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올림가단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가단조
{ \magnifyStaff #3/2 \omit Score.TimeSignature \key ais \minor s16 \clef F \key ais \minor s^"" }
다른 언어 이름
영어A sharp minor
독일어ais-moll
프랑스어La dièse mineur
이탈리아어La diesis minore
관계조
나란한조올림다장조
같은으뜸조올림가장조(이론적)
이명동조: 내림나장조
딸림조올림마단조(이론적)
이명동조: 바단조
버금딸림조올림라단조
이명동조내림나단조
구성음
A, B, C, D, E, F, G

올림가단조(-短調)는 올림가(A♯)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로 기본적으로 음계가 A♯, B♯, C♯, D♯, E♯, F♯, G♯로 되어있다.[1]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key ais \minor \time 7/4 ais^"자연단음계" bis cis dis eis fis gis ais gis fis eis dis cis bis ais2
} }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key ais \minor \time 7/4 ais^"화성단음계" bis cis dis eis fis gisis ais gisis fis eis dis cis bis ais2
} }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key ais \minor \time 7/4 ais^"가락단음계" bis cis dis eis fisis gisis ais gis? fis? eis dis cis bis ais2
} }

참고로 요한 크리스티안 하인리히 링크(Johann Christian Heinrich Rinck)의 프렐류드와 에튀드에서 조표 형태로 쓰였다.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BWV 848에서 올림다장조의 조표 사용 도중 일시적으로 올림가단조로 전조되기도 했다.

음계의 화음 종류[편집]

  1. Pilhofer, Michael; Day, Holly (2011년 2월 25일). 《Music Theory For Dummies》. Wiley. 144쪽. ISBN 9781118054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