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Hyperlipidemia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
---|---|
다른 이름 | Hyperlipidemia, Hyperlipoproteinemia, hyperlipidaemia[1] |
![]() | |
4ml의 고지혈 샘플 (EDTA). 원심 분리를 하지 않은 채로 4시간을 두었더니 지질이 위쪽으로 분리되었다. | |
진료과 | 심장학 |
고지혈증(高脂血症, 영어: hyperlipidemia, hyperlipoproteinemia, hyperlipidaemia)은 필요 이상의 지방성분 물질이 혈액에 존재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공복시 혈청 콜레스테롤이 220 mg/dl 이상이거나 중성지방이 150 mg/dl이상인 경우 고지혈증으로 진단한다.
고지혈증은 그 자체로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중 등의 위험요인으로서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2]
이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이 병행되어야 하며, 달콤한 음식이나 알코올 음료 등을 피해야 한다. 다만, 지질의 농도가 관리되지 않는 환자들은 스타틴(statin)을 비롯한 약을 이용하여 혈중 지질을 조절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낮출 필요가 있다.[2]
같이 보기[편집]
- 지질대사(en:Lipid metabolism)
- 이상지질혈증(en:Dyslipidemia)
- 대사 증후군(메터볼릭 신드롬)
- 인슐린 저항성(IR)
- 콜레스테롤
- 폴리코사놀(en:Polycosanol)
- 오메가-3 지방산 VS 오메가-6 지방산 VS 오메가-9 지방산
- 뇌졸중
- 지방간
- 간경변
- 현미 & 발아현미
- 피트산(en:Phytic acid, IP6)
- 피니톨(en:Pinitol)
- 이노시톨
각주[편집]
- ↑ Youngson RM (2005). “Hyperlipidaemia”. 《Collins Dictionary of Medicine》.
- ↑ 가 나 Dyslipidemia, Committee for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2015년 6월 1일). “2015 Korean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Dyslipidemia”. 《Journal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4 (1). doi:10.12997/jla.2015.4.1.61. ISSN 2287-2892.
외부 링크[편집]
분류 | |
---|---|
외부 자원 |
- (영어) 745209914 - GPnotebook
![]() |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