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수그렐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RS)-5-[2-Cyclopropyl-1-(2-fluorophenyl)-2-oxoethyl]-4,5,6,7- tetrahydrothieno[3,2-c]pyridin-2-yl acetat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50322-43-3 389574-19-0 (hydrochloride) |
ATC 코드 | B01AC22 |
PubChem | 6918456 |
드러그뱅크 | DB06209 |
ChemSpider | 5293653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0H20FNO3S |
분자량 | ?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79% |
단백질 결합 | 활성 대사산물: ~98%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 |
생물학적 반감기 | ~7 h (2~15 h) |
배출 | 소변 (~68% 비활성 대사산물); 대변 (27% 비활성 대사산물)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B1(오스트레일리아)?(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경구 투여 |
프라수그렐(Prasugrel)은 혈전 형성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항혈소판제이다. P2Y12 ADP 수용체의 비가역적 억제제이다. 다이이찌산쿄에서 개발해 UBE에서 생산 중이며, 미국에서는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와 협업해 시판 중이다. 상품명은 에피언트(미국, 호주, 인도, 대한민국 등에서는 Effient[1], EU에서는 Efient)이다.
2009년 2월 유럽연합에서 프라수그렐 사용을 승인,[2] 미국에서는 2009년 7월에 사용을 승인했다. 적응증은 경피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환자에서 (스텐트 혈전증을 포함한) 혈전성 심혈관계 사건 발생 감소이다.[3]
의학적 사용
[편집]PCI를 받을 예정인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불안정 협심증, NSTEMI, STEMI) 환자에서 저용량 아스피린과 병용해 혈전증 발생을 줄이는 데에 사용한다. 같은 항혈소판제인 클로피도그렐과 비교했을 때, 프라수그렐의 출혈 발생 위험이 더 높지만 환자의 사망, 심근경색 재발, 뇌졸중의 복합 목표점(composite endpoint)에 이르는 빈도를 줄이는 효과는 더 뛰어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전반적인 사망률은 두 약물이 비슷했다.[4]
출혈 위험을 감안해, 75세 이상이거나 체중이 가벼운 사람(60kg 미만[1]), 일과성허혈발작(TIA)이나 뇌졸중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4][5] 일차적 PCI 없이,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할 예정인 환자에서 프라수그렐 치료 시작은 권고하지 않는다.[6][7][5]
부작용
[편집]발생 가능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8]
- 심혈관계: 고혈압 (8%), 저혈압 (4%), 심방세동 (3%), 서맥 (3%), 비심장성 흉통 (3%), 말초 부종 (3%),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TTP)
- 중추신경계: 두통 (6%), 어지럼증 (4%), 피로감 (4%), 발열 (3%), 사지 말단의 통증 (3%)
- 피부: 발진 (3%)
- 내분비 및 대사: 고콜레스테롤혈증/고지혈증 (7%)
- 위장관계: 구역질 (5%), 설사 (2%), 위장관 출혈 (2%)
- 혈액: 백혈구감소증 (3%), 빈혈 (2%)
- 근육 및 골격: 요통 (5%)
- 호흡계: 코피 (6%), 호흡곤란 (5%), 기침 (4%)
- 혈관부종 등의 과민반응
금기증
[편집]소화성 궤양이나 두개내 출혈 같은 활성 상태의 병적 출혈이 있는 환자, TIA나 뇌졸중 같은 출혈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투여하지 않는다.[9] 차일드-푸 점수상 클래스 C인 간기능 저하 환자에서도 마찬가지 이유로 투여하지 않는다. 한편 약물 구성 성분에 락토스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당의 흡수에 문제가 있는 유전병 환자에게 투여하지 않는다.[1]
상호작용
[편집]약물 상호작용 가능성은 낮다. 가령,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와 병용 시 프라수그렐의 항혈소판 효과는 줄이지 않으면서도 위장관 출혈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10][11][12][13]
약리학
[편집]약동학
[편집]프라수그렐 자체는 전구약물로, 체내로 들어온 프라수그렐은 장의 카복실에스터화효소 2와 간의 카복실에스터화효소 1로 인해 빠르게 대사되어 비활성 상태의 싸이오락톤이 된다. 이 싸이오락톤은 다시 CYP3A4와 CYP2B6, 그리고 적게는 CYP2C9와 CYP2C19에 의해 대사되어 약리학적으로 활성을 가지는 대사산물인 R-138727로 변환된다.[14][15] R-138727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약 7시간, 범위는 2~15시간 정도이다. 연구에서 건강한 피험자, 안정 상태의 죽상경화증이 있는 환자, PCI를 받은 환자 모두가 비슷한 약동학을 보였다.
작용 기전
[편집]프라수그렐은 티클로피딘, 클로피도그렐 등과 함께 ADP 수용체 억제제 중에서도 싸이에노피리딘 계열에 속한다. 이들 약제는 P2Y12 수용체에 비가역적으로 결합해 혈소판의 응집 과정을 억제한다. 프라수그렐은 클로피도그렐보다 빠르고 일관적으로, 그리고 더욱 강하게 혈소판 응집을 막는다.[16][17]
각주
[편집]- ↑ 가 나 다 “에피언트정5mg”. 《약학정보원》. 2024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European Public Assessment Report for Efient” (PDF). EMA. 2009. 2018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Baker WL, White CM (2009). “Role of prasugrel, a novel P2Y(12) receptor antagonist, in the manage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s”. 《American Journal of Cardiovascular Drugs》 9 (4): 213–229. doi:10.2165/1131209-000000000-00000. PMID 19655817. S2CID 37160513.
- ↑ 가 나 Wiviott SD, Braunwald E, McCabe CH, Montalescot G, Ruzyllo W, Gottlieb S, 외. (November 2007). “Prasugrel versus clopidogrel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7 (20): 2001–2015. doi:10.1056/NEJMoa0706482. PMID 17982182.
- ↑ 가 나 Chew DP, Scott IA, Cullen L, French JK, Briffa TG, Tideman PA, 외. (August 2016). “National Heart Foundation of Australia and Cardiac Society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Australian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s 2016”.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205 (3): 128–133. doi:10.5694/mja16.00368. PMID 27465769. S2CID 13014429.
- ↑ Bellemain-Appaix A, Kerneis M, O'Connor SA, Silvain J, Cucherat M, Beygui F, 외. (October 2014). “Reappraisal of thienopyridine pretreatment in patients with non-ST 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349 (aug06 2): g6269. doi:10.1136/bmj.g6269. PMC 4208629. PMID 25954988.
- ↑ Montalescot G, Bolognese L, Dudek D, Goldstein P, Hamm C, Tanguay JF, 외. (September 2013). “Pretreatment with prasugrel in non-ST-segment 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9 (11): 999–1010. doi:10.1056/NEJMoa1308075. PMID 23991622. S2CID 205095981.
- ↑ “Efient (prasugrel) tablets: Highlights of prescribing information” (PDF). Eli Lilly. 2011. 2012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Effient (prasugrel hydrochloride) Prescribing Information”.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September 2011. 2017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John J, Koshy SK (2012). “Current oral antiplatelets: focus update on prasugrel”.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of Family Medicine》 25 (3): 343–349. doi:10.3122/jabfm.2012.03.100270. PMID 22570398.
- ↑ Demcsák A, Lantos T, Bálint ER, Hartmann P, Vincze Á, Bajor J, 외. (2018년 11월 19일). “PPIs Are Not Responsible for Elevating Cardiovascular Risk in Patients on Clopidogrel-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ntiers in Physiology》 9: 1550. doi:10.3389/fphys.2018.01550. PMC 6252380. PMID 30510515.
- ↑ O'Donoghue ML, Braunwald E, Antman EM, Murphy SA, Bates ER, Rozenman Y, 외. (September 2009). “Pharmacodynamic effect and clinical efficacy of clopidogrel and prasugrel with or without a proton-pump inhibitor: an analysis of two randomised trials”. 《Lancet》 374 (9694): 989–997. doi:10.1016/S0140-6736(09)61525-7. PMID 19726078. S2CID 205956050.
- ↑ Vaduganathan M, Cannon CP, Cryer BL, Liu Y, Hsieh WH, Doros G, 외. (September 2016). “Efficacy and Safety of Proton-Pump Inhibitors in High-Risk Cardiovascular Subsets of the COGENT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9 (9): 1002–1005. doi:10.1016/j.amjmed.2016.03.042. PMID 27143321.
- ↑ Rehmel JL, Eckstein JA, Farid NA, Heim JB, Kasper SC, Kurihara A, 외. (April 2006). “Interactions of two major metabolites of prasugrel, a thienopyridine antiplatelet agent, with the cytochromes P450”.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34 (4): 600–607. doi:10.1124/dmd.105.007989. PMID 16415119. S2CID 1698598.
- ↑ Kurokawa T, Fukami T, Yoshida T, Nakajima M (March 2016). “Arylacetamide Deacetylase is Responsible for Activation of Prasugrel in Human and Dog”.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44 (3): 409–416. doi:10.1124/dmd.115.068221. PMID 26718653.
- ↑ Brandt JT, Payne CD, Wiviott SD, Weerakkody G, Farid NA, Small DS, 외. (January 2007). “A comparison of prasugrel and clopidogrel loading doses on platelet function: magnitude of platelet inhibition is related to active metabolite formation”. 《American Heart Journal》 153 (1): 66.e9–66.16. doi:10.1016/j.ahj.2006.10.010. PMID 17174640.
- ↑ Wiviott SD, Trenk D, Frelinger AL, O'Donoghue M, Neumann FJ, Michelson AD, 외. (December 2007). “Prasugrel compared with high loading- and maintenance-dose clopidogrel in patients with plann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Prasugrel in Comparison to Clopidogrel for Inhibition of Platelet Activation and Aggregation-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44 trial”. 《Circulation》 116 (25): 2923–2932. doi:10.1161/CIRCULATIONAHA.107.740324. PMID 18056526. S2CID 8226182.
추가 자료
[편집]- Dean L (2017). 〈Prasugrel Therapy and CYP Genotype〉. Pratt VM, McLeod HL, Rubinstein WS, 외. 《Medical Genetics Summaries》.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PMID 28520385. Bookshelf ID: NBK425796.
외부 링크
[편집]- “Prasugrel”.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US 5288726 claims prasugrel compound; 2017-04-14 만료
- US 6693115 claims hydrochloride salt of prasugrel; 2021-07-03 만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