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의 언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키프로스의 언어
공식어그리스어, 튀르키예어
지방어키프로스 그리스어, 키프로스 튀르키예어
소수어아르메니아어 (인정),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 (인정), 쿠르베챠 (미인정)
주요 이민지 언어영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불가리아어
일부 우크라이나어, 크로아티아어, 알바니아어, 마케도니아어, 몬테네그로어, 슬로베니아어,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폴란드어, 독일어, 헝가리어
외국어
수화키프로스 수화

키프로스 공화국공용어그리스어튀르키예어이며,[2]:art. 3, § 1 북키프로스에서는 1983년 헌법에 따라 튀르키예어만이 공식 언어이다.[3]:4.5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언어(베르나쿨라)는 키프로스 그리스어이며, 터키계 키프로스인키프로스 튀르키예어이다. 공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표준어는 표준 그리스어와 표준 튀르키예어이다.

헌법에 따라 "종교 단체" 셋이 인정되어 있는데, 둘은 각각 별도의 언어, 아르메니아어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를 사용한다. 간혹 쿠르베트(키프로스 롬인)가 사용하는 "쿠르베챠"도 포함하는 경우가 있지만 공식적인 인정이 있지는 않았다.[4]

2011년 인구 조사에서 모어가 그리스어인 사람이 679,883명, 영어가 34,814명, 루마니아어가 24,270명, 러시아어가 20,984명, 불가리아어가 18,388명으로 총 840,407명으로 집계되었다. 1974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 이후 튀르키예어를 사용하는 북쪽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남쪽이 실질적으로 분리되었고,[3]:2.2 키프로스 공화국의 통제에 있는 남쪽에는 튀르키예어 사용자가 1,405명밖에 남아 있지 않다.[5]

키프로스의 언어 - 정부 통치 지역 (2011년)[6]
언어
그리스어 (공식)
  
80.9%
영어
  
4.1%
루마니아어
  
2.9%
러시아어
  
2.5%
불가리아어
  
2.2%
아랍어
  
1.2%
필리핀어
  
1.1%
튀르키예어 (공식)
  
0.2%
기타
  
4.3%
미특정
  
0.6%

키프로스의 언어는 역사적으로 상호작용했다. 키프로스 그리스어와 키프로스 튀르키예어는 서로 어휘를 많이 차용했으며, 키프로스 그리스어는 키프로스 아랍어의 음운 변동에 영향을 주었다.[7]:84[8]:223

키프로스 그리스어[편집]

그리스어는 기원전 12세기~11세기 키프로스로 온 그리스 정착민을 통해 보급되었다.[3]:2.1 가장 오래 된 키프로스 그리스어 글은 기원전 1000년 경에 써졌다.[9] 현대의 키프로스 그리스어는 당시 키프로스로 이주하던 그리스 계열 사람들의 영향으로 중세 그리스어에서 출발하였다. 키프로스 그리스어는 표준 그리스어와 눈에 띌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데,[10] 특히 음운, 형태, 어휘 측면에서의 차이가 크다. 키프로스 그리스어는 다른 그리스어 방언 사용자가 알아듣기 힘들며,[11]:1886 일부는 아에 알아듣지 못하기도 한다.[12]:26[13]:61 키프로스 그리스어 문학은 1571년 오스만이 키프로스를 점령하기 전까지 번성했다.[14]:392

표준 현대 그리스어(당시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는 19세기 말부터 그리스계 키프로스 교육에서 사용되었으며 키프로스 매체에서 사용하고 있다.[15] 그리스계 키프로스 사회는 방언연속체 양층언어 사회로, 교육을 통해 배우는 표준 그리스어가 상층 언어이고 자연적으로 취득하는 키프로스 그리스어가 하층 언어이다. 표준 그리스어는 계속해서 키프로스 그리스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키프로스 그리스어 화자는 두 언어 간 부호혼용부호전환을 한다.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의 "두 언어 사이의 차이를 과소평가하는 경향"[12]:35은 방언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4]:534–535[11]:1887

터키계 키프로스인 다수는 1974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 이전에는 키프로스 그리스어에 능통했으며, 그 당시 키프로스 그리스어는 링구아 프랑카의 역할을 했다.[11]:1886 일부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그리스어만 사용할 수 있었다.[16][17][18]

키프로스 필라의 도로 표지판으로, 그리스어(위, 대문자), 튀르키예어(가운데), 로마자화된 그리스어(아래)로 적혀 있다.

키프로스 튀르키예어[편집]

키프로스 튀르키예어는 아나톨리아에서 유입되어 4세기 동안 변화한 방언으로, 오스만 계열의 조상이 있는 키프로스인이나 오스만 지배 시기에 이슬람으로 개종한 키프로스인이 사용한다.[19]

키프로스 튀르키예어는 오스만 튀르크어와 터키 남부 토로스산맥의 외뤽스 방언이 섞인 형태로,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영어의 영향도 받았다. 키프로스 튀르키예어는 표준 튀르키예어와 별다른 노력 없이 서로 이해 가능하다.

소수어[편집]

유럽 지방 언어·소수 언어 헌장에 따라 키프로스의 두 소수어, 아르메니아어키프로스 아랍어가 보호받고 있다.[20]

아르메니아어[편집]

아르메니아인들은 6세기부터 키프로스에 거주했으며, 20세기 초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을 피해 9,000명 가량이 추가로 도착했다. 키프로스에 도착한 사람 중 다수는 다른 국가로 다시 이동했다. 현재 아르메니아 학교에서는 서부 아르메니아어를 가르치며, 키프로스 공화국 인구 중 약 3,000명 가량이 모어를 아르메니아어로 사용하며, 간혹 아르메니아어와 그리스어를 동시에 사용하기도 한다.[4]:507–509 2014년 키프로스 공화국 통제 지역에 거주하는 총 1,831명의 아르메니아 키프로스인 중 668명이 아르메니아어를 모어로 사용한다.[21]:3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편집]

아랍어가 어떻게 처음 키프로스로 유입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아랍어 사용자는 12세기 후반에 레반트에서 이주했음이 알려져 있다.[8]:220 현재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는 거의 사장되었으며, 언어 되살리기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언어 사용자는 키프로스 마론파 900명 정도로 추정되며, 모두 나이가 30세를 넘는다.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의 중심지는 오랫동안 코르마키티스였으나 1974년 이후 다수 남쪽으로 이주해 흩어졌으며, 이로 인해 언어의 사멸이 가속화되었다.[4]:507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는 상당한 기간 동안 다른 아랍어 계통과 단절되어, 키프로스 그리스어에서 문법, 어휘, 음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는 메소포타미아 북부 아랍어와 레반트 해안 지역어와 공통점이 있다.[8]:220–222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는 아직 체계화되진 않았지만, 체계화려는 계획은 있다.[22]:3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 사용자는 그리스어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2011년 인구 조사에서 키프로스 공화국 통제 지역에 사는 마론파 3,656명 중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를 모어라고 한 사람이 단 한 명도 없었다.[21]:4

쿠르베챠[편집]

북키프로스 지역에는 쿠르베챠를 사용하는 롬인이 거주하는데, 정확한 수는 밝혀지지 않았다. 쿠르베챠는 크리올으로서 어휘는 롬어, 문법은 키프로스 튀르키예어이다. 쿠르베챠는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연구도 거의 진행되지 못했다.[4]:508–509,536–537,549

외국어[편집]

영어 능력은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 높으며, 영어 교육을 받은 키프로스인은 키프로스 그리스어와 영어 사이에서 부호전환을 할 수 있다. 도로 표지판, 공공 안내판, 광고 등에 영어가 사용된다.[11]:1888 1960년 이전까지의 영국의 지배에서 영어는 링구아 프랑카 역할을 했으며 1963년 이전까지 입법부에서, 1989년 이전까지 사법부에서 실질적으로 사용하였다.[3]:4.4 키프로스의 인구 중 약 80.4% 가량이 영어를 두 번째 언어로 사용하며, 평균적으로 키프로스인은 외국어를 1.2개 할 수 있다.[23]:6 유로 바로미터에 따르면 키프로스 인구 중 76%는 영어를, 12%는 프랑스어를, 5%는 독일어를 할 수 있다.[24]

2008년부터 9살부터 외국어 교육이 의무화되었다.[23]:11

사어[편집]

이달리온 석판으로, 기원전 5세기에 키프로스 음절문자로 작성되었다. 석판의 이름은 발견된 도시이자 고대 키프로스 도시 국가인 이달리온의 이름을 땄다.

키프로스-미노스 음절문자 및 이전의 언어[편집]

키프로스에서 기록 언어는 기원전 16세기에 아직 판독되지 않은 키프로스-미노스 음절문자를 사용하여 처음 등장한 것으로 간주되며, 키프로스-미노스 음절문자는 선문자 A에서 파생되어 몇 가지 요소를 추가한 것으로, 이후 키프로스 음절문자의 기반이 되었다.[25]:109–110 키프로스-미노스 음절문자는 언어 하나 이상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6]:60ff.

아카이아키프로스어 및 과도기 성격의 그리스어[편집]

고대 그리스어 아카이아키프로스 방언은 기원전 12~11세기 키프로스에 처음 정착한 미케네 문명이 사용했던 언어로, 기원전 4세기 경 코이네 그리스어로 계승되었으며[4]:509 이후 중세 그리스어가 현대의 키프로스 그리스어로 이어졌다.[10]

에테오키프로스어[편집]

에테오키프로스어인도유럽어족과의 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키프로스의 토착어였다. 키프로스로의 그리스인 이주에 따라 유입된 그리스어와 대립하다 결국 기원전 3세기 경 사라졌다. 표기는 아카이아키프로스어용 키프로스 음절문자를 사용했는데, 두 언어는 서로 관련이 없었지만 같은 표기법을 사용했다. 두 언어가 공존하던 시기 키프로스에 사는 사람들은 두 언어를 모두 할 수 있었다.[25]:115–116

각주[편집]

  1. “SPECIAL EUROBAROMETER 386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PDF). ec.europa.eu. 2016년 1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Cyprus》 (PDF). 1960.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6일에 확인함. 
  3. “Cyprus” (PDF). 《Euromosaic III》. 2013년 7월 3일에 확인함. 
  4. Hadjioannou, Xenia; Tsiplakou, Stavroula; Kappler, Matthias (2011).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planning in Cyprus”. 《Current Issues in Language Planning》 (Routledge) 12 (4): 503–569. doi:10.1080/14664208.2011.629113. hdl:10278/29371. 
  5. 《Population enumerated by age, sex, language spoken and district (1.10.2011) (sheet D1A)》. CYstat. June 2013. [깨진 링크]
  6. “Middle East :: CYPRUS”. CIA The World Factbook. 2018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7. Gökçeoğlu, Mustafa; Pehlivan, Ahmet (2006). 〈Greek in Turkish Cypriot Literature〉. Kappler, Matthias. 《Intercultural Aspects in and Around Turkic Literatur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on October 11–12th, 2003 in Nicosia》. Harrassowitz Verlag. 83–92쪽. 
  8. Borg, Alexander (1997). 〈Cypriot Arabic Phonology〉. Kaye, Alan S. 《Phonologies of Asia and Africa (including the Caucasus)》 1.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219–244쪽. ISBN 1-57506-017-5. 
  9. Steele Philippa, "The mystery of ancient Cypriot clay balls", British Academy Review, 24, 2014
  10. Joseph, Brian D.; Tserdanelis, Georgios (2003). 〈Modern Greek〉. Roelcke, Thorsten. 《Variationstypologie. Ein sprachtypologisches Handbuch zu den europäischen Sprache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 Variation Typology. A Typological Handbook of European Languages》. Walter de Gruyter. 823–836쪽. 
  11. Ammon, Ulrich; Dittmar, Norbert; Mattheier, Klaus J.; Trudgill, Peter, 편집. (2006). 〈Greece and Cyprus〉. 《Socio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science of language and society / Soziolinguistik: ein internationales Handbuch zur Wissenschaft von Sprache und Gesellschaft》. Handbooks of linguistics and communication science / Handbücher zur Sprach- und Kommunikationswissenschaft 3 2판. Berlin: Walter de Gruyter. 1881–1889쪽. 
  12. Arvaniti, Amalia (2006). “Erasure as a means of maintaining diglossia in Cyprus”. 《San Diego Linguistic Papers》 (Department of Linguistics, UC San Diego) (2). 
  13. Terkourafi, Marina (2007). “Perceptions of difference in the Greek sphere: The case of Cyprus”. 《Journal of Greek Linguistics》 8 (1): 60–96. doi:10.1075/jgl.8.06ter. 
  14. Horrocks, Geoffrey C. (2010). 《Greek: a history of the language and its speakers》 2판. Wiley-Blackwell. 
  15. Arvaniti, Amalia (2010). “Linguistic practices in Cyprus and the emergence of Cypriot Standard Greek” (PDF). 《Mediterranean Language Review》 17: 15–45. 
  16. Beckingham 1957, 166쪽:In Cyprus religious and linguistic divisions do not quite coincide. While many Turks habitually speak Turkish there are 'Turkish', that is, Muslim villages in which the normal language is Greek; among them are Lapithiou (P i), Platanisso (F i), Ayios Simeon (F i) and Galinoporni (F i). This fact has not yet been adequately investigated. With the growth of national feeling and the spread of education the phenomenon is becoming not only rarer but harder to detect. In a Muslim village the school teacher will be a Turk and will teach the children Turkish. They already think of themselves as Turks, and having once learnt the language, will sometimes use it in talking to a visitor in preference to Greek, merely as a matter of national pride. On the other hand many Turks, whose mother tongue is Turkish, learn Greek because they find it useful to understand the language of the majority, though it is much less common for them to write it correctly
  17. Stavroula Varella, Language Contact and the Lexicon in the History of Cypriot Greek, Peter Lang, 2006, p. 64
  18. Ozan Gülle (2014), "Structural Convergence in Cyprus", Inauguraldussertation zur Erlangung des Doktorgrades der Philosophie an der Ludwig-Maximilians-Universitat Munchen, p. 149: "it is historically well documented that Turkish Cypriots showed large differences in their frequency of communication in Cypriot Greek [...]: On one end of the spectrum are Turkish Cypriots who were probably monolingual Cypriot Greek speakers or had only little competency in Turkish, ..."
  19. Jennings, Ronald (1993), Christians and Muslims in Ottoman Cyprus and the Mediterranean World, 1571-1640, New York University Press ISBN 0-814-74181-9.
  20. “Implementation of the Charter in Cyprus”. 《Database for the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Public Foundation for European Comparative Minority Research. 2014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6일에 확인함. 
  21. Council of Europe (2014년 1월 16일).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Fourth periodical presented to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Council of Europe in accordance with Article 15 of the Charter. CYPRUS” (PDF). 
  22. Office of the Law Commissioner (2011).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Third periodical report by the Republic of Cyprus” (PDF). Council of Europe. 
  23. Mejer, Lene; Boateng, Sadiq Kwesi; Turchetti, Paolo (2010). “Population and social conditions” (PDF). Statistics in Focus (49/2010). eurostat. 2014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4.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 Eurobarometer, 2006
  25. Haarmann, Harald, 편집. (1995). 〈5. The Cretan legacy in the East: Writing systems in the multilingual society of ancient Cyprus〉. 《Early Civilization and Literacy in Europe: an inquiry into cultural continuity in the Mediterranean World》. Walter de Gruyter. 109–116쪽. 
  26. Steele, Philippa M. (2013). 《A Linguistic History of Ancient Cyprus: The Non-Greek Languages and their Relations with Greek, c.1600–300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