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Osteologia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5월 10일 (토) 04:52 판

기후(氣候, climate)는 오랜 기간 동안의 평균적인 날씨이다. 일반적으로 30년간의 평균을 이용한다. 날씨는 일시적인 기상현상을 나타내는 것에 비해, 기후는 지속적이고 평균적인 기상 현상을 나타낸다. 기후는 곳에 따라 다르며, 기후를 찾을 때에는 기후도를 자주 이용한다. 기후는 늘 똑같은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서 변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로 기후가 점점 변화하고 있다.[1]

정의

기후는 대기 현상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일반화된 것을 말한다. 즉 가장 출현 확률이 높은 대기의 종합상태 이다. 19세기에는 기후를 대기의 평균상태라 정의하고, 기후요소 관측값의 연, 월 평균값 등의 조합에 의하여 표현하였다. 그러나 장년평균값이라고 해도 반드시 그 곳의 최다빈도를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인 현상의 설명이나 서인적 설명에도 불충분하다. 그래서 기후를 매일 매일의 대기의 종합 상태로 나타내 주는 날씨의 중복으로 받아들여 대기대순환이나 요란을 기초로 한 기단, 전선, 기압장, 일기도 등의 출현빈도 분포에 의하여 동적, 종관적으로 받아들이는 견해가 근년에 들어 많이 발달되고 있다.[2]

세계기상기구는 장시간의 기후값으로 30년간의 평균을 사용하되 10년을 주기로 그 값을 갱신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4년의 기후 값은 1971년에서 2000년까지 관측한 날씨의 평균값이 된다. 이 평균값은 단순한 산술평균을 의미할 뿐 최빈값이나 중간값을 의미하지는 않는다.[3]

지질 시대의 시공간 크기에서 보면 지구는 반복적인 빙하기간빙기가 반복되고 있으며, 엘리뇨와 같은 국지적 기상 이변이 반복된다.따라서 기상 현상을 관측하는 시공간의 크기 문제, 국지적 기상 이변, 산업화 이후 인간의 영향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같은 현상은 기후의 정확한 정의를 확정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기후의 정의를 내린다면 "기후란 한 지역에서의 관련된 기후 요소를 지나치게 짧지 않은 기간 동안에 걸쳐 관찰한 전구 통계학적 기술로서 지구 대기권의 성질과 변화를 충분히 상세하게 특징지어 설명하는 것이다."[4]

기후 요소와 기후 인자

기온, 습도, 강수, 구름, 바람과 같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물리량을 기후 요소라 한다. 한편 이러한 기후 요소의 시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기후 인자라 한다.[3]

기후 요소와 기후 시스템

기후 시스템[5]
외적 영향 ↴
대기권 .




생물권
특히 식생
설빙권
얼음
. . 수권
바다,호수,강
지권
토양,암석,멘틀

여러 기후 요소들은 서로 복잡하게 연관되어 에너지를 주고 받는다. 이렇게 여러 기후 요소가 서로 얽혀 현재의 기후와 기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기후 시스템이라 한다. 지구의 기후 시스템은 크게 보아 대기권, 수권, 설빙권, 생물권, 지권 등으로 구성된다. 기후 시스템을 움직이는 에너지의 99.98%는 태양에서 공급되며, 그 외의 에너지는 지구 내부와 지표에서 공급된다. 따라서 지구의 기후 시스템은 태양복사에 의해 유지된다. 기후시스템 속에서 여러 형태의 에너지로 변화하는 태양복사 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지구장파복사 형태로 우주로 방출된다.[6]

기후 시스템을 이루는 요소들의 결합이 기후 과정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기후 상태와 기후 변화를 일으키며 이 시스템의 요소 사이의 내적 상호작용이 기후를 포함한 대기에서 관찰되는 현상들을 일으킨다. 따라서 기후 시스템 전체를 고려한 기후학자연과학학제간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5]

기후 인자

특정 지역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자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7]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기후 인자에 따른 기상 변화가 초기 조건에 민감한 것을 나타내는 로렌즈 끌개를 발견하였다. 이는 흔히 나비 효과로 알려져 있다. 혼돈 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로렌즈 끌개는 비슷한 기후 패턴이 반복되는데도 왜 기상 예측을 하기 어려운지를 잘 보여준다.[8]

기후 구분

지구상에서 나타나는 기후 현상은 매우 복잡하다. 또한 기후는 다른 환경과는 달리 시간에 따른 변화도 크다. 그러므로 기후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슷한 특성을 기준으로 유형화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일정한 기준으로 기후를 유형별로 분류한 것을 기후 구분이라 한다. 기후의 구분에는 기후의 발생 원인을 중심으로 하는 발생적 기후 구분과 식생과 같이 기후의 특징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그것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요소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경험적 기후 구분이 있다.[9] 발생적 기후 구분으로는 기단을 기준으로 한 알리소프의 기후 구분이 있으며 경험적 기후 구분으로는 쾨펜의 기후 구분이 대표적이다.[10]

발생적 기후 구분

기후 요소에 영향을 주는 기단의 분포를 중심으로 하는 발생적 기후 구분은 세 가지 기준을 통해 기단을 구분하고 있다. 첫 번째 기준은 습도로 건조한 대륙성 기단(c)과 윤습한 해양성 기단(m)으로 구분한다. 두 번째 기준은 기단의 발생 위치에 따른 온도로서 열대(T), 극권역(P), 극지(A), 몬순(M), 적도대(E), 그리고 건조 하강 기류와 같은 특이 기단(S)으로 나뉜다. 세 번째 기준은 기단의 상태에 따른 것으로 주변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k를 높을 경우 w를 부여한다.[11] 이러한 기단의 구분에 따른 기후는 1950년대부터 일기예보에 도입되었으며 이후 1973년 기후 구분의 한 종류로 자리잡았다.[12]

경험적 기후 구분

1961년 - 1990년의 매 월 평균 기온

1918년 블라디미르 쾨펜이 발표한 쾨펜의 기후 구분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쾨펜의 기후 구분은 월 및 연 평균 기온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여 기후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전 세계의 식생대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13] 이후 독일의 기상학자 루돌프 가이거가 1954년과 1961년에 쾨펜의 기후 구분을 수정하였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쓰이는 쾨펜의 기후 구분은 가이거가 수정한 것이다.[10]

세부적인 기준[14]에 따른 기후 구분은 다음과 같다.[15]

쾨펜의 기후 구분
기본 기후대 세부 기후대 표기 특징
A 열대 기후 열대 우림 기후 Af 건조기 없음
열대 몬순 기후 Am 짧은 건조기
사바나 기후 Aw 동계 건조
열대 하계 소우 기후 As 하계 건조
B 건조 기후 사막 기후 BWh 온난 사막
BWk 한랭 사막
스텝 기후 BSh 온난 스텝
BSk 한랭 스텝
C 온대 기후 온난 습윤 기후 Cfa 더운 여름, 건조기 없음
서안 해양성 기후 Cfb 연중 온난, 건조기 없음, 따뜻한 여름
Cfc 연중 온난, 건조기 없음, 서늘한 여름
온대 하우 기후 Cwa 더운 여름, 짧은 겨울 건조기
Cwb 따뜻한 여름, 짧은 겨울 건조기
Cwc 서늘한 여름, 짧은 겨울 건조기
지중해성 기후 Csa 건조하고 더운 여름
Csb 건조하고 따뜻한 여름
Csc 건조하고 서늘한 여름
D 냉대 기후[16] 냉대 습윤 기후 Dfa 동계 한랭, 더운 여름, 건조기 없음
Dfb 동계 한랭, 따뜻한 여름, 건조기 없음
Dfc 동계 한랭, 선선한 여름, 건조기 없음
Dfd 동계 한랭 극심, 선선한 여름, 건조기 없음
냉대 동계 소우 기후 Dwa 동계 한랭 건조, 더운 여름
Dwb 동계 한랭 건조, 따뜻한 여름
Dwc 동계 한랭 건조, 선선한 여름
Dwd 동계 한랭 극심 건조, 선선한 여름
고지 지중해성 기후 Dsa 동계 한랭, 덥고 건조한 여름
Dsb 동계 한랭, 따뜻하고 건조한 여름
Dsc 동계 한랭, 선선하고 건조한 여름
Dsd 동계 한랭 극심, 선선하고 건조한 여름
E 한대 기후 툰드라 기후 ET 여름이 없음
빙설 기후 EF 영구 동토

기후 변화

기후 변화는 현재의 기후계가 자연적인 원인이나 인위적인 원인으로 인해 변화하는 것을 뜻한다. 지구온난화등을 방지하기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와 같은 국제협정에서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전체 대기의 성분을 바꾸는 인간 활동에 의한, 그리고 비교할 수 있는 시간동안 관찰된 자연적 기후 변동을 포함한 기후의 변화"로 정의하고 있다.[17]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은 인간의 활동에 의한 지구 온난화와는 달리 자연적인 원인에 의한 기후의 변화는 "기후 변이성"이라 구분하고 있다.[18]

읽을거리

주석

  1. “기후대 절반 사라질것”…온난화탓 100년안에-경향닷컴 2007-03-27
  2. 기후란, 기상청 기후변화정보센터
  3. 이광호, 인간과 기후환경, 시스마프레스, 2004, 8쪽, ISBN 89-5832-037-0
  4. 크리스티안 디트리히 쇤비제, 김종규 역,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6, 66쪽, ISBN 89-5832-203-9
  5. 크리스티안 디트리히 쇤비제, 김종규 역,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6, 44쪽, ISBN 89-5832-203-9
  6. 기후시스템, 기상청 기후변화정보센터
  7. C Donald Ahrens, 민경덕 역, 대기환경과학, 시그마프레스, 2006, 298쪽, ISBN 89-5832-226-8
  8.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1969), 기상예측에 대한 세가지 접근 방법,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50: 345–349.
  9. 이승호, 기후학, 푸른길, 2007, 275쪽, ISBN 89-87691-82-9
  10. 크리스티안 디트리히 쇤비제, 김종규 역,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6, 312-313쪽, ISBN 89-5832-203-9
  11. "Airmass Classification". Glossary of Meteor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Retrieved 2008-05-22.
  12. Schwartz, M.D. (1995). "Detecting Structural Climate Change: An Air Mass-Based Approach in the North Central United States, 1958-1992".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5 (3): 553–568. doi:10.1111/j.1467-8306.1995.tb01812.x
  13. 윤일희 편역, 현대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4, 261쪽, ISBN 89-5832-081-8
  14. 윤일희 편역, 현대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4, 263쪽, ISBN 89-5832-081-8
  15. EDWARD AGUADO 지음, 김경익 옮김, 생활 환경과 기상, 동화기술교역, 2005년, ISBN 89-425-1029-9, 496쪽
  16. 냉대 기후는 습윤 대륙성 기후아극 기후로 구분하기도 한다.
  17. 기후변화란, 기상청 기후변화정보센터
  18. "Glossary".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1-01-20. Retrieved 2008-05-22.

틀:Link 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