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헌 (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이희헌'''(李希憲, [[1569년]] [[6월 15일]] - [[1651년]] [[11월 28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의관이다. 아버지는 [[이감 (조선)|이감]](李戡)이다. [[1613년]] [[허준]]이 16년간 연구하여 [[동의보감]]을 편찬할 때, 감교관으로 발간에 참여하였다.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광주]] 출신.
'''이희헌'''(李希憲, [[1569년]] [[6월 15일]] - [[1651년]] [[11월 28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의관이다. 아버지는 [[이감 (조선)|이감]](李戡)이다. [[1613년]] [[허준]]이 16년간 연구하여 [[동의보감]]을 편찬할 때, 감교관으로 발간에 참여하였다.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광주]] 출신.


[[1600년]](선조 34년) 경자 식년시 의과에 급제하여 옹주(饔主) 정헌(正憲)에 올랐고 외직으로는 양천현령을 역임하였으며, 수의(首醫)로 10년간 근무하였다. 《벽역신방》《신찬벽온방 (新纂辟瘟方)》 《의림촬요 (醫林撮要)》 등의 편찬에 감교관으로 참여하였다.
[[1600년]](선조 34년) 경자 식년시 의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옹주(饔主) 정헌(正憲)에 올랐고 인조조에는 [[소무공신|소무]][[원종공신]]에 녹선되었다. 외직으로는 양천현령을 역임하였으며, 수의(首醫)로 10년간 근무하였다. 《벽역신방》《신찬벽온방 (新纂辟瘟方)》 《의림촬요 (醫林撮要)》 등의 편찬에 감교관으로 참여하였다. 그의 며느리는 [[이홍주]]의 서녀였다.


== 생애 ==
== 생애 ==
[[광주군]] [[언주면]] 출신으로, 아버지는 [[급제]] [[이감 (조선)|이감]](李戡)이고<ref>http://221.150.168.105:7080/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J2_6JOb_1600_003105&category=dirSer</ref>, 어머니는 예천윤씨 윤연수(尹連壽 또는 尹延壽)의 딸이다. 전참봉(參奉), 내의원(內醫院)과 사옹원주부(司饔院主簿) 등을 지냈다. [[1600년]](선조 34년) 경자 식년시 의과에 급제하였다. [[내의원]]봉사를 거쳐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내의원]]직장(行內醫院直長)이 되었다.
[[광주군]] [[언주면]] 출신으로, 아버지는 [[급제]] [[이감 (조선)|이감]](李戡)이고<ref>http://221.150.168.105:7080/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J2_6JOb_1600_003105&category=dirSer</ref>, 어머니는 예천윤씨 윤연수(尹連壽 또는 尹延壽)의 딸이다. 음직으로 전[[참봉]](參奉), 내의원(內醫院)과 [[사옹원]]주부(司饔院主簿) 등을 지냈다. [[1600년]](선조 34년) [[과거 제도|경자 식년시]] 의과에 을과 1위로 급제하였다. [[내의원]]봉사를 거쳐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내의원]]직장(行內醫院直長)이 되었다.


[[1604년]](선조 37) [[7월 28일]] 통위영에 파견되어 홍주목(洪州牧)의 진찬물(送饌物)을 조익(趙翊)에게 전달하였다. [[1608년]](광해군 즉위) [[9월]] 통훈대부 행내의원주부로 감교관(監校官)이 되어 통훈대부 행내의원판관 이격(李𢓜)과 《의림촬요 (醫林撮要)》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604년]](선조 37) [[7월 28일]] 통위영에 파견되어 홍주목(洪州牧)의 진찬물(送饌物)을 조익(趙翊)에게 전달하였다. [[1608년]](광해군 즉위) [[9월]] 통훈대부 행내의원주부로 감교관(監校官)이 되어 통훈대부 행내의원판관 이격(李𢓜)과 《의림촬요 (醫林撮要)》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2018년 7월 23일 (월) 21:03 판

동의보감 목차

이희헌(李希憲, 1569년 6월 15일 - 1651년 11월 28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의관이다. 아버지는 이감(李戡)이다. 1613년 허준이 16년간 연구하여 동의보감을 편찬할 때, 감교관으로 발간에 참여하였다. 경기도 광주 출신.

1600년(선조 34년) 경자 식년시 의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옹주(饔主) 정헌(正憲)에 올랐고 인조조에는 소무원종공신에 녹선되었다. 외직으로는 양천현령을 역임하였으며, 수의(首醫)로 10년간 근무하였다. 《벽역신방》《신찬벽온방 (新纂辟瘟方)》 《의림촬요 (醫林撮要)》 등의 편찬에 감교관으로 참여하였다. 그의 며느리는 이홍주의 서녀였다.

생애

광주군 언주면 출신으로, 아버지는 급제 이감(李戡)이고[1], 어머니는 예천윤씨 윤연수(尹連壽 또는 尹延壽)의 딸이다. 음직으로 전참봉(參奉), 내의원(內醫院)과 사옹원주부(司饔院主簿) 등을 지냈다. 1600년(선조 34년) 경자 식년시 의과에 을과 1위로 급제하였다. 내의원봉사를 거쳐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내의원직장(行內醫院直長)이 되었다.

1604년(선조 37) 7월 28일 통위영에 파견되어 홍주목(洪州牧)의 진찬물(送饌物)을 조익(趙翊)에게 전달하였다. 1608년(광해군 즉위) 9월 통훈대부 행내의원주부로 감교관(監校官)이 되어 통훈대부 행내의원판관 이격(李𢓜)과 《의림촬요 (醫林撮要)》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내의원 직장으로 있을 때 1613년 어의 허준(許浚)이 16년간 쓴 동의보감을 편찬, 발간할 때 부봉사(副奉事) 윤지미(尹知微) 등과 함께 감교관(監校官)이 되어 동의보감 편찬에 참여하였다. 1613년 허준이 왕명을 받고 다시 《신찬벽온방 (新纂辟瘟方)》을 편찬할 때 감교관으로 참여했다.

그해 허준(許浚)의 《벽역신방》(辟疫神方)을 내의원(內醫院)에서 닥종이에 훈련도감(訓鍊都監) 활자로 간행할 때 역시 내의원 부봉사 윤지미와 함께 감교관으로 참여하였다. 그 뒤 내의원수의(首醫)를 거쳐 1627년에는 이인거의 난 진압에 조력한 공로로 소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정헌대부(正憲大夫) 동지(同知)중추부사 등을 지내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1628년(인조 6) 10월 22일 임금이 수침(受針)에 든 내의원 관료들을 포상할 때 침의였던 이영남(李英男)·이희헌·이략(李絡)·허임(許任) 등에게 각각 중표피(中豹皮) 1령(一令)을 하사하였다.

1629년(인조 7) 1월 4일 인조가 비망기를 내려 산실청도제조 김류(金瑬) 등 관료들을 포상할 때 의관인 그는 반숙마(半熟馬) 1필을 하사받았다. 이후 어의(御醫)에 올랐고, 1631년(인조 9) 2월 29일 시약청도제조(侍藥廳都提調) 이하를 시상할 때 어의 신득일, 이영남, 이희헌, 견후민, 이략, 김경향, 김사남 등이 가자되었다. 같은 날 가선(嘉善)에 상가(賞加)되었다.

1635년(인조 13) 1월 3일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 1639년(인조 17) 8월 16일 상이 양화당(養和堂)에 약방 관원들과 입시할 때 어의로 입시하였다. 1640년 윤1월 1일 어의로써 입진하였다. 1641년 내의원수의가 되었다.

1643년(인조 21) 4월 6일 사직(司直)으로 강자환수(降資還授)받았다. 이 해 7월 28일 인조가 수침(受鍼)할 때에 어의로서 다른 어의 최득룡(崔得龍), 침의(鍼醫) 이형익(李馨益), 박태원(朴泰元) 등과 함께 입진하였다.

1644년(인조 22) 4월 26일 양화당에서 칙사들을 접견 시 이희헌은 권유(權愉)와 함께 시위관(侍衛官)으로 인조를 수행하였다. 6월 1일 칙사를 접대할 때 시위관으로 권유와 같이 인조를 수행하였다. 1645년 9월 가의대부행충무위부호군(嘉義大夫行忠武衛副護軍)으로 재직 중, 영의정 홍서봉( 洪瑞鳳)이 사망하자, 그의 제문을 지어 애도하였다.[2]

1646년(인조 24) 5월 28일 시민당(時敏堂)에서 인조의 친국을 받았다. 이해 10월 28일 투이통(透耳筒)이 귓구멍에 양창(痒瘡)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하므로 중지할 것을 청하는 계를 약방에서 올릴 때 연명하였다. 1646년 12월 7일 약방에서 환약을 제조하는 계를 올릴 때 최득룡(崔得龍)·이희헌(李希憲)·이략(李詻)·김충효(金孝忠)·박군(朴頵) 등과 상의하겠다 하였다.

1648년(인조 26) 2월 5일 부사직(副司直)으로 자헌(資憲)에 가자되었다. 1650년(효종 1) 12월 29일 시약청도제조(侍藥廳都提調) 이하 관원을 포상할 때 어의 이희헌(御醫李希憲)·이략(李絡)·정담수(鄭聃壽)·박군(朴頵)·최유후(崔有後)·안경정(安景正), 유후성(柳後聖)·정후계(鄭後啓), 침의(鍼醫) 김상성(金尙誠), 등과 함께 가자(加資)되었다.

사후

묘는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사동(절골)부락 우록, 우측기슭 건좌에 계비 금천장씨와 합장되었다. 본부인 청주한씨의 묘는 양주군 각심리(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있다.

가족 관계

  • 아버지 : 이감
  • 어머니 : 예천윤씨
  • 부인 : 청주한씨(1570년 7월 18일 - 1593년 6월 13일), 친정아버지 이름 미상
  • 부인 : 금천장씨(1583년 7월 18일 - 1636년 1월 26일), 의관(醫官) 사과 장득해(張得海)의 딸
    • 아들 : 이원빈(李元賓, 1608년 4월 12일 - 1679년 5월 26일)
    • 며느리 : 전주이씨(1611년 2월 18일 - 1673년 3월 26일), 영의정 충정공 이홍주(李弘胄)의 서녀(庶女), 선성군 이무생(李茂生)의 서6대손
      • 손자 : 이경태(李慶泰, 1633년 - 1691년)
      • 손녀 :
      • 손녀사위 : 이뢰(李磊)
      • 손녀 :
      • 손녀사위 : 윤세달(尹世達)
        • 외증손 : 윤제화(尹濟和)
      • 손녀 :
      • 손녀사위 : 윤진웅(尹震雄)
        • 외증손 : 윤백화(尹百和)
        • 외증손서 : 이기수(李基壽)
      • 손녀 : 이씨, 절사정려(節死旌閭)
      • 손녀사위 : 유추한(柳樞漢), 자녀 없음
    • 아들 : 이원로(李元老)
      • 손자 : 이경정(李慶鼎)
        • 증손녀사위 : 우순승(禹順承)
    • 아들 : 이원례(李元禮)
    • 딸 :
    • 사위 : 전흡(田水+翕, 부사(府使)를 역임)
    • 딸 :
    • 사위 : 이흥기(李興基), 본관 미상
      • 외손자 : 이행륙(李行辶+翟)
      • 외손자 : 이행손(李行遜)

웹사이트

각주

  1. http://221.150.168.105:7080/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J2_6JOb_1600_003105&category=dirSer
  2. 학곡집(鶴谷集), 학곡집부록하(鶴谷集附錄下)권, "祭文(李希憲等)"
  3. 1681년(숙종 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으며, 일족인 이영구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그러나 양아버지쪽 계대는 실전. 족보상에는 생부의 아들로 다시 환원됨.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