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가금'''(家禽) 또는 '''가금류'''(家禽類)는 [[가축]]으로서 [[사람]]들에게 [[달걀]] 등 [[새알]]이나 [[고기]] 및 [[깃털]]을 제공하는 [[가축화]]된 [[새]]를 총칭하는 개념이다.<ref>{{Cite web|date= 2017-08-14|title=Consider These 6 Types Of Poultry For Your Farm|url= https://www.hobbyfarms.com/poultry-types-consider-farm/|access-date=2021-01-20|website=Hobby Farms|language=en-US}}</ref> 순우리말로는 '''집새'''라고 일컬으며, 가금류를 양식하는 것은 [[가금축산]]업이라 이른다. 가금류는 대부분 [[닭기러기류]], 즉 [[닭]]·[[메추라기]]·[[칠면조]]·[[꿩]]·[[호로새]] 등 [[닭목]]에 속한 새 종류와<ref>{{Cite web|date= 2008-04-22|title= Fowl|url= https://animals.howstuffworks.com/birds/fowl.htm|access-date= 2021-01-20|website=HowStuffWorks|language=en}}</ref> [[오리]]·[[거위]] 등 [[기러기목]] 새 종류가 대부분이며, 그 밖에도 [[비둘기]] 등이 포함된다. [[사냥감]]으로서 수렵되는 야생 새 종류는 가금이라고 이르지 않는다. 고기는 '''새고기'''라 부른다.
'''가금'''(家禽) 또는 '''가금류'''(家禽類)는 [[가축]]으로서 [[사람]]들에게 [[달걀]] 등 [[새알]]이나 [[고기]] 및 [[깃털]]을 제공하는 [[가축화]]된 [[새]]를 총칭하는 개념이다.<ref>{{Cite web|date= 2017-08-14|title=Consider These 6 Types Of Poultry For Your Farm|url= https://www.hobbyfarms.com/poultry-types-consider-farm/|access-date=2021-01-20|website=Hobby Farms|language=en-US}}</ref> 순우리말로는 '''집새'''라고 일컬으며, 가금류를 양식하는 것은 [[가금축산]]업이라 이른다. 가금류는 대부분 [[닭기러기류]], 즉 [[닭]]·[[메추라기]]·[[칠면조]]·[[꿩]]·[[호로새]] 등 [[닭목]]에 속한 새 종류와<ref>{{Cite web|date= 2008-04-22|title= Fowl|url= https://animals.howstuffworks.com/birds/fowl.htm|access-date= 2021-01-20|website=HowStuffWorks|language=en}}</ref> [[오리]]·[[거위]] 등 [[기러기목]] 새 종류가 대부분이며, 그 밖에도 [[비둘기]] 등이 포함된다. [[사냥감]]으로서 수렵되는 야생 새 종류는 가금이라고 이르지 않는다. 고기는 '''새고기'''라 부른다.


최초의 가금류인 [[닭]]의 가축화는 본래 지금으로부터 5,400년 전 [[동남아시아]]에서 최초로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왔으나,<ref>{{Cite web|last= Killgrove|first= Kristina|title= Ancient DNA Explains How Chickens Got To The Americas|url= https://www.forbes.com/sites/kristinakillgrove/2017/11/23/ancient-dna-explains-how-chickens-got-to-the-americas/|access-date= 2021-01-20|website= Forbes|language=en | date = 23 November 2017 | quote = Chickens were likely first domesticated about 5,400 years ago in Southeast Asia [...].}}</ref> 이후 [[닭속]]에 속한 새 4종을 대상으로 한 [[유전체학]] 연구를 통해 8,000년 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정정되었다.<ref name="Lawal">{{cite journal |last1= Lawal |first1= Raman Akinyanju |last2= Martin |first2=Simon H. |last3=Vanmechelen |first3=Koen |last4=Vereijken |first4=Addie |last5= Silva |first5= Pradeepa |last6= Al-Atiyat |first6=Raed Mahmoud |last7=Aljumaah |first7=Riyadh Salah |last8= Mwacharo |first8= Joram M. |last9=Wu |first9=Dong-Dong |last10=Zhang |first10=Ya-Ping |last11=Hocking |first11=Paul M. |last12=Smith |first12=Jacqueline |last13=Wragg |first13= David |last14=Hanotte |first14=Olivier |title=The wild species genome ancestry of domestic chickens |journal=BMC Biology |date=December 2020 |volume= 18 |issue= 1 |pages= 13 |doi= 10.1186/s12915-020-0738-1 |pmid= 32050971 |pmc= 7014787 |doi-access=free }}</ref> 원래는 야생 조류 둥지에서 가져온 알이 부화한 것을 키우게 되는 식으로 이루어졌지만, 점차 새를 영구적으로 가둬 기르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처음에 사람들은 닭은 [[닭싸움]]에,<ref>{{Cite web|date=2013-08-30|title=Chickens Were Initially Domesticated for Cockfighting, Not Food|url=http://www.todayifoundout.com/index.php/2013/08/chickens-were-initially-domesticated-for-cockfighting-not-food/|access-date=2021-01-20|website=Today I Found Out|language=en-US}}</ref> 메추라기는 노래를 듣기 위해 키웠으나, 곧 식량 자원을 가둬서 기르는 이점을 깨달아 육용으로 기르기 시작했다. 이후 몇 세기에 걸쳐서 성장 속도, 산란 능력, 형상, 우색(羽色), 순응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 [[품종]] 개량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현대에 사육되는 가금류는 많은 부분에서 조상뻘인 야생종과는 차이가 난다. 현대에 이르러서 가금류는 많은 수가 대규모 양식을 통해서 사육되어 시장에 나오나, 많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소규모로 사육되기도 한다.
새고기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널리 먹는 고기로, 전 세계 고기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는데, 이는 38%를 차지하는 [[돼지고기]]의 뒤를 잇는다.<ref name="sciencenews.org">Raloff, Janet. [http://www.sciencenews.org/view/generic/id/3902/title/Global_Food_Trends Food for Thought: Global Food Trends]. Science News Online. May 31, 2003.</ref>

가금류를 도축해서 얻는 고기는 흔히 '''새고기'''라 부르며,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널리 먹는 고기로 전 세계 고기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해 38%를 차지하는 [[돼지고기]]의 뒤를 잇는다.<ref name="sciencenews.org">Raloff, Janet. [http://www.sciencenews.org/view/generic/id/3902/title/Global_Food_Trends Food for Thought: Global Food Trends]. Science News Online. May 31, 2003.</ref><ref>{{cite web |url= http://www.fao.org/ag/againfo/themes/images/meat/backgr_sources_data.jpg |title=Sources of the world's meat supply in 2012 |publisher= FAO |access-date= 26 August 2018}}</ref> 가금류 고기는 비교적 [[지방]] 함량이 적고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영양가 높은 식품이며,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식품 관리와 더불어 익혀서 먹는 조리 과정이 필요하다. 다른 고기를 섭취하지 않고 오로지 가금류 고기만 먹는 준채식주의를 폴로태리어니즘(pollotarianism)이라고 부른다.


== 각주 ==
== 각주 ==

2023년 9월 23일 (토) 21:33 판

가금(家禽) 또는 가금류(家禽類)는 가축으로서 사람들에게 달걀새알이나 고기깃털을 제공하는 가축화를 총칭하는 개념이다.[1] 순우리말로는 집새라고 일컬으며, 가금류를 양식하는 것은 가금축산업이라 이른다. 가금류는 대부분 닭기러기류, 즉 ·메추라기·칠면조··호로새닭목에 속한 새 종류와[2] 오리·거위기러기목 새 종류가 대부분이며, 그 밖에도 비둘기 등이 포함된다. 사냥감으로서 수렵되는 야생 새 종류는 가금이라고 이르지 않는다. 고기는 새고기라 부른다.

최초의 가금류인 의 가축화는 본래 지금으로부터 5,400년 전 동남아시아에서 최초로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왔으나,[3] 이후 닭속에 속한 새 4종을 대상으로 한 유전체학 연구를 통해 8,000년 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정정되었다.[4] 원래는 야생 조류 둥지에서 가져온 알이 부화한 것을 키우게 되는 식으로 이루어졌지만, 점차 새를 영구적으로 가둬 기르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처음에 사람들은 닭은 닭싸움에,[5] 메추라기는 노래를 듣기 위해 키웠으나, 곧 식량 자원을 가둬서 기르는 이점을 깨달아 육용으로 기르기 시작했다. 이후 몇 세기에 걸쳐서 성장 속도, 산란 능력, 형상, 우색(羽色), 순응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 품종 개량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현대에 사육되는 가금류는 많은 부분에서 조상뻘인 야생종과는 차이가 난다. 현대에 이르러서 가금류는 많은 수가 대규모 양식을 통해서 사육되어 시장에 나오나, 많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소규모로 사육되기도 한다.

가금류를 도축해서 얻는 고기는 흔히 새고기라 부르며,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널리 먹는 고기로 전 세계 고기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해 38%를 차지하는 돼지고기의 뒤를 잇는다.[6][7] 가금류 고기는 비교적 지방 함량이 적고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영양가 높은 식품이며,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식품 관리와 더불어 익혀서 먹는 조리 과정이 필요하다. 다른 고기를 섭취하지 않고 오로지 가금류 고기만 먹는 준채식주의를 폴로태리어니즘(pollotarianism)이라고 부른다.

각주

  1. “Consider These 6 Types Of Poultry For Your Farm”. 《Hobby Farms》 (미국 영어). 2017년 8월 14일. 2021년 1월 20일에 확인함. 
  2. “Fowl”. 《HowStuffWorks》 (영어). 2008년 4월 22일. 2021년 1월 20일에 확인함. 
  3. Killgrove, Kristina (2017년 11월 23일). “Ancient DNA Explains How Chickens Got To The Americas”. 《Forbes》 (영어). 2021년 1월 20일에 확인함. Chickens were likely first domesticated about 5,400 years ago in Southeast Asia [...]. 
  4. Lawal, Raman Akinyanju; Martin, Simon H.; Vanmechelen, Koen; Vereijken, Addie; Silva, Pradeepa; Al-Atiyat, Raed Mahmoud; Aljumaah, Riyadh Salah; Mwacharo, Joram M.; Wu, Dong-Dong; Zhang, Ya-Ping; Hocking, Paul M.; Smith, Jacqueline; Wragg, David; Hanotte, Olivier (December 2020). “The wild species genome ancestry of domestic chickens”. 《BMC Biology》 18 (1): 13. doi:10.1186/s12915-020-0738-1. PMC 7014787. PMID 32050971. 
  5. “Chickens Were Initially Domesticated for Cockfighting, Not Food”. 《Today I Found Out》 (미국 영어). 2013년 8월 30일. 2021년 1월 20일에 확인함. 
  6. Raloff, Janet. Food for Thought: Global Food Trends. Science News Online. May 31, 2003.
  7. “Sources of the world's meat supply in 2012”. FAO. 2018년 8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