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던 문학
포스트모더니즘 |
---|
이전: 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티 |
분야 |
반응 |
관련 주제 |
문학 |
---|
주류 |
장르 |
매체 |
기법 |
역사와 목록 |
논의 |
문학 포털 |
포스트모던 문학(Postmodern literature)은 메타픽션, 믿을 수 없는 내레이션, 자기성찰, 상호텍스트성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종종 역사적, 정치적 문제를 주제화하는 문학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스타일의 실험 문학은 1960년대 미국에서 커트 보니것, 토머스 핀천, 윌리엄 개디스, 필립 K. 딕, 캐시 애커 및 존 바스와 같은 작가들의 저술을 통해 강력하게 나타났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종종 권위에 도전하는데, 이는 이러한 스타일의 문학이 1960년대 정치적 경향의 맥락에서 처음 등장했다는 사실의 징후로 여겨져 왔다.[1] 이러한 영감은 무엇보다도 포스트모던 문학이 자신이 말하는 정치적 문제에 대해 얼마나 자기 성찰적인지를 통해 알 수 있다.
포스트모던 문학의 선구자로는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1605~1615), 로렌스 스턴의 트리스트램 샌디의 일생과 의견(1760~1767), 토머스 칼라일의 의상철학(1833~1834),[2] 잭 케루악의 길 위에서(1957)[3] 등이 있다.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두드러졌다. 21세기에도 미국 문학은 포스트아이러니한 데이브 에거스의 A Heartbreaking Work of Staggering Genius(2000),[4] 제니퍼 에간의 깡패단의 방문(A Visit from the Goon Squad, 2011)[5]과 같은 포스트모던 작문의 강력한 흐름을 여전히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작품들은 포스트모던적 형식을 더욱 발전시키기도 한다.[6]
때때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용어는 건축에서부터 역사 이론, 철학 및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논의하는 데 사용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inda Hutcheon (1988) A Poetics of Postmodernism. London: Routledge, pp. 202-203.
- ↑ Campbell, Ian (2012년 4월 10일). “Retroview: Our Hero?”. 《The American Interest》.
- ↑ Johnson, Ronna C. (2000). “"You're Putting Me on": Jack Kerouac and the Postmodern Emergence”. 《College Literature》 27 (1): 22–38. ISSN 0093-3139. JSTOR 25112494.
- ↑ “Looking Back at 'A Heartbreaking Work of Staggering Genius' (Published 2019)”.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2019년 3월 22일. ISSN 0362-4331. 2020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Leal, Carissa M. (2017년 8월 10일). 《The Progression of Postmodern Irony: Jennifer Egan, David Foster Wallace and the Rise of Post-Postmodern Authenticity》 (학위논문) (영어).
- ↑ Tore Rye Andersen (2001) "Ned med oprøret! - David Foster Wallace og det postironiske 보관됨 2016-08-18 - 웨이백 머신" in Passage, 37, 13-25.[1] 보관됨 2016-08-18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