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인생략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11월 3일 (일) 16:05 판 (→‎바깥 고리: 일반 카페 삭제)
제주어
사용 국가 대한민국
사용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언어 인구 5,000~10,000[1]
언어 계통 한국어
 제주어
언어 부호
ISO 639-3
링귀스트 리스트 kor-che


제주어(濟州語) 또는 제주도 사투리, 제주 방언, 제주말추자군도를 제외한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서 쓰이는, 한국어의 한 방언이다. 한국어의 다른 방언들과는 의사 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을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유네스코에서도 이를 받아들여 제주어를 소멸 위기 언어 가운데 하나로 분류하였다.

화자

제주어의 주요 화자는 제주도에서 1950년대 혹은 그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이다.

언어 지위

제주어 또는 제주 방언은 한국어의 다른 방언과 의사 소통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한국어의 방언이 아니라, 한국어 본토 말과 독립된 개별 언어로 간주하기도 한다.

유네스코는 전문가를 제주에 파견, 현장 방문과 답사, 한국어를 전공하는 전문가와의 의견 교환, 각 지역 언어를 담당하는 유네스코 언어 전문가와 토론 과정 등을 거쳐, 2010년 12월 제주어를 5개의 소멸 위기 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로 분류했다.[2] 이것은 유네스코가 제주어를 방언이 아닌 개별 언어로 인정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한반도 방언과의 차이

한반도 방언과는 달리 고어가 많이 보존되어 있다. 독자적으로 형성된 단어도 많이 보인다. 제주어도 각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차용어

제주어에는 차용어도 많다. 일본어 차용어, 중국어 차용어, 만주어 차용어, 몽골어 차용어 등이 그성이다. 원나라때에는 몽골어의 영향을 받았다. 일본어 차용어의 예로, 우산을 뜻하는 '가사'(かさ에서 유래됨)가 있다.

음운

홀소리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ㅣ(/i/) ㅡ(/ɯ/) ㅜ(/u/)
중모음 ㅔ(/e/)
ㅐ(/ɛ/)
ㅓ(/ʌ/) ㅗ(/o/)
저모음 ㅏ(/a/) ㆍ(/ɒ/)[3]

어휘 비교

제주어
(한글 표기)
제주어
(IPA 표기)
표준어
(한글 표기)
표준어
(IPA 표기)
ᄒᆞᆫ저옵서예 hɒnʥʌop̚sʌje 어서 오세요 ʌsʌosejo
하르방 harɯbaŋ 할아버지 haɾabʌʥi
할망 halmaŋ 할머니 halmʌni
ᄉᆞ나이 sɒnai 남자(사나이) namʥa(sanai)
지지빠이 ʨiʥip'ai 여자(계집) jʌʥa(kjeʥip)
가물어 kamuɾʌ 설마 sʌlma
야개기 jaɡɛɡi mok̚
태역 tʰɛjʌk̚ 잔디 ʨandi
지실 ʨɯsɯl 감자 kamʥa
비바리 pibaɾi 처녀 ʨʰʌnjʌ
naŋ 나무 namu
송키 soŋkʰi 채소 ʨʰɛso
강생이 kaŋsɛŋi 강아지 kaŋaʥi
고냉이 konɛŋi 고양이 kojaŋi
도치 toʨʰi 도끼 tokʻi
깅이 kiŋi ke
도새기 tosɛɡi 돼지 twɛʥi
감저 kamʥʌ 고구마 koɡuma
통시 toŋɕi 화장실 hwaʥaŋɕil
오름 orɯm san
쥉이 ʨweŋi ʨwi

문법

현재 시제

동사

어미 표준어
–암/엄수과? –ㅂ니까? 적엄수과?(적습니까/적고 있습니까?)[4]
–암/엄수다 –ㅂ니다 적엄수다(적습니다/적고 있습니다)
예문
제주어 표준어
오데(어드레) 감수광? 어디 가십니까?
서울에 감수다. 서울에 갑니다.
○○를 알암수과? ○○를 아십니까?
잘 몰르쿠다. 잘 모르겠습니다.
지금 뭐 햄수꽈? 지금 뭐 하십니까?

형용사

어미 표준어
–우꽈/–수꽈? –ㅂ니까/–습니까? 적수꽈?(적습니까?)[5]
–우다/–수다 –ㅂ니다/–습니다 적수다(적습니다)
예문
제주어 표준어
개똥이 잇수꽈? 개똥이 있습니까?
어수다. 없습니다.
곱닥허우다. 예쁩니다.
고맙수다. 고맙습니다.
반갑수다. 반갑습니다.

과거 시제

끝맺음 표준어
–앗/엇수과? –았/었습니까? 알앗수과? (알았습니까)[6]
–앗/엇수다. –았/었습니다. 알앗수다. (알았습니다)


예문
제주어 표준어
점심 먹엇수과? 점심 먹었습니까?
예, 먹엇수다. 예, 먹었습니다.
언제 왓수과? 언제 왔습니까?
오늘 왓수다. 오늘 왔습니다.

관련 항목

주석

  1. Moseley, Christopher (ed.). 2010.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3rd edn. Jeju. Paris, UNESCO Publishing.
  2. '제주어' 유네스코 소멸위기 언어 등록홍정표《연합뉴스》2011-01-17
  3. 아래아ㆍ(/ɒ/): 다른지방 사람들에게는 ㆍ(/ɒ/)는 ㅗ(/o/)에 가깝게 들린다. 실제로 제주도 방언 화자들 사이에서도 중장년 이하 연령대에서는 ㆍ(/ɒ/)가 쇠퇴해 점차 ㅗ /o/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4. 적다(=한국 한자: 書/영어: write)
  5. 적다(=한국 한자: 少/영어: few)
  6. 과/꽈/광/꽝으로 발음한다.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