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음계
단음계(短音階, minor scale) 또는 에올리안(Aeolian)은 음계의 하나이다. 크게 자연 단음계(natural minor scale), 화성 단음계(harmonic minor scale), 가락 단음계(melodic minor scale)로 나뉜다. 장음계와는 달리 어두운 분위기를 연출하며, 단조라고 하여 무조건 어두운 분위기인 것은 아니다.
종류[편집]
자연 단음계는 제2음과 제3음 사이, 제5음과 제6음 사이에 반음을 가지며 그 밖에는 온음으로 되는 7음의 음계를 말한다. 그리고 장음계와 마찬가지로 음계의 Ⅰ을 으뜸음, Ⅳ를 버금딸림음, Ⅴ를 딸림음이라고 한다. Ⅶ은 임시표에 의해서 반음 높아진다.(으뜸음과 단2도의 관계에 있을 때만 이끔음이라고 한다.)[1]
화성 단음계는 자연 단음계의 Ⅶ을 임시표로 반음 높여서 이끔음으로 한 것이다. 주로 화성에서 쓰이므로 이렇게 부른다. 화성 단음계의 Ⅵ과 Ⅶ(이끔음)은 증2도, Ⅶ과 Ⅰ(이끔음과 으뜸음)은 단2도로 되고, 다른 음계 각 음의 음정관계는 자연단음계와 같다.[2]
가락 단음계는 자연 단음계의 제6음과 제7음을 올라갈 때에는 반음씩 올리고, 내려갈 때에는 자연단음계의 형태를 갖는 것이다. 이것은 화성단음계에서 제6음과 제7음의 사이가 증2도이므로 가락으로서는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에 제6음도 반음을 높이고, 또 올라갈 때에는 마침(終止)의 느낌을 얻기 위해서 제7음과 제8음 사이를 반음으로 할 필요가 있어 생겼다. 아래로 내려갈 때에는 그렇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연단음계를 그대로 쓴다.[3]
자연 단음계 | ![]() |
---|---|
화성 단음계 | ![]() |
가락 단음계 | ![]() |
각주[편집]
-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자연적 단음계〉
-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화성적 단음계〉
-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가락적 단음계〉
같이 보기[편집]
![]() |
이 글은 음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