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 행정 구역으로는 네 개의 일반구가 있다. 1988년 7월 1일 장안구와 권선구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1993년 2월 1일에 경기도청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 팔달구로 분구되었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으로 2003년 11월 24일에는 팔달구에서 영통구가 분구되었다.
2023년 4월 20일 기준으로 수원시는 531,034 세대, 1,226,738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도시이다.[1] 면적은 121 km2로 장안구가 33.3 km2, 권선구가 47.1 km2, 팔달구가 12.9 km2, 영통구가 27.7 km2이다.[2]
구 |
한자 |
면적 |
인구
|
장안구 |
長安區 |
33.17 |
305,166
|
권선구 |
勸善區 |
47.1 |
360,138
|
팔달구 |
八達區 |
12.86 |
213,398
|
영통구 |
靈通區 |
27.7 |
341,733
|
수원시 |
水原市 |
121 |
1,221,975
|
|
|
행정동 |
한자 |
면적(km2) |
인구 (명)
|
파장동 |
芭長洞 |
8.67 |
21,768
|
율천동 |
栗泉洞 |
3.52 |
47,146
|
정자1동 |
亭子1洞 |
1.28 |
24,982
|
정자2동 |
亭子2洞 |
1.44 |
33,973
|
정자3동 |
亭子3洞 |
1.26 |
47,419
|
영화동 |
迎華洞 |
1.28 |
22,708
|
송죽동 |
松竹洞 |
1.66 |
20,301
|
조원1동 |
棗園1洞 |
1.84 |
33,589
|
조원2동 |
棗園2洞 |
1.28 |
20,343
|
연무동 |
鍊武洞 |
12.58 |
23,284
|
장안구 |
長安區 |
|
|
|
|
행정동 |
한자 |
면적(km2) |
인구(명)
|
세류1동 |
細柳1洞 |
0.93 |
4,955
|
세류2동 |
細柳2洞 |
3.58 |
28,706
|
세류3동 |
細柳3洞 |
1.27 |
26,758
|
평동 |
坪洞 |
10.29 |
38,325
|
서둔동 |
西屯洞 |
5.92 |
48,382
|
구운동 |
區雲洞 |
2.03 |
28,854
|
금곡동 |
金谷洞 |
? |
?
|
호매실동 |
好梅實洞 |
? |
?
|
권선1동 |
勸善1洞 |
1.03 |
26,420
|
권선2동 |
勸善2洞 |
1.66 |
28,828
|
곡선동 |
谷善洞 |
4.46 |
31,261
|
입북동 |
笠北洞 |
7.19 |
14,525
|
권선구 |
勸善區 |
42.30 |
313,098
|
|
|
행정동 |
한자 |
면적(km2) |
인구(명)
|
행궁동 |
行宮洞 |
1.57 |
13,887
|
매교동 |
梅橋洞 |
0.71 |
12,438
|
매산동 |
梅山洞 |
0.82 |
12,881
|
고등동 |
高等洞 |
1.01 |
15,724
|
화서1동 |
華西1洞 |
0.83 |
28,744
|
화서2동 |
華西2洞 |
2.12 |
30,404
|
지동 |
池洞 |
0.71 |
16,551
|
우만1동 |
牛滿1洞 |
1.28 |
24,980
|
우만2동 |
牛滿2洞 |
1.05 |
19,521
|
인계동 |
仁溪洞 |
2.94 |
41,511
|
팔달구 |
八達區 |
12.86 |
226,224
|
|
|
구
|
행정동
|
법정동
|
장안구
|
파장동
|
이목동, 파장동
|
율천동
|
율전동, 천천동 (일부)
|
정자1동
|
정자동 (일부)
|
정자2동
|
정자3동
|
정자동 (일부), 천천동 (일부)
|
영화동
|
영화동
|
송죽동
|
송죽동
|
조원1동
|
조원동
|
조원2동
|
연무동
|
연무동, 상광교동, 하광교동
|
권선구
|
세류1동
|
세류동 (일부)
|
세류2동
|
세류동 (일부), 장지동
|
세류3동
|
세류동 (일부)
|
평동
|
평동, 고색동, 오목천동, 평리동
|
서둔동
|
서둔동, 탑동
|
구운동
|
구운동
|
금곡동
|
금곡동
|
호매실동
|
호매실동
|
권선1동
|
권선동 (일부)
|
권선2동
|
곡선동
|
권선동 (일부), 곡반정동, 대황교동
|
입북동
|
입북동, 당수동
|
팔달구
|
행궁동
|
구천동, 남수동, 남창동, 매향동, 북수동, 신풍동, 영동, 장안동, 중동, 팔달로1가, 팔달로2가, 팔달로3가
|
매교동
|
매교동, 교동
|
매산동
|
매산로1가, 매산로2가, 매산로3가
|
고등동
|
고등동
|
화서1동
|
화서동
|
화서2동
|
지동
|
지동
|
우만1동
|
우만동
|
우만2동
|
인계동
|
인계동
|
영통구
|
매탄1동
|
매탄동
|
매탄2동
|
매탄3동
|
매탄4동
|
원천동
|
원천동
|
영통1동
|
영통동 (일부)
|
영통2동
|
영통동 (일부), 신동, 망포동 (일부)
|
영통3동
|
영통동 (일부)
|
망포1동
|
망포동
|
망포2동
|
광교1동
|
이의동
|
광교2동
|
하동
|
1949년 이전의 역사는
수원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1949년 8월 14일 수원군 수원읍에 수원부를 설치하였다.[3] 다음날 수원부를 수원시로 개칭하고, 일본식 명칭인 정(町)·정목(丁目)은 동(洞)·가(街)로 바꾸었다.[4]
대통령령 제161호 및 법률 제32호
|
개편 전 |
개편 후
|
수원군 수원읍 본정(本町)4정목·본정3정목·본정2정목·남창정·영정·본정1정목·구천정·남수정·매향정·북수정·장안정·신풍정·남부정(南部町)·궁정(宮町)·세류정·대평정(大坪町)·서둔정·매산정1정목·매산정2정목·매산정3정목·고등정·화서정·영화정·지소정(紙所町)·지야정(池野町)·우만정·인계정 |
수원시 팔달로1가·팔달로2가·팔달로3가·남창동·영동·중동·구천동·남수동·매향동·북수동·장안동·신풍동·매교동·교동·세류동·평동·서둔동·매산로1가·매산로2가·매산로3가·고등동·화서동·영화동·연무동·지동·우만동·인계동
|
법률 제1175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팔달로1가·팔달로2가·남창동 |
팔창동
|
팔달로3가·영동·중동·구천동 |
영천동
|
남수동·매향동 |
남향동
|
북수동·장안동·신풍동 |
신안동
|
매교동·교동 |
매교동
|
세류동 |
세류동
|
화성군 안룡면 장지리
|
평동 |
평동
|
화성군 안룡면 고색리·오목천리·평리(평리동으로 개칭)
|
서둔동 |
서둔동
|
화성군 일왕면 구운리·탑리
|
매산로1가·매산로2가·매산로3가 |
매산동
|
고등동·화서동 |
고화동
|
화성군 일왕면 파장리·이목리·율전리·천천리·정자리 |
파정동
|
영화동 |
영화동
|
화성군 일왕면 조원리·송죽리
|
연무동 |
연무동
|
화성군 일왕면 상광교리·하광교리
|
지동·우만동 |
지만동
|
인계동 |
인계동
|
화성군 태장면 매탄리·원천리 |
매원동
|
화성군 안룡면 대황교리·곡반정리 |
곡선동
|
화성군 태장면 권선리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세류동 |
세류1동 |
세류동 일부
|
세류2동 |
세류동 일부, 장지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고화동 |
고등동 |
고등동
|
화서동 |
화서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영화동 |
영화동 |
영화동
|
송원동 |
송죽동·조원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세류2동 |
세류2동 |
세류동 일부, 장지동
|
세류3동 |
세류동 일부
|
파정동 |
파장동 |
파장동·이목동·율전동, 천천동 일부
|
정자동 |
천천동 일부, 정자동
|
- 1985년 12월 2일 팔창동·영천동을 팔달동으로 합동하고, 화서동은 화서1동·화서2동으로, 매원동은 매탄동·원천동으로 분동하였다.[12]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팔창동 |
팔달동 |
팔달로1가·팔달로2가·남창동
|
영천동 |
팔달로3가·영동·중동·구천동
|
화서동 |
화서1동 |
화서동
|
화서2동
|
매원동 |
매탄동 |
매탄동
|
원천동 |
원천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서둔동 |
서둔동 |
서둔동·구운동·탑동
|
화성군 매송면 일부 |
금곡동·호매실동
|
해당 지역의 역사는
장안구 및
권선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해당 지역의 역사는
팔달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팔달구 원천동 |
팔달구 원천동 |
원천동
|
화성군 태안읍 일부 |
영통동
|
용인군 기흥읍 일부
|
화성군 반월면 일부 |
권선구 입북동 |
입북동·당수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팔달구 매탄3동 |
팔달구 매탄3동 |
매탄동 일부
|
화성군 태안읍 일부 |
신동·망포동
|
해당 지역의 역사는
영통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