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음 음계
칠음 음계는 옥타브마다 일곱 개의 음이 있는 음계이다. 칠음 음계 중 가장 유명한 것들은 장음계(C D E F G A B C), 가락 단음계(올라갈 때는 C D E♭ F G A B C, 내려올 때는 C B♭ A♭ G F E♭ D C), 화성 단음계(C D E♭ F G A♭ B C), 그리고 비잔틴, 헝가리안,[1] 집시,[1] 또는 이집티안 스케일(C D E♭ F♯ G A♭ B C)로 알려진 음계 등이 있다. 남 인도 전통 음악(카르나틱) 이론은 72개의 멜라카르타(Melakarta)라고 부르는 칠음 음계를 기준으로 삼으며, 반면 힌두 전통음악은 타트(Thaat)라고 부르는 칠음 음계 12개 또는 7개(학자에 따라 다름)를 기준으로 삼는다.
헵토니아 프리마와 세쿤다[편집]
헵토니아 프리마(heptonia prima)와 헵토니아 세쿤다(heptonia secunda)는 온음과 반음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다양한 칠음 음계를 일컫는다. 단, 두 개의 반음이 연속으로 나오는 것은 제외된다. 일부 스케일은 다른 것들보다 이론적이다.
헵토니아 프리마[편집]
으뜸음을 A에서 시작하여 '자연 단음계'(A, B, C, D, E, F, G, A)의 음을 따라서 모드를 만들면 다음의 일곱 가지 모드가 만들어진다. 온음은 t(tone), 반음은 s(semitone)으로 나타내었다.
이름 | 음정 구성 | 다(C)에서 시작 | |
---|---|---|---|
에올리아 선법 (자연 단음계) | t-s-t-t-s-t-t | ![]() |
![]() |
로크리아 선법 | s-t-t-s-t-t-t | ![]() |
![]() |
이오니아 선법 (장음계) | t-t-s-t-t-t-s | ![]() |
![]() |
도리아 선법 | t-s-t-t-t-s-t | ![]() |
![]() |
프리지아 선법 | s-t-t-t-s-t-t | ![]() |
![]() |
리디아 선법 | t-t-t-s-t-t-s | ![]() |
![]() |
믹솔리디아 선법 | t-t-s-t-t-s-t | ![]() |
![]() |
헵토니아 세쿤다(Heptonia secunda)[편집]
헵토니아 프리마(온음계)와 헵토니아 세쿤다와의 차이는 각 반음 사이에 2개와 3개의 온음이 있는지, 1개와 4개의 온음이 있는지의 여부이다. 헵토니아 세쿤다는 가락 단음계의 상행 모드로 불리는데, 그 이유는 상행 가락 단음계로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른 음에서 시작하면 다른 모드도 만들 수 있다. 으뜸음을 A부터 시작하여 상행 가락 단음계 (A, B, C, D, E, F♯, G♯)의 음을 따라서 모드를 만들면 다음의 일곱 개의 모드가 만들어진다.
이름 | 음정 구성 | |
---|---|---|
'상행 가락 단음계' | t-s-t-t-t-t-s | ![]() |
'6번 음을 올린 프리지안' | s-t-t-t-t-s-t | ![]() |
'5번 음을 올린 리디안' | t-t-t-t-s-t-s | ![]() |
'어쿠스틱 스케일' 또는 '리디안 도미넌트' 스케일 | t-t-t-s-t-s-t | ![]() |
'메이저 마이너' 스케일 | t-t-s-t-s-t-t | ![]() |
'Half diminished scale' 또는 '2번 음을 올린 로크리안' 스케일 | t-s-t-s-t-t-t | ![]() |
'얼터드 스케일' | s-t-s-t-t-t-t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