29일)
  8. 서울시 조례 제1413호 (1980년 3월 31일)
  9. 마포구 조례 제84호 동명칭및구역획정조례 (1989년 5월 29일)
  10. 마포구 조례 제644호 동주민센터설치조례 (2007년 1월 2일)
  11. 마포구 조례 제691호 (2008년 1월 7일)
  12. 신준봉 기자. “도시는 미술관 ⑧ 서울 망원동 ‘동네 예술가 프로젝트’”. 중앙일보. 2009년 7월 4일에 확인함. 
  13. 대통령령 제159호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1949년 8월 13일) 및 대통령령 제160호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1949년 8월 13일)
  14. 박미향 기자. “마녀 삼총사 요술봉, 공덕동을 ‘찜’하다 [박미향기자의 삶과 맛] (19) 소문난 집, 옥상휴게실, 마포원조 할머니 빈대떡”. 한겨레신문사. 2008년 1월 15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24)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