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녕 (1793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5번째 줄: 55번째 줄:
== 각주 ==
== 각주 ==
{{각주}}
{{각주}}

{{토막글|조선}}
{{토막글|시인}}


[[분류:1793년 태어남]]
[[분류:1793년 태어남]]

2018년 9월 18일 (화) 12:35 판

이봉녕(李鳳寧, 1793년 9월 21일 - 1871년 5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다. 본관은 우계, 자는 주경(周經), 호는 분서(汾西)이다. 이현상과 풍양 조씨의 아들이다. 경기도 포천 출신.

1819년(순조 19) 진사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입교하여 유생이 되었다. 그 뒤 음서로 관직에 올라 금부도사를 거쳐 동지사 신재식(申在植)의 제술관(製述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35년(헌종 1) 이문학관 등을 지내고, 부사맹이 되어 1826년(순조 26) 1836년(헌종 2) 동지사 신재식(申在植)의 제술관(製述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37년 다시 승문원 이문학관이 되고, 1839년 평시서주부, 1840년 선공감주부, 1841년 서부령(西部令) 등을 거쳐 1842년(헌종 8) 하양현감, 1846년 영천군수를 지냈다. 이후 제감감찰 등을 거쳐 1858년 행돈녕부판관 등을 역임했다. 1860년 사옹원주부를 거쳐 고양군수로 나갔다가 1861년 의흥현감, 지평현감 등을 지내고 다시 고양군수가 되었다.

생애

아버지는 이현상이고, 어머니는 풍양조씨로 조기영의 딸이다. 그러나 어머니 풍양조씨의 5대조 조상만(趙尙萬)은 그의 6대조 조성보(趙聖輔)의 서자였다. 이봉녕의 5대조 이상우 역시 포천에 살던 먼 일가인 이영구의 양자로 입양갔지만[1], 다시 이봉녕의 생가 7대조 할머니이자 이상우의 생조모 전주이씨는 재상 이홍주의 측실 소생 서녀였다.[2] 경기도 포천군 일동면 출신이다.

1819년(순조 19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성균관에 들어가 관학 유생이 되었다. 승정원일기의 1833년조 기사에는 그가 생원으로 나타난다. 이후 음서로 관직에 올라 금부도사로 시작, 1826년 청나라에 파견되는 동지사(冬至使) 신재식(申在植)의 제술관(製述官)이 되어 홍양후(洪良厚) 등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1835년(헌종 1) 12월 23일 승문원의 천거로 이문학관이 되었다. 1836년(헌종 2년) 부사맹이 되었다가 그해 겨울 청나라에 파견되는 동지사 신재식의 제술관(製述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37년 다시 승문원 이문학관이 되고, 1839년 평시서주부가 되고 12월 승문원도제조의 건의로 제술관으로 다녀온 것을 시상하여 승륙하였다. 1840년 선공감주부, 1841년 서부령(西部令)을 지냈다. 1842년(헌종 8) 8월 29일 하양현감(河陽縣監)으로 임명되었는데, 9월 21일에 하직인사를 하고 출발하였으나, 병으로 10월 7일에 도임, 경상감영에서 계를 올렸다. 1846년 음력 윤5월 2일 영천군수(榮川郡守)로 임명되고, 1847년(헌종 13) 5월 18일 다시 영천군수에 유임되었다.

1850년(철종 1) 12월 금부도사, 제감감찰(祭監監察), 1852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의금부]도사(行義禁府都事), 서부령(西部令), 1855년 제감감찰을 거쳐 57년 사헌부감찰, 1858년돈령부판관(行敦寧府判官)이 되었다. 1859년 다시 돈녕부판관이 되었다가 1860년 음력윤 3월 사옹원주부가 되었다가 그해 8월 고양군수(高陽郡守)로 나갔고, 1861년 5월 지평현감(砥平縣監)을 거뎌 이후 경상좌도(慶尙左道) 의흥현감(義興縣監)을 지내고, 다시 고양군수로 부임하였다.

그가 주로 교류하던 인물로는 1834년 청나라에 파견되는 동지사절 때 수행한 신재식(申在植)과 김익동(金翊東), 현풍현감, 풍기군수 등을 지낸 소북계열인 남상교(南尙敎) 등이 있다.

1871년(고종 8) 5월 5일에 사망했다.

사후

묘소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내곡리 자좌(현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자좌에 부인 광주이씨와 합장되었다.

저서

  • 분서집(汾西集)
  • 분서고(汾西稿)

가족 관계

  • 할아버지 이한운(李漢雲, 1735년 6월 22일 ~ 1806년 6월 8일)
  • 할머니 밀양 박씨(1735년 6월 12일 ~ 1813년 11월 27일), 동지중추부사 박성희(朴聖希)의 딸
  • 아버지 : 이현상(李顯相, 1770년 6월 14일 - 1822년 7월 14일)
  • 어머니 풍양 조씨(1767년 4월 1일 ~ 1822년 6월 24일), 조기영(趙基永)의 딸
    • 형 이학령(李鶴寧)
    • 형 이기령(李麒寧 1786년 9월 6일 ~ 1876년 2월 13일)
    • 동생 이인령(李仁寧 1803 ~ 1888), 다른 이름은 일녕(馹寧)
  • 부인 : 광주이씨(1791년 1월 4일 ~ 1860년 1월 14일), 이세복의 딸, 외조부는 한양인 조선(趙鐥)
    • 아들 : 이재승(李在升, 1809년 10월 13일 ~ 1853년 4월 16일)
    • 며느리 : 연안이씨(1808년 10월 1일 ~ 1829년 4월 23일), 이정계(李鼎季)의 딸
    • 며느리 : 전주이씨(1810년 8월 23일 ~ 1879년 윤 3월 24일), 이진방(李鎭邦)의 딸
    • 아들 : 이재응(李在應)
    • 아들 : 이재긍(李在兢)
    • 아들 : 이재성(李在星, 1823년 11월 9일 ~ 1867년 6월 9일)
    • 며느리 : 해주오씨(1819년 9월 7일 ~ 1879년 8월 24일), 진사 오언용(吳彦鏞)의 딸, 조부 좌랑 명철(命哲), 추탄(楸灘) 오윤겸의 후손, 외조부 무안박씨 박겸빈(朴謙彬)
    • 아들 : 이재명(李在明, 1830년 11월 20일 ~ 1891년 5월 14일)

외부 링크

참고 자료

  • 승정원일기
  • 각사등록
  • 상간편 (相看編), 申在植
  • 우촌시고 (雨村詩稿)

각주

  1. 문과방목에는 양아버지 이영구의 아들로, 거주지는 포천으로 나타난다.
  2. 국조방목, 이홍주 묘갈명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